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츠증권 리서치

Description
공표된 리서치 내용을 공유하는 채널입니다
Advertising
We recommend to visit

contact. @jefrenbot

Last updated 12 months ago

공표된 리서치 내용을 공유하는 채널입니다

Last updated 1 week, 1 day ago

,,공식 채널"✍️ Murojat uchun: @korean_teacher01
Topik va Eps topik darslari
Vizalar bo'yicha yangiliklar
Koreya haqida yangiliklarni ulashib boramiz.

Last updated 1 month ago

1 week, 1 day ago

8-1. 조미김 시장 1위 동원F&B(+7.7%)도 6월부터 김 가격 인상. 5월 초 이미 올린 CJ제일제당, 광천김, 대천김 인상에 키맞추기(CJ씨푸드 +21%, 사조씨푸드 +12%, 한성기업 +6.2%, 동원수산 +3.5%, 사조대림 +3.5%). BBQ 5/23부터 23개 제품 판매 가격 평균 +6.3% 인상. '황금올리브치킨 후라이드'는 이제 2만원이 아니라 2만 3천원(마니커에프앤지 +6.6%, 하림 +3.3%). 교촌에프앤비(+7.8%)는 가맹 지역본부를 직영으로 전환하며 물류 효율화, 장기 실적 개선 기대. 52주 신고가 경신, 시가총액 2,343억원(실화)

8-2. 냉동김밥 업체 중 유일한 상장사 우양 +16%, 3분기부터 미국 대형마트에 냉동깁밥 공급 예상. 작년 북미 코스트코에 납품했던 핫도그는 6개월 초도물량 소진 후 올해 6월부터는 월간 오더 방식으로 안정적인 매출 발생 기대. 음식료도 강세 연장(풀무원 +14%, CJ제일제당 +4.8%, 삼양식품 +2.6%)

  1. 조선도 종목장세에서 제외되지 않음(HD한국조선해양 +5.2%, 한화오션 +2.9%), 조선기자재(세진중공업 +8.0%, 한화엔진 +7.7%, STX중공업 +3.1%)

  2. 두산밥캣(+3.8%)은 HD현대인프라코어와 북미지역 건설장비 상호 공급 확대를 위한 MOU 체결. 또한 5/17 풍문에 대한 해명 공시에서 중장비용 유압 부품 전문업체인 모트롤 인수 검토 중이라고 밝힘. 지금은 각종 유압부품을 Bosch, Danfoss 등 해외업체로부터 조달하고 있는데 모트롤 인수를 통해 내재화할 경우 원가절감 가능

  3. 태양광 대장주 HD현대에너지솔루션 어제 상한가, 오늘 +11%. 글로벌텍스프리(+4.3%)는 종속사인 GLOBAL TAX FREE FRANCE의 택스리펀드 사업자 승인이 정지됐다고 공시. 알려진 악재에 주가는 상승. 개별주: [니켈도금강판] TCC스틸 +3.7%, [양극박] 삼아알미늄 +5.2%, [인터넷은행] 더존비즈온 +3.4%, [의류] 공구우먼 +27%, [우주]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4.5%, [통신] 대한광통신 +4.6%

(자료) https://tinyurl.com/pb2aewj2

  • 메리츠 시황 개별 텔레그램 링크: https://t.me/DopamineKrystal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1 week, 1 day ago

[메리츠증권 시황 이수정]
20240524(금) 마감 시황

Blackwell 냉각, 주식도 냉각

  1. SEC, 이더리움 현물 ETF 제한적 승인. 8개 ETF의 19b-4(공식 심사 요청서) 통과, 추가로 S-1(증권신고서)까지 승인 받으면 상장. S-1 서류 승인에 최소 수 주, 실제 거래 개시까지 또 수 주가 걸릴 수 있음. 4월 홍콩에서 이미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현물 ETF가 상장되었지만 거래 금액이 미미(5/22 기준 일일 $39만 수준)했기 때문에 미국 비트코인 현물 ETF 최초 승인 당시만큼의 흥분은 없음

2-1. S&P 글로벌 5월 미국 서비스업 PMI 예비치가 54.8pt로 4월 확정치 50.9pt와 시장 예상치 51.5pt 크게 상회, 2년래 최고 기록. 금리 인하 기대 후퇴에 Dow 지수 -1.5%. Nvidia는 나홀로 +9.3% 상승. 현재 주력제품 Hopper(H100, H200)와 차세대 Blackwell(B100, B200) 모두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는 상황이라며 시장의 오해 해소. 1년 단위로 새로운 칩을 내놓으며 독점적 점유율 유지

2-2. B200은 24GB HBM3E 8개 탑재. H100 대비 AI 연산 성능 FP4 5배, FP8 2.5배로 향상. GB200은 AI 서버용 솔루션으로 Blackwell GPU 2개와 Grace CPU 1개를 NVLink Chip-to-Chip 인터커넥트 기술로 연결한 AI 슈퍼칩. GB200 NVL72는 이 슈퍼칩 36개를 하나의 랙으로 연결한 솔루션. HGX H100 플랫폼 대비 에너지 효율성 25배, 1조개 매개변수 언어 모델에 대해 30배 빠른 실시간 LLM 추론 성능을 제공. 1조 8천억개 매개변수 GPT 모델을 90일 동안 훈련하려면 Hopper 모델로는 8,000개 GPU, 15MW 전력 필요. 반면 GB200 NVL72로는 2,000개 GPU, 4MW 전력이면 가능. 전력 소비 1/4 수준으로 역대급 전성비

2-3. 탄소 중립 목표 및 전력망 병목으로 AI 전성비는 중요한 화두. 이러한 가운데 삼성전자는 발열 및 전력 소비 문제로 지난 달 Nvidia HBM3E 퀄 테스트 통과를 실패했다는 기사. 회사는 다양한 글로벌 파트너들과 테스트를 순조롭게 진행 중이라며 두루뭉술하게 반박했지만 -3.1% 하락(삼성전자우 -3.7%). 5월 들어 SK하이닉스는 +14% 상승(SK스퀘어 +12%), 삼성전자는 -2% 하락하며 격차 확대. 오늘 KOSPI 지수도 2,700선 하회, 월간 마이너스 전환

2-4. 데이터센터 전력 소비의 40%는 냉각 시스템. 최근 데이터센터는 전력사용효율성(PUE)을 위해 기존 공랭식(공기로 열 냉각) 시스템에서 수랭식 방식(액체로 냉각) 도입 중. GB200 또한 액체냉각(Liquid Cooling) 채택. Dell +4.0% / 케이엔솔 +8.3%, GST +3.5%

