혹두루미 아카이브

Description
그냥 허접한 채널.. 다루고 싶은거 다룹니다.
We recommend to visit

ㅤㅤ𝗜𝗡𝗙𝗢𝗥𝗠𝗔𝗧𝗜𝗢𝗡 𝗔𝗕𝗢𝗨𝗧 𝗞𝗜𝗠

♞ . owner & c.own :: @ujasmine • @aduhh
♞ . admin :: t.me/KimRekber/5137

❈ proof & rate :: @proof_kim • @ratekim
❈ fraud & pp :: @infoscamr • @ppkimrekber

ⓘ tidak menerima format melalui rc ⓘ

Last updated 2 months, 1 week ago

볼만한 뉴스와 증권사리포트, 글로벌경제뉴스. 와신 등을 공유합니다. 내용은 매도/매수의 의견이 아닙니다.매매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있습니다

●/ ●/
《 | 《 |
/〉 제보.문의 /〉


제보/각종 문의 받습니다.

@yeouidooppa

Last updated 2 months, 1 week ago

비트코인 & 경제 & 재테크정보를 공유드리는 방입니다

채팅방 - @enjoymyhobbychat

모든 글은 투자의 참고 자료일 뿐이며,
투자 판단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홍보, 후원, 광고 : @KimYoungTaek 문의

Last updated 2 months ago

1 month, 2 weeks ago

AI는 기존 상위 플레이어들을 더 강하게 만들어주지만, 1등만 선택받는 산업인지 효용의 차이가 제한적이라면 2-3등도 무난히 선택받을 수 있는 분야인지를 구분하는 것도 굉장히 중요한 듯.

스터디분과 앱러빈 이야기하다가 든 생각인데.. 이 분야는 가장 비싸게 광고 팔아주는 놈들만 선택받을 수밖에 없는 결국 1등만 남는 시장(건강 등의 분야도 마찬가지일 것)이고, 챗봇 등은 무난한 2-3등도 선택받을 수 있는 시장이니..

1등이 더 강한 1등 되겠지?라는 생각에 너무 매몰되어 있던 것은 아니었나 싶어 기록으로 남겨둠.

1 month, 3 weeks ago

최근 B2B향 소프트웨어 분야를 공부 중인데, 통합 플랫폼의 가치가 갈수록 높아지게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음.

기존엔 프로세스별로 최고의 소프트웨어를 골라서 사용하는 구조였다면(Best-of-Breed), 각 플레이어들의 수준도 상향평준화, 통합된 데이터의 밸류는 AI로 인해 높아지면서 각 프로세스 간 데이터의 유기적 연결로 추가적인 가치창출이 가능한 통합 플랫폼기업들이 좀 더 많은 선택을 받게 될 개연성이 높다고 느낌.

원래는 하나의 큰 주제 내에 있는 개별 프로세스를 연결하는 정도였다면, 요즘엔 ERP/CRM/공급망 등 다소 이질적인 분야의 데이터 통합으로 그 범위가 확대되는 것으로 보임. 팔란티어가 잘 되는 이유도 비슷한 맥락?

1 month, 4 weeks ago

생명과학업계 방향성 몇가지.

1) 사이클 턴
- 대형 제약사들은 확실히 긍정적인 방향으로 가는 중, R&D 예산을 늘리는 데도 도움이 될 것. 신생 바이오텍 업체들도 긍정적인 신호가 보이고 있음. 자금 조달/파트너십 기대감이 있으며, 연말이 될수록 흐름이 더욱 강화될 것. 아직 완전히 회복된 것은 아니지만, 확실히 상황이 좋아지는 중. TMO(25.01.30)

2) 약 기대수명 감소
- IRA로 인한 고가약물 가격 인하 리스크 존재

3) AI 도입으로 인한 신약후보물질 발굴 속도 증가
- 빅테크 PLM 등..

→ AI 기반 임상 Q 증가, 개별 임상의 비용(돈/시간) 효율화 노력은 정해진 미래.

3 months, 3 weeks ago

애플/메타 등 대부분의 회사들은 업무/엔터테인먼트 영역에 집중해왔음.