3-1. 또다시 전기의 턴. HD현대일렉트릭 +11% 급등, 52주 신고가 경신(이삭엔지니어링 상한가, 제일일렉트릭 +15%, 지투파워 +6.0%, 제룡전기 +5.3%, 비츠로테크 +3.5%). 최근 구리 가격 조정에 쉬던 전선 반등(LS에코에너지 +12%, 대원전선 +11%, KBI메탈 +8.5%, 일진전기 +6.6%, 가온전선 +4.3%)

3-2. LS ELECTRIC(+8.7%)은 5/21 초고압 변압기 생산을 위한 803억원 Capa 증설 공시에 이어 5/23 초고압 변압기 제조사 KOC전기 인수 공시. 지난해 매출 953억원, 영업이익 81억원인 회사의 지분 51%를 592억원에 매수(PER 14배)하는 것이라 경영권 프리미엄까지 감안하면 괜찮은 딜. 인수 자금은 외부 조달 없이 자사주 299,000주를 어제 종가인 212,500원에 LS 지주에 매각해 635억원을 마련. 개장 후 주가는 긴가민가하는 듯 했으나 결국 우상향, 52주 신고가 경신

3-3. LS마린솔루션(+7.8%)은 최대주주 LS전선에 제3자배정 유상증자로 350억원 조달. 기준주가 대비 10% 할인 발행. 목적은 설비 투자를 위한 자금 확보로 명시. LS전선이 멕시코에 대용량 전력배전시스템인 Busduct 신규 공장을 건설한다는 기사로 마린솔루션 주가는 급등. 미국-멕시코-캐나다 자유무역협정(USMCA)의 수혜가 가능한 북미 시장 수출 기지로 올해 하반기 착공, 2025년 상반기 준공 예정. 회사는 북미 Busduct 매출 2030년 $1억 기대

  1. 외국인 선물 -1조원 순매도 → 금융투자 선물 +1.1조원 순매수 & KOSPI 현물 -7,506억원 순매도. KOSPI 시총 상위주는 전멸이었지만 신고가 종목 다수 출현. Nvidia만 상승하고 나머지 반도체는 빠지면서 수급 분산, 종목장세에 가까워짐

  2. 5/24 52주 신고가 경신 종목 (시총순)
    - 변압기: HD현대일렉트릭, LS ELECTRIC
    - 케이블: LS마린솔루션
    - 음식료: CJ제일제당, 롯데웰푸드, 동원F&B, 대상, 풀무원, 교촌에프앤비, CJ씨푸드
    - 화장품: TIGER 화장품 ETF, 실리콘투, 클리오, 잉글우드랩, 선진뷰티사이언스
    - 방송: CJ ENM
    - ESS: 서진시스템, 중앙첨단소재
    - 헬스케어: 한독
    - ETF: KOSEF 인도Nifty50 ETF, TIGER 유로스탁스배당30

  3. 될될 안될안 지속. 2차전지 대부분이 52주 신저가를 매일 경신하고 있지만 엔켐(+2.6%)은 상승(중앙첨단소재 +6.4%, 광무 +5.8%)

  4. 5/24 52주 신저가 경신 종목 (시총순)
    - 2차전지: LG에너지솔루션, 에코프로, SK이노베이션, SK아이이테크놀로지, 이수스페셜티케미컬, 동화기업
    - 헬스케어: SK바이오사이언스,메디톡스, SK케미칼(화학), 프레스티지바이오, 엘앤씨바이오, 영진약품
    - 금융: 카카오페이
    - 의류: 영원무역
    - 디스플레이: LX세미콘
    - 방송: SBS

6-1. 금리가 오르거나 말거나 알테오젠 +3.9%, MSCI 5월 편입 3종목 모두 상승. 한독(+26%)은 인도 기업 바이오콘과 '리라글루티드 성분 비만 치료제' 국내 독점 판매 계약. GLP-1 유사체로 리라글루티드는 Novo Nordisk '삭센다'의 주성분. 앱클론(+13%)은 ‘스위처블 CAR-T’ 적용 지퍼스위치 물질 미국 특허 등록. ASCO에서는 혈액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AT101' 임상 1상 추적데이터 관련 논문 발표 예정

6-2. 펩트론(+7.7%)은 비만치료제 기술이전 계약과 함께 빅파마 4개사에서 약물 지속형 플랫폼 기술 관련해서도 러브콜을 하고 있다는 기사. 툴젠(+6.9%)은 호주에 등록했던 'CRISPR-Cas9' 유전자가위 관련 특허를 다시 인정 받음. 종근당(+6.0%), 보로노이(+5.2%) 등도 반등 시도

6-3. HLB +4.1%, HLB제약 +5.3%, HLB테라퓨틱스 +7.6%. HLB바이오포럼 개최, HLB의 미국 자회사 엘레바 대표는 이번 CRL(보완요청서신)과 관련해 FDA에 미팅을 신청한 상태라고 밝힘. 허가 불발의 배경에 미중 갈등이 자리하고 있다는 일각의 의혹에 대해서도 강하게 반박. 파트너사인 항서제약은 CRL 내용이 캄렐리주맙 공장 CMC가 아니라 설비(Facility) 문제라고 강조. Facility의 범주는 조명, 공조시설, 배관, 위생시설 등으로 보완사항은 마이너하다는 판단. FDA가 여행 제한으로 BIMO(바이오리서치 모니터링) Inspection을 완료하지 못했다는 내용은 FDA가 올해 초 마찬가지로 러시아, 우크라이나 BIMO Inspection을 완료하지 못했지만 허가를 내준 사례도 있다는 점을 들어 희망 회로 On. 한편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병용요법 글로벌 3상 환자 전체생존기간 중앙값(mOS)은 최종 23.8개월로 기존 22.1개월 대비 연장. ASCO에서 전체 내용 공개 예정

  1. 주도업종 화장품 강세 지속(에이피알 +9.2%, 네이처셀 +8.1%(줄기세포화장품), 실리콘투 +7.9%, 코리아나 +7.5%, 에이에스텍 +6.3%, 한국화장품 +6.0%, 본느 +5.4%, 선진뷰티사이언스 +4.9%, 휴젤 +4.8%). 주말 한중일 정상회담 이후에도 셀온이 나오지 않으면 진짜 인정해줘야하는 단계. 동국제약(+7.0%)은 미용기기 개발·생산업체 '위드닉스' 인수
1 week, 2 days ago

[메리츠증권 시황 이수정]
20240523(목) 마감 시황

태양광 슈슈슈 슈퍼노바

1-1. Nvidia 1분기 매출 $260억(QoQ +18%, YoY +262%), 데이터센터 매출 $226억(QoQ +23%, YoY +427%), EPS $5.98(QoQ +21%, YoY +629%), 매출총이익 78.4%. 다음 분기 가이던스는 매출 $280억, 매출총이익 74.8%(연간으로 70% 중반) 제시

1-2. 숫자는 시장 예상치에 부합했으나 Blackwell 출하가 3분기(9월)가 아닌 2분기부터 시작된다는 코멘트가 주효. Amazon이 신제품 GB200을 기다리며 GH200 주문을 취소했다는 오보까지 나올 정도였기 때문에 시장은 환호. 6/7 기준 10 대 1 주식분할까지 발표하며 시간외 +6%, 천비디아 예고

1-3. 대만에서 TSMC +1.3%, 차분한 역사적 신고가. SK하이닉스(+1.2%)도 신고가 경신 but 시가보다 종가가 낮게 끝나 음봉 마감. 일본에서는 소부장 강세, Disco(6146) +8.0%, Ibiden(4062) +7.3%, Advantest(6857) +5.4%. 한국에서는 하나머티리얼즈 +6.1%, SKC +5.3% 정도. 순수 반도체보다는 두산(전자) +9.0%, 서진시스템(ESS) +11% 등이 엣지

2-1. 중국 태양광 산업 협회 주최 컨퍼런스에서 현재의 공급 과잉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생산 능력의 무분별한 확대 및 공격적인 가격 인하를 제한하기 위한 방안 논의. 미중 태양광 동시 강세. SunPower(SPWR) +14%, Nextracker(NXT) +14%, SolarEdge(SEDG) +9.0%, Enphase Energy(ENPH) +8.7% / Daqo New Energy(DQ) +17%, Jinkosolar(JKS) +17%, Canadian Solar(CSIQ) +15%, Sunrun(RUN) +7.9%

2-2. AI 기반 전력 수요 증가 수혜주로 지목되며 First Solar(FSLR) 그저께 +8%, 어제 +19% 급등. Capa는 2022년 3.9GW에서 2030년 13.1GW로, EPS는 최근 12개월 $7.74에서 2027년 $36.74로 +374% 증가할 것이란 전망. 중국의 저가 공세에 고통받는 위기 업종에서 미국 보호무역주의와 IRA 수혜 업종으로 변모. 태양광 등 청정에너지 시설을 건립할 경우 30%의 세액공제(AMPC) + 미국 태양광 발전 시설에 미국 현지에서 생산된 부품을 40% 이상 사용할 경우 10% 세금 감면 혜택을 추가로 주는 '국내 콘텐츠 보너스' 규정.

2-3. 오늘 중국 본토 태양광 주식은 어제 급등의 여파로 하락. CSI Solar(688472) -3.6%, LONGi Green Energy Technology(601012) -3.1%, Xinji Solar(968 HK) -2.9%대, Jinkosolar 자회사로 태양광발전기업인 JinKO Power Technology(601778) -2.7%

2-4. 한국에서는 HD현대에너지솔루션 상한가, 한화솔루션 거래 터지며 +12%(대명에너지 +25%, KC코트렐 +15%, 금양그린파워 +9.1%, 신성이엔지 +7.1%, +SDN +4.3%, 유니테스트 +3.1%)

3-1. Bloom Energy(BE) 그저께 +17%, 어제도 +12%. Plug Power(PLUG) +11%, FuelCell Energy(FCEL) +14%. 수소(범한퓨얼셀 +25%, 에스퓨얼셀 +14%, 일진하이솔루스 +5.9%) 태양광과 동반 급등.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테마(LS머트리얼즈 +16%, 한선엔지니어링 +12%, 아모센스 +5.0%) 추가 상승. SK이터닉스(+0.5%) 3/29 상장 후 신고가. 두산퓨얼셀 장중 고가 +9.2% → 종가 +1.6% 마감. 두산퓨얼셀1우 +16% → -5.9%, 두산퓨얼셀2우B +29% → +7.5%로 근본이 없는 움직임

3-2. 신재생 전반을 다시보며 풍력도 상승(SK오션플랜트 +14%, 태웅 +5.9%, 씨에스윈드 +5.0%). 영국원자력산업협회(NIA)와 기업단이 6/11~14 방한해 원자력 발전소를 직접 참관할 예정(우리기술 +8.7%). 변압기 내에서는 LS ELECTRIC(+4.7%)이 두각. 중앙첨단소재 +22%, 북미 ESS → LFP 배터리 → 리튬염(LiPF6) 기적의 논리

4-1. 한중일 정상회담 5/23~27로 확정. 투경 와중에도 힘을 낸 실리콘투(+5.0%), 화장품(씨티케이 +9.3%, 코스메카코리아 +9.2%, 선진뷰티사이언스 +7.0%, 클리오 +6.4%, 잉글우드랩 +6.2%, 애경산업 +5.9%, 에이에스텍 +5.4%, 아이패밀리에스씨 +5.2%, 에이피알 +4.4%, 브이티 +3.8%). 미용기기 이루다 +12%, 5/21 자사 핵심 스테디셀러 제품인 'Secret RF'의 업그레이드 모델 'Secret Max’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 취득

4-2. 부산 인디밴드 '세이수미(Say Sue Me)'의 7월 베이징 공연 승인. 중국은 베이징, 상하이 등 대도시 위주로 한국 뮤지션의 단발성 공연을 조금씩 허가하기 시작. ‘한한령(한류 콘텐츠 제한령)’ 전면 해제 기대감에 엔터 급등(에스엠 +11%, 큐브엔터 +7.9%, 하이브 +6.0%, JYP Ent. +5.2%, 와이지엔터테인먼트 +4.1%)

  1. HLB그룹주는 장중 급등했으나 하루를 못 버티고 윗꼬리 형성(HLB 고가 +16% → 종가 -1.2%). HLB 수급 다른 헬스케어로 확산(에스바이오메딕스 상한가, 코오롱티슈진 +12%, 펩트론 +9.2%). 오늘 5/31 ASCO(미국임상종양학회)를 앞두고 초록 공개 예정.