이는 어쩔 수 없었던 부분이었을 것임. 일상기기로의 포지셔닝을 위해서는 기존 일상기기의 기능/경험/가격 등의 요소를 훼손시키지 않아야 하는데, 여태까지의 기술로는 그 요소를 훼손시키지 않고 XR 경험을 제공하기 어려웠기 때문임.

하지만 AI 등장으로 판도는 크게 바뀌었다고 생각됨. 아직 원가절감이라는 큰 벽이 존재하지만, AI 비서 기능을 접목시킨 안경은 기존 XR 기기에서 사람들이 기대해왔던 몰입감을 요구받지 않기에 충분한 시야각만 보장된다면 적당한 수준의 PPD(해상도)로도 매우 혁신적인 기기가 될 수 있음.

바꿔 말해 기존의 XR 기기가 줄 수 있는 고유가치는 '3D 기반 몰입감'뿐이었고 이를 위해 HMD 폼팩터가 필수적으로 요구되었지만, AI의 등장으로 제공 가능한 영역이 넓어졌고 사용자의 진입장벽이 낮은 글래스폼팩터로도 충분한 가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됨.

이를 잘 이용한 기기가 Orion이고, 이에 향후 4-5년 간의 XR 패권 경쟁은 VR이 아니라 AR로 그 초점을 옮겨올 것이라는 생각임.

#XR

4 months, 1 week ago
트럼프 집권이 시작되면 의료시스템에 대한 대대적 …

트럼프 집권이 시작되면 의료시스템에 대한 대대적 개편이 일어나지 않을까 싶어, 요즘에는 이 방향성을 몇 년 간 누릴만한 포지션을 찾아보는 중.

트럼프는 Robert F. Kennedy Jr.를 보건복지부(HHS) 장관으로 지명할 예정. HHS는 메디케어, 메디케이드, FDA 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

https://www.washingtonpost.com/health/2024/11/21/rfk-physician-payments/

Kennedy Jr.의 주장은 "병원에게 지급하는 인센티브가 수술 등의 고가 항목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보니 상대적으로 수입이 적은 일차진료의를 하지 않으려 한다. 예방의학 및 전반적인 건강관리가 장려되도록 시스템이 개편되어야 한다."

공공보험 수혜가 상대적으로 덜했던 일차진료/예방의학쪽으로 돈이 흘러들어갈 것이란 암시? 혹은 메디케어의 보장범위를 축소해버리거나?

한편 CMS 수장으로 임명받은 Dr. Oz는 메디케어 민영화를 주장했던 이력이 있음. 결을 같이 하는 것 같기도..

4 months, 1 week ago

[TMDX의 장기적 쟁점에 관한 생각] 1) 트랜스메딕스의 제품/서비스는 전체 시장을 키워나가는가? - Lung: 아직 영향력 X. - Heart: a) 기존 제품의 낮은 장기회수율(페인포인트) + b) 그에 기인한 장기 수요 + c) 이식병원에게 주는 효용이 겹쳐 TMDX가 전체 시장 성장을 주도. - Liver: a) 장기 수요 + b) 이식병원에게 주는 ‘압도적’ 효용(오전수술)이 시장 내 점유율을 끌어올리고 있는 것으로 판단. 2) Lung,…

7 months ago

한편 미국 사용자들의 후기를 찾아보니, 실제로 기존 유저들은 1/2위 업체인 두개를 동시에 사용하면서 그때그때 더 좋은 베팅조건 혹은 프로모션을 제공하는 업체를 선택한다고 함. 신규 유저들은 프로모션에 좀 더 크게 연동될 것으로 생각되고.

FLUT은 지역 기준 미국에서 가장 낮은 마진(24.2Q adj. EBITDA maring 17.0%)을 기록하고 있는데, 그 낮은 수준이 DKNG(11.6%)보다 높음. 미국만 놓고 봐도 마케팅비 집행 여력이 훨씬 더 남아있고, 해외에서 기록 중인 높은 수익성을 고려하면 그 룸은 더 열린다고 볼 수 있음.