  2. 디지털 영상의료기기 전문업체 디알텍 +22%, 미국 대형 의료기기 배급사와 C-arm 시스템 ‘엑스트론’ 부문 협력을 위한 MOU 체결, 5년간 총 1,000대 공급 예정. C-arm은 C자 형태 구조로 거의 모든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가능. 정형외과, 신경외과, 혈관외과, 일반외과, 마취통증의학과, 비뇨기과 등에서 수술 중 뼈·관절, 혈관 등 수술 위치와 병변 위치를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 또한 엑스트론에 탑재한 혈관조영술을 통해 다양한 혈관 질환 진단 가능, 스텐트 삽입 등 혈관 시술에도 활용

  3. UAE 대통령 5/28~29 방한. 에너지 · 정보통신 · 농업 · 생명공학 · 항공우주 · K컬처원전 · 방산 분야 거론. 가온그룹 +15%, 중동·북아프리카 지역 대형 위성통신사업자 비인미디어그룹과 OTT 디바이스 AI 솔루션 고도화 계약 체결. 개별주: [IPO/의류] 노브랜드 +288%, [희토류] 성안머티리얼스 +17%, KC코트렐 +15%, [로봇] 엔젤로보틱스 +5.8%, [핸드셋] 유티아이 +6.7%, 자화전자 +5.4%(Apple 6/10 WWDC 임박), [IoT] 경인전자 상한가(Google, 자체 스마트홈 플랫폼 '구글홈'의 API 개방, 초기 핵심 파트너사로 LG전자 선정)

(자료) https://tinyurl.com/57mxt2wj

  • 메리츠 시황 개별 텔레그램 링크: https://t.me/DopamineKrystal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2 months, 1 week ago
  1. 고려아연(+3.6%) 관계자는 어제 “오랜 내부 회의 끝에 영풍을 더 이상 동업자가 아니라 경쟁자로 규정한다는 방침을 세웠다”고 인터뷰. 고려아연은 이달 내에 서린상사 신규 이사 선임을 위한 정기 주주총회를 강행하기로 함. 고려아연과 영풍이 만든 비철금속 제품을 유통하는 서린상사는 양가의 우호를 상징하는 핵심 계열사. 고려아연 측이 66.7%를 보유해 최대주주지만, 지분율 33.3%인 영풍의 장 씨 일가가 경영권을 갖고 있음. 고려아연이 서린상사 경영권을 완전히 가져오기로 한 것은 방어에서 공격으로 전략을 변경했음을 알리는 신호탄으로 해석됨. 창업 3세인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측은 경영에 관여하려는 영풍 측 움직임에 우호 지분을 확보하는 식으로 대응해 왔음. 그러다 3/19 주주총회에서 영풍 측 주장인 ‘배당 확대’ 안이 3대주주인 국민연금의 반대로 무산되자 태세를 전환한 것으로 보임

  2. 기타 개별주: [조선] 한화오션 시간외 +3.2%(LNG운반선 8척 2.4조원 수주, 주총 후 미국 진출 속도 기사), [M&A] 쏘카 +4.5% (2대주주 롯데렌탈 vs. 창업자인 이재웅 전 쏘카 대표 지분 확보), [핸드셋/화웨이] 제이앤티씨 +7.7%, [환경] 동성케미컬 +11% (생분해성 포장재 브랜드 에코비바가 100% 식물성 바이오매스 기반인 스티로폼 대체재 Bead Foam을 국내 최초로 개발), [충전] 성호전자 +25% (인도 이륜 전기차 충전기 자회사 IPEC(India Power Electronics Company)가 현대차가 약 3,000억원을 투자한 올라그룹과 장기공급 계약을 맺으며 업계 1위로 등극)

  3. 이번 주 일정

- 3/25(월) 아시아기업지배구조협회(ACGA) 방한(~3/28), HLB/엘앤에프 IR
- 3/26(화) MEMCON 2024(~3/27), 엔젤로보틱스 IPO, LG디스플레이 신주상장(유상증자), 알테오젠/에코프로비엠(이전상장) 주총
- 3/27(수) OLED·XR 코리아(~3/29), NH투자증권 등 배당기준일 T-2, 오스코텍 주주총회
- 3/28(목) KT&G/JB금융지주/한미사이언스/DB하이텍/에코프로(액면분할) 주총, 미국 상무부 반도체 보조금 발표
- 3/29(금) HLB/레고켐바이오/태광산업/씨티씨바이오/남양유업 주총, SK디앤디 변경상장(인적분할), 미국 PCE

(자료) https://tinyurl.com/yv7j6vsd

  • 메리츠 시황 개별 텔레그램 링크: https://t.me/DopamineKrystal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2 months, 1 week ago

[메리츠증권 시황 이수정]
20240325(월) 마감 시황

매크로에서 실적으로

1-1. 삼천당제약, 금요일 유럽 9개 국가와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SCD411 독점 공급 계약 체결 공시에 상한가. 영국, 벨기에, 네덜란드, 노르웨이, 포르투갈, 스웨덴, 그리스, 아일랜드, 핀란드에서 파트너사 총매출의 55%를 수령하는 조건. 55%라는 최상의 조건은 유럽 시장에서 아일리아 PFS(Pre-filled Syringe)가 전체 판매량의 90%를 점유하는 가운데 삼천당제약이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PFS로는 최초로 유럽의약품청(EMA) 허가 신청을 했기 때문. 삼천당제약 연결 종속회사 옵투스제약 상한가

1-2. 바이오시밀러를 포함한 제약 바이오 전반 강세(신풍제약 +13%(일본 전염병), 메드팩토 +10.9%, 박셀바이오 +9.6%(국내 기업 최초로 CAR-MILs 다발골수종 치료제 국제 특허 출원), 부광약품 +8.8%, 한올바이오파마 +6.4%, 대웅제약 +6.4%, 앱클론 +5.1%, 씨티씨바이오 +4.9%, 오스코텍 +4.8%, JW중외제약 +4.7%, 레고켐바이오 +4.7%, 알테오젠 +4.7%, 종근당 +4.3%, 펩트론 +4.1%, 에이프로젠 +3.7%, 바이오니아 +3.1%). OLED + 반도체 + 전해액 + 바이오(CDMO 신사업 진출) 4기통의 덕산테코피아(+13%) 52주 신고가 경신

1-3. 한편 한미그룹은 OCI 통합에 반대하는 '임종윤·종훈' 형제를 각각 한미사이언스 사장과 한미약품 사장직에서 해임(한미약품 +4.2%, 한미사이언스 +4.2%). 경영권 분쟁이 격화하는 가운데 3/28 한미약품그룹 지주사 한미사이언스의 주주총회에서 표 대결 예정. 모녀 측과 형제 측의 한미사이언스 지분은 각각 21.86% vs. 20.47%. 여기에 추가로 한미사이언스의 개인 최대주주인 신동국 한양정밀 회장(지분율 12.15%)이 임종윤·종훈 형제 측 공개지지 의사를 밝힘(20.47% + 12.15% = 32.62%)

1-4. 부광약품(+8.8%)은 3/22 주주총회 후 508억원 규모 자사주 소각(발행주식수의 3.7%)과 더불어 덴마크 연구개발 자회사 Contera Pharma A/S의 지분 632억원 추가 인수 공시. 에이치델타 사모투자합자회사로부터 주식 양수 후 부광약품의 Contera Pharma 지분율은 74.14% → 98.56%로 증가. 양수 예정일은 4/1, 양수 자금은 보유자금 및 차입금으로 조달할 예정. 이우현 부광약품 대표이사 겸 OCI그룹 회장은 해외에서 Contera Pharma 기업공개를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발표

1-5. HLB 그룹주는 3/26 HLB테라퓨틱스, 3/27 HLB제약, 3/28 HLB생명과학, 3/29 HLB 주주총회를 앞두고 거의 모든 종목이 52주 신고가 경신((제약바이오) HLB +6.3%, HLB생명과학 +22%, HLB제약 +3.5%, HLB테라퓨틱스 +18%, HLB바이오스텝 +8.7%, HLB파나진 +9.5% / (기타) HLB이노베이션 +13%, HLB글로벌 +21%). HLB생명과학과 HLB테라퓨틱스의 자금 조달도 호재로 인식되는 모양. HLB 주총에서는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병용요법 FDA 파이널 리뷰(Late Cycle Review) 결과가 공유될 것으로 기대. 5월 FDA 허가, 9월 미국 현지 판매 목표

1-6. 비올(+11%)은 금요일 자사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을 통해 '실펌엑스(SYLFIRM X)'가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의 승인을 획득했다고 발표. 당초 예상했던 시기보다 당겨져 4월 말 허가를 기대했는데 이보다도 더 앞당겨진 것. 미용 의료기기 전반 리레이팅(파마리서치 +8.5%, 제이시스메디칼 +6.9%, 대웅제약 +6.4%, 레이저옵텍 +4.1%, 에이피알 +4.1%, 휴메딕스 +3.7%, 이루다 +3.6%, 휴젤 +3.6%, 하이로닉 +3.3%, 클래시스 +3.2%). 특히 NMPA 승인 대기 종목인 올리지오(Oligio) 제조사 원텍(+19%) 급등

  1. 엘앤에프는 오늘 드디어 SK온향 하이니켈 양극재 공급 계약 체결 공시. 13조원 규모, 2030년까지 7년 동안 공급. 물량은 전기차 300만대 분량인 약 30만 톤으로 알려짐. 주가는 선반영 인식에 +0.1% 극보합 마감. 오늘 장마감 후 공시 설명 및 추가 수주 진행 사항 공유를 위한 IR 진행. 에코프로비엠(+5.1%)은 3/26 이전상장을 결의하는 주총, 에코프로(+2.2%)는 3/28 액면분할을 결의하는 주총 예정.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6.1%)는 오늘 주총에서 올해 배터리 업황 악화에도 글로벌 현지 거점 투자와 차세대 2차전지 소재 R&D를 강화하겠다고 언급. 기타 2차전지 개별주 강세(대주전자재료 +5.2%, 에코프로에이치엔 +3.5%, 제이오 +3.5% / 중앙첨단소재 +24%, 광무 +13%)

3-1. 삼성전자가 이르면 9월 Nvidia에 HBM3E 12단을 단독 공급한다는 "단독" 기사. 시세는 금요일 SK하이닉스향 HBM 제조용 'DUAL TC BONDER 1.0 Griffin' 장비 수주(215억원, 약 3개월)를 공시한 한미반도체(+3.8%)에서 발생. 하이닉스로부터의 듀얼 TC 본더 누적 수주 금액은 2천억원을 넘어서며 창사 이후 최대 수주 기록. 올해는 듀얼 TC 본더가 매출에 이바지하는 원년으로, 회사는 4,500억원의 매출 목표를 무난히 달성할 것으로 전망. 국제반도체표준협의기구(JEDEC)가 HBM4 적층 높이를 775마이크로미터로 완화하기로 하며 하이브리드 본더가 TC 본더를 대체할 것이란 우려가 해소된 것도 호재. 높이 기준이 완화되며 TC 본더를 6세대인 HBM4 생산에도 계속 적용할 수 있게 됨

3-2. 삼성전자가 Johnson Controls International의 냉난방공조(HVAC) 사업부 인수를 추진한다는 기사도 나옴. 삼성엔지니어링과 국내외 플랜트 HVAC Control 부문에 대해 2년 간 입찰 없이 독점계약을 하게 되는 기본협약(Frame agreement)을 체결한 이력이 있는 이삭엔지니어링 +23%

  1. KOSDAQ 강세에 종목 확산. 4/1 YG엔터테인먼트 베이비몬스터 7인조 완전체 활동과 더불어 4/17(추정) 뉴진스 컴백 예정(하이브 +5.7%). 넷마블(+6.8%)은 태국에서 오픈베타를 진행 중인 신작 액션 RPG '나 혼자만 레벨업:어라이즈'가 현지 앱스토어에서 인기·매출 1위 달성. 컴투스(+3.6%)는 그룹사가 참여하는 블록체인 메인넷 엑스플라(XPLA)에서 쓰이는 거버넌스 코인(의결권이 있는 가상화폐) XPLA가 가상화폐 거래소 '비트겟'에 상장. NHN(+4.1%)클라우드는 자사 데이터센터에 99.5페타플롭스(PF) 규모의 GPU 서버를 구축(1PF = 1초에 1000조 번 연산 처리)했고, 이 중 Nvidia 기반 GPU만 77.3PF에 달한다고 밝힘. 국내 최대 규모로 경쟁 데이터센터의 3배 수준. 이를 기반으로 AI 인프라를 선점하겠다는 ‘NHN클라우드 2.0’ 전략을 발표(3/21)