DKNG의 제한된 현금여력으로 인한 마케팅비용 지출 감소, FLUT의 미국 영업 본격화 선언과 본사 이전(더블린 → 뉴욕), 상대적으로 여유로운 현금을 기반으로 한 마케팅 집행 확대는 미국 내 베팅사업 점유율이 장기적으로 어떻게 흘러갈지 이미 답을 내놓은게 아닌가 싶기도 함.

#FLUT #DKNG

7 months ago

AI 안 묻고 매크로 환경에 덜 취약할 것으로 생각되는 회사들이 뭐가 있을까 찾아보던 중에, FLUT(Flutter Ent.)이라는 회사를 알게 됨.

온라인 베팅사이트 운영업체인데, 우리나라에 많이 알려져있는 DKNG(Draftkings)의 경쟁사임. 차이점이 있다면 FLUT은 전세계(미국 비중 약 40%), DKNG는 미국 몰빵이라는 점.

24.2Q FLUT을 매수한 유명한 펀드들이 꽤 많았는데, 어떤 변곡점이 있었을까 싶어 DKNG와 몇가지 지표들만 비교해봤음.

7 months, 4 weeks ago

가이던스 하향
광고 턴어라운드 지연
(+ fundamental 작업 필요성 추가 언급)
게임부문 가격 인상 반영에는 시간 필요

총평: 이보다 더 안 좋기 힘든 실발.. 이제는 매출의 5-6% 남짓되는 산업부문 엔진 성장에 기대하고 있는 상황.

→ 개인적으로 산업부문 3D 시각화는 쉽사리 꺾이기 힘든 큰 흐름이며, 광고부문은 여전히 앱러빈이 압도적이지만 이번 실발을 통해 아예 기대감이 제로 가까이로 내려오지 않았나 하는 생각임. 곧 나오는 Unity 6 평타만 치면 주가 바텀아웃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보임!

9 months, 2 weeks ago

최근 스터디에서 미국 건설분야를 공부해 발표하였는데..

현재 기준의 정량적인 탑픽은 텍사스/플로리다를 메인으로 하는 중소형 디벨로퍼(주택)였음. 미국 주택부족의 핵심은 결국 하이엔드가 아닌 로우엔드로부터 비롯되며, 제품믹스가 DHI/LEN과 같은 대형 디벨로퍼에 비해 유리할 것이라 판단한 것이 그 근거임.

하지만 '대한민국 투자자'가 이들을 매수하는 것은 결코 합리적인 선택이 아니라고 생각함. 우리나라 건설주식을 투자하는 미국 투자자가 낮은 밸류를 근거로 서희건설, 상지건설을 탑픽으로 뽑는 선택과 크게 다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임.

해외에서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들의 경우 정량적으로 정의하기 힘든 영역에 대해 내가 잘못 인식할 수 있다는 의심을 끊임없이 반복해야 실패가능성을 줄일 수 있을 것이며, 이는 결국 내가 알 수 있는 영역과 알 수 없는 영역을 잘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논의로 귀결되는 듯..

알 수 없는 영역을 낙관적으로 전제하고 있지는 않은가? 내 능력범위 내의 투자인가?

We recommend to visit

ㅤㅤ𝗜𝗡𝗙𝗢𝗥𝗠𝗔𝗧𝗜𝗢𝗡 𝗔𝗕𝗢𝗨𝗧 𝗞𝗜𝗠

♞ . owner & c.own :: @ujasmine • @aduhh
♞ . admin :: t.me/KimRekber/5137

❈ proof & rate :: @proof_kim • @ratekim
❈ fraud & pp :: @infoscamr • @ppkimrekber

ⓘ tidak menerima format melalui rc ⓘ

Last updated 2 months, 1 week ago

볼만한 뉴스와 증권사리포트, 글로벌경제뉴스. 와신 등을 공유합니다. 내용은 매도/매수의 의견이 아닙니다.매매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있습니다

●/ ●/
《 | 《 |
/〉 제보.문의 /〉


제보/각종 문의 받습니다.

@yeouidooppa

Last updated 2 months, 1 week ago

비트코인 & 경제 & 재테크정보를 공유드리는 방입니다

채팅방 - @enjoymyhobbychat

모든 글은 투자의 참고 자료일 뿐이며,
투자 판단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홍보, 후원, 광고 : @KimYoungTaek 문의

Last updated 2 months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