  2. 소비주 중 실적이 기대되는 종목 선별적 강세. [면세] 글로벌텍스프리 +14%, [화장품] 아이패밀리에스씨 +12%, 씨앤씨인터내셔널 +5.2%, 브이티 +4.2% 등. EU가 러시아산 곡물에 최대 50% 관세 부과를 예고하며 [사료] 한일사료 +26%, 미래생명자원 +13%, [식품] 삼양식품 +7.0%, 정다운 +7.0%, 팜스토리 +4.9%, 우듬지팜 +4.4%, 빙그레 +3.5%

2 months, 1 week ago

📮 [메리츠증권 음식료/유통 김정욱]
Loplat 기준 유통 주요 기업별/채널별 방문자 트래픽 전년비 성장률
2023.3.25(월)

보고서링크: https://han.gl/VIvSn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2 months, 2 weeks ago

5-1. CATL 작년 매출 4,009억 위안(약 74조원, YoY +22%), 순이익 441억 위안(약 8.15조원, YoY +42%)으로 시장 예상치 상회. 특히 매출은 역대 최대 기록으로 LG에너지솔루션(33.7조원)+삼성SDI(22.7조원)+SK온(12.9조원)=69.34조원을 상회. 오늘 본토에서 CATL +5.5% (BYD +4.1%). LFP 관련주 상승(탑머티리얼 +5.0%)

5-2. CATL 규모의 경제를 이기려면 한국은 전고체 배터리 등 차세대 기술을 확보해야한다는 인식 심화. 낙폭과대 + 전고체의 삼성SDI(+4.5%)를 위시해 다시 한 번 2차전지 업종 N번째 반등 시도(엘앤에프 +8.8%, 새로닉스 +6.9%, SK이노베이션 +4.7%, 에코프로비엠 +4.5%, 에코프로 +2.3%, LG에너지솔루션 +2.3%, LG화학 +2.1%)

5-3. 이수스페셜티케미컬(+17%)은 경북 구미에 전고체배터리 핵심 원료 황화리튬(Li2S) 생산을 위한 공장 건설 MOU 체결, 3,000억원 투자 예정. 전고체 관련주 강세(레이크머티리얼즈 +8.6%, 천보 +6.7%, 덕산테코피아 +5.8%, 씨아이에스 +4.6%, SK아이이테크놀로지 +4.1%). 소재 부품주 전반 상승(에코프로에이치엔 +26%, 에코앤드림 +8.5%, 동원시스템즈 +8.0%, 동원시스템즈우 +6.5%, 코스모화학 +3.4%)

5-4. 탄산리튬 가격은 3/15 기준 kg당 105.5위안(19,540원)으로 올해 들어 처음으로 100위안대 진입. 리튬주 급등(리튬포어스 상한가, 하이드로리튬 +24%(1/26 하이드로리튬-리튬플러스-리튬포어스 3사가 볼리비아 정부와 볼리비아 국영 리튬공사(YLB)가 추진하고 있는 볼리비아 염호 개발 프로젝트 국제모집에 참가해 국내 기업으로서는 유일하게 1단계 심사를 통과), 미래나노텍 +12%, 지오릿에너지 +7.5%, 강원에너지 +6.3%). 리튬 수입 신사업에 뛰어들었던 손오공(+16%)

  1. Nvidia 행사와 3/26 엔젤로보틱스 상장을 앞두고 로봇 반등(삼익THK +11%, 에브리봇 +8.6%, 두산로보틱스 +6.8%, 레인보우로보틱스 +2.3%). 아이쓰리시스템(+17%, 국내 유일 군수용 적외선 영상센서 양산)과 아진에스텍(+14%, 1Q24 삼성전자에 산업용 로봇 납품 본격화)이 특징주

  2. KOSDAQ 말랑이들 대거 강세. '나이트 크로우' 동시접속자가 26만명을 돌파하며 '미르4'를 제침. 3/14 장현국 대표가 사임하며 급락했던 위믹스 시세도 소폭 회복, 위메이드 그룹주 반등(위메이드 +24%, 위메이드맥스 +17%, 위메이드플레이 +13%). 게임(컴투스홀딩스 +4.5%), 엔터(와이지엔터테인먼트 +5.0%), PG(카페24 +5.6%) 특징주 선방

  3. 기아(+2.4%)는 오늘이 배당기준일 T-2(DPS 5,600원). 시가총액 51조 4,617억원으로 KOSPI 5위 등극, 시총 51조 2,964억원, KOSPI 7위인 현대차(-0.4%) 추월. 참고로 6위는 삼성전자우. 이외 개별주: [수출데이터/미용기기] 원텍 +7.3%, [화장품] 실리콘투 +7.4%, [임플란트] 디오 +3.0%, [풍력] 씨에스베어링 +5.3%, [영화] 콘텐트리중앙 +4.5% (5년 만의 흑자전환 전망), [자사주 소각] 커넥트웨이브 +6.8%, [실적] 세아제강지주 +7.1% (2023년 창사 이래 최대 영업이익 실현), DL +3.9% (1Q24 흑자전환 기대)

  4. 이번주 증시 일정
    3/18(월) Nvidia GTC(~3/21), GDC(게임 개발자 컨퍼런스, ~3/22), BIO-Europe Spring(~3/20), 기아 결산 배당기준일 T-2
    3/19(화) BOJ 금리결정, 고려아연 주주총회, 넷마블 '나 혼자만 레벨업: 어라이즈' 쇼케이스, 미국 공화당 경선(Super Tuesday)
    3/20(수) 삼양패키징 주주총회, CFMS(China Flash Market Summit), SECON(세계 보안 엑스포, ~3/22)
    3/21(목) (한국 시간 새벽) FOMC, Micron 실적 발표, 하나투어/현대모비스 배당기준일 T-2, 삼현 신규 상장, (밤) Reddit 상장
    3/22(금) 금호석유화학 주주총회, 바이오다인 무상증자 신주 상장, 확률형 아이템 정보 공개 법적 의무화, (밤) 파월 연준 의장 연설

(자료) https://tinyurl.com/yjbyx66j

  • 메리츠 시황 개별 텔레그램 링크: https://t.me/DopamineKrystal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2 months, 2 weeks ago

[메리츠증권 시황 이수정]
20240318(월) 마감 시황

Big Week

  1. 한국 증시는 지난주 금요일 동시만기일의 후폭풍 + FTSE 리밸런싱 영향 반영 후 월요일 소폭 회복. KOSDAQ은 ADR 과매도 영역(73pt)에서 반등해 올해 들어 처음으로 890선 상회. 두 지수 모두 ADR은 1월 말의 과매도 영역에 재진입했는데 지수는 밴드 상단. 주가지수는 가격의 변동, ADR은 등락종목수의 변동을 나타내므로 이는 최근 1개월 동안 소수 종목이 지수 상승을 견인했다는 의미. ADR이 과매도 영역에서 회복되며 종목 쏠림 → 확산 가능성. 미국도 금요일 '쿼드러플 위칭 데이' + S&P 500 리밸런싱 이후 이번주 향방이 중요

1-1. 구리 가격이 박스권을 깨고 11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 제련수수료(TC) 마진이 줄자 중국 제련소가 공동 감산에 합의한 영향(풍산 +5.3%). 전선 가격 상승 기대에 전력 인프라 관련주 강세(일진전기 +17%, 대원전선 +7.3%, 가온전선 +7.2%, 효성중공업 +7.2%, LS +6.2%, 대한전선 +5.1%, LS에코에너지 +5.0%, LS ELECTRIC +4.9%, 제룡전기 +4.5%, HD현대일렉트릭 +4.5%, 일진홀딩스 +3.2%)

1-2. 효성중공업과 HD현대일렉트릭이 참여하는 4억 파운드(약 6,800억원) 규모 영국 노스요크셔주 전력망 구축 사업이 현지 정부의 개발 허가를 받은 것도 호재. 한편 서진시스템(+2.9%)은 글로벌 ESS 및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에 따른 수혜 전망에 통신장비(5G) 그룹 내에서 차별화, 52주 신고가 경신

2-1. 클락슨 중고선가지수 3월 평균 165로 작년 149에서 크게 상승. 유조선 등 탱커와 원자재를 운반하는 벌크선이 특히 강세. 탱커 중고선가는 해운 붐 시절인 2008년 이후 약 15년 만에 최고 수준 기록. 벌크선도 2011년 이후의 고가 수준. 용선 시황이 원래도 회복세였지만 최근 홍해 리스크로 인한 우회 등으로 일부 항로 및 선형에서 수요가 급증한 결과. 중고선가의 상승은 신규 선박 발주로 이어짐. 신조선가 역시 3/15 183으로 지난주 182에서 상승, 2008년 이후 처음으로 180을 상회하고 있으며 역대 최고점인 2008년 8월의 191.51에 근접 중

2-2. 미-중 분쟁의 영역이 조선과 해운 · 물류로 확장. 2023년 3월 미 국방부와 정보당국은 미국 항구마다 설치되어 있는 중국 상해진화중공업(ZPMC) STS 크레인(Ship to Shore Crane)의 사이버 위협 가능성 조사. 크레인에 부착된 센서가 설계상 원격으로 제어, 서비스, 프로그램할 수 있기 때문에 '트로이 목마', '제2의 화웨이'로 기능할 수 있다는 주장. 2/21 바이든 대통령은 해양 사이버 안보 위협에 대응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토안보부 권한을 확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흥아해운 +6.9%)

2-3. 한화오션(+7.8%)은 작년 10월 미국 필리조선소(Philly Shipyard) 인수 타진 기사화로 조선 3사 중에서도 부각. 필라델피아는 미 해군이 태동한 지역으로 세계 최대 해군기지이자 미 해군의 핵심기지인 버지니아주 노포크와 해군사관학교 소재지 아나폴리스 등과도 인접(한화 +4.1% / 상상인더스트리 +6.1%, HD현대중공업 +5.1%, STX중공업 +3.0%, 세진중공업 +2.8%, 인화정공 +2.2%, STX엔진 +2.2%, 현대미포조선 +2.2%, 한국카본 +1.9%, 현대힘스 +1.8%, 삼성중공업 +1.7%, HD한국조선해양 +1.3%)

2-4. 미국 연안무역법(Jones Act)에는 자국에서 건조 또는 상당 부분 개조되거나 미국에 해상운송 권한을 등록하고 미국인이 승선한 선박만이 미국 연안 운송을 할 수 있도록 되어있음. 한국을 포함한 대부분 국가가 국내 항구 간 운송 권한을 국가가 갖고 해당 국가에 등록된 선박에 한정한다는 법안을 채택하고 있지만, 미국은 '자국 내 건조'라는 추가 조건을 명시. 선종에 따라 요구 범위가 달라지는데 군(軍)이 사용하는 선박의 경우 관련 규정이 더욱 엄격하게 적용됨. 지난 2월 말 Carlos Del Toro 해군성 장관의 HD현대중공업, 한화오션 사업장 방문으로 국내 조선업계의 미 해군 함정 유지·보수·정비(MRO) 사업 진출 기대감 확대

3-1. TIGER 헬스케어(+1.5%) ETF가 52주 신고가를 기록하는 등 헬스케어 종목 다수 강세. 툴젠은 미국 특허청(USPTO) 사이트에서 RNP 특허 신청건 승인(Allowed) 문구가 공유되며 상한가(https://patentcenter.uspto.gov/applications/18314050). 최근 툴젠과 차세대 세포치료제 공동연구개발 협약을 맺은 차바이오텍(+8.1%), 한독(+4.9%) 상승

3-2. 미-중 분쟁의 또다른 반사 수혜 영역, 위탁개발생산(CDMO)에서 바이넥스(+7.8%) 연일 상승, 삼성바이오로직스(+4.0%)가 뒤늦게 따라잡으며 두 종목 모두 장중 52주 신고가 경신. 삼성바이오에피스 임상 총괄 상무의 "키트루다 시밀러 2025년말 임상 1상 완료, 산도스와 암젠보다 빠른 임상으로 72.5조원(2032년 기준) 시장에서 선점을 자신한다"는 인터뷰 기사도 나옴. 덕산테코피아(+5.8%)는 3/4 의약품 중간체 생산을 통해 바이오 CDMO 신사업 진출 선언

3-3. 에스티팜(+24%)은 고객사인 Geron(GERN, +92%)의 혈액암치료제 후보물질 '이메텔스타트'가 FDA 항암제자문위원회(ODAC)의 임상 3상 유효성/리스크 프로파일 검토를 통과하며 6월 신약 승인 기대가 부각되자 급등(에스티팜의 Geron향 상업화 매출 증가 기대), 코오롱티슈진(+6.3%, 관리종목)과 함께 52주 신고가

3-4. 동구바이오제약(+13%)은 투자회사인 디앤디파마텍이 Google Ventures 등이 설립한 미국 바이오회사, Metsera와 체결한 경구용 비만 치료제 기술이전 계약의 개발 품목 확대에 따른 수정 계약과 주사용 비만 · MASH 치료제에 대한 글로벌 기술이전 계약을 신규로 체결하며, 계약 총규모가 1조원 이상으로 확대. 시노펙스(+14%, 3/14 혈액투석 장비인 인공신장기에 사용되는 혈액투석 필터 식약처 품목허가 획득), 삼천당제약(+11%, 3/14 유럽 파트너사가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SCD411)의 바이알과 프리필드 시린지 제형에 대해 유럽의약품청(EMA)에 허가신청)도 지난주 호재에 따른 시세가 이어짐

3-5. 오늘 투자경고종목 지정해제=투자주의로 격하된 알테오젠은 장중 고가 +10% 기록 후 차익실현이 나오며 종가 -1.2%로 윗꼬리. 시세는 다수 헬스케어 종목으로 파급(CG인바이츠 +21%, 휴마시스 +13%(300억원 자사주 취득 공시, 3개월, 상장주식수의 13.6%), 파미셀 +11%, 제넥신 +11%, 네이처셀 +10%, 박셀바이오 +8.6%, 인트론바이오 +7.1%, 메드팩토 +6.5%, 보로노이 +5.5%, 프레스티지바이오 +4.6%, 대웅제약 +4.2%, 이연제약 +4.1%)

4-1. 오늘 밤 Nvidia GTC 2024 드디어 개막, 젠슨 황 CEO 기조연설이 예정되어 있음. AI 가속기 수주 확대 전망에 HBM 2대장인 이수페타시스(+13%, 다층인쇄회로기판(MLB)) 급등, 한미반도체(+2.2%) 선방

4-2. 기조 연설에서 공개될 코드명 Blackwell이 칩렛(Chiplet) 구조라는 주장이 제기되며 관련주 반응(퀄리타스반도체 +6.0%, 3S +14%). B100은 TSMC의 CoWoS-L 패키징 기술을 적용해 2개의 다이를 하나로 패키징한 구조로 Nvidia 최초의 칩렛 기반 모듈형 GPU가 될 것이란 외신 보도

4-3. SK이노베이션(+4.7%)은 자회사 SK엔무브를 통해 올해 하반기 국내에서 처음으로 데이터센터 액침냉각 제품 사용화 계획(GST +12%). 디케이락(+7.7%)은 석유·에너지산업에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피팅·밸브를 제조하는 회사로 지난달 삼성전자로부터 제품 승인을 받았고, 삼전을 시작으로 TSMC 등 반도체 기업에 피팅·밸브 제품을 납품할 것이라는 대표 인터뷰 보도. 유리기판(HB솔루션 +8.1%, SKC +6.2%), 두산(+12%, 동박적층판(CCL))을 비롯해 반도체 종목별 강세(타이거일렉 +14%, 하나머티리얼즈 +5.3%, 피에스케이 +5.1%, 티에스이 +4.1%)

2 months, 2 weeks ago

📮 [메리츠증권 음식료/유통 김정욱]
Loplat 기준 유통 주요 기업별/채널별 방문자 트래픽 전년비 성장률
2023.3.18(월)

보고서링크: https://han.gl/1NEze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2 months, 3 weeks ago

- 장비: 엑시콘 상한가, GST +22%, 자비스 +20%, 케이엔솔 +19%, 유니셈 +13%, 테크윙 +12%, 유니테스트 +12%, 네오셈 +10%, 와이아이케이 +8.4%, 신성이엔지 +8.0%, 네패스아크 +7.8%, 프로이천 +6.3%, 예스티 +5.8%, 하나마이크론 +5.7%, 펨트론 +5.4%, 제우스 +5.0%, 피에스케이 +4.3%, 에프에스티 +3.5%, 고영 +3.2%, 티씨케이 +3.2%, HPSP +3.0%, 에스에프에이 +2.9%

4-1. 밸류업 테마 내에서는 은행이 돋보임. KODEX 은행, TIGER 은행 ETF는 장중 52주 신고가 경신. 어제 금감원의 홍콩 H지수 기초 ELS 사태 관련 분쟁 조정 기준안 발표. 손실 배상 규모가 주주환원에 영향을 주지 못할 것으로 전망되며 판매 규모가 가장 큰 KB금융(+3.5%) 52주 신고가 경신(기업은행 +3.3%). cf) 은행별 H지수 ELS 판매 규모: 국민은행 8조원, 신한은행 2.4조원, NH농협은행 2.2조원, 하나은행 2조원, SC제일은행 1.2조원, 우리은행 400억원

4-2. NH투자증권(+2.9%)은 결산배당기준일을 3/29로 정하고 보통주 800원, 우선주 850원 배당 공시(시가배당율 각각 6.7%, 7.8%). 또한 3개월(3/12~6/11) 동안 자사주 500억원=4,173,622주(상장주식수 대비 1.3%)을 취득하고 소각하기로 결정(NH투자증권우 +2.7%). 자기자본 1조원 미만 증권사 중 유진투자증권(+6.0%) 상승

  1. 순환매로 KOSPI 대형주 중 LG전자(+2.4%), 카카오(+2.2%)가 나름 선방. 이외 개별주: [게임] 위메이드 +9.6%(위믹스 4,000원 돌파, '나이트 크로우 글로벌' 출시), [제3자배정증자] 래몽래인 상한가(와이더플래닛, 이정재 등에 290억원 제3자배정 유상증자 공시), 위지윅스튜디오 +14%, [수처리] 한성크린텍 +16%, [AI] 엠로 +4.0%, 쿠쿠홀딩스 +9.2%, 쿠쿠홈시스 +5.5%(쿠쿠전자/홈시스 콜센터에 'AI콜봇' 도입), [저PBR] 현대홈쇼핑 +4.6%, [자산주] 한샘 +4.6%(상암 본사 사옥 매각을 위한 새 주관사 계약 체결), [지주] 두산 +5.7%(소형원전·로봇·반도체 신사업 부각)

(자료) https://tinyurl.com/49a8pd3d

  • 메리츠 시황 개별 텔레그램 링크: https://t.me/DopamineKrystal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We recommend to visit

contact. @jefrenbot

Last updated 12 months ago

공표된 리서치 내용을 공유하는 채널입니다

Last updated 1 week, 1 day ago

,,공식 채널"✍️ Murojat uchun: @korean_teacher01
Topik va Eps topik darslari
Vizalar bo'yicha yangiliklar
Koreya haqida yangiliklarni ulashib boramiz.

Last updated 1 month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