ㅤㅤ𝗜𝗡𝗙𝗢𝗥𝗠𝗔𝗧𝗜𝗢𝗡 𝗔𝗕𝗢𝗨𝗧 𝗞𝗜𝗠
♞ . owner & c.own :: @ujasmine • @aduhh
♞ . admin :: t.me/KimRekber/5137
❈ proof & rate :: @proof_kim • @ratekim
❈ fraud & pp :: @infoscamr • @ppkimrekber
ⓘ tidak menerima format melalui rc ⓘ
Last updated 3 weeks, 5 days ago
볼만한 뉴스와 증권사리포트, 글로벌경제뉴스. 와신 등을 공유합니다. 내용은 매도/매수의 의견이 아닙니다.매매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있습니다
●/ ●/
《 | 《 |
/〉 제보.문의 /〉
제보/각종 문의 받습니다.
@yeouidooppa
Last updated 3 weeks, 5 days ago
비트코인 & 경제 & 재테크정보를 공유드리는 방입니다
채팅방 - @enjoymyhobbychat
모든 글은 투자의 참고 자료일 뿐이며,
투자 판단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홍보, 후원, 광고 : @KimYoungTaek 문의
Last updated 3 weeks, 4 days ago
Today Chart: 2025년 1월 FOMC 의사록에서 주목할 내용 🇺🇸안녕하세요🙂
LS 증권 채권 우혜영입니다.
오늘 새벽에 1월 FOMC 의사록이 공개되었는데요, 주목할만한 내용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물가에 대한 위원들의 평가 및 전망
- 다수(most) 위원들은 11월과 12월 MoM 인플레이션 수치가 일부 주요 하위 카테고리를 포함해 연준의 물가안정 목표로의 상당한 진전 보였다 언급. 많은(many) 위원들은 2%로 지속 가능하게 복귀하고 있다는 견해를 뒷받침하기 위해 지속적인 디스인플레이션의 추가 증거 필요성 강조. 하위 카테고리에 대해서는, 지난해 대부분 높았던 주거비는 비주거 근원 서비스 물가와 마찬가지로 하락세 보임
- 적절한 통화정책 하에서 인플레이션은 과정이 고르지 않더라도 2%를 향해 계속 움직일 것으로 예상. 물가에 계속 하방 압력 줄 여러 요인으로 명목임금 상승률 완화, 잘 고정된 장기 기대인플레이션, 기업의 가격 결정력 약화, 여전히 제약적인 통화정책 스탠스 등이 언급됨
- 일부(a few) 위원들은 現 정책금리가 중립수준을 크게 상회하고 있지 않음을 지적. 교역 및 이민정책의 잠재적인 변화, 강력한 소비자 수요 영향을 포함한 다른 요인들이 디스인플레이션의 진전을 방해할 가능성이 있다 언급. 여러 지역의 기업 관계자들은 잠재적인 관세로 인해 발생하는 더 높은 투입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하려는 시도할 것
- 일부 위원들은 설문 기반 기대 인플레이션이 최근에 증가했다고 지적했지만, 많은 위원들은 장기 기대 인플레이션이 잘 고정되어 있음을 강조
👩🏻💻👨🏻💻고용에 대한 위원들의 평가 및 전망
- 위원들은 노동시장 여건이 여전히 견고하며 최대고용 목표에 대체로 부합한다 평가. 최근 빈 일자리, 퇴사율, 이직률 등이 대체로 안정적인 노동시장 상황과 일치한다고 언급
- 위원들은 적절한 통화정책 하에서 노동시장 여건이 견고하게 유지될 것으로 전망
🌐경제 및 소비에 대한 위원들의 평가
- 위원들은 경제가 견고한 속도로 계속 확장되고 있으며, 최근 경제활동 및 소비자 지출 데이터는 예상보다 더 강했음(stronger)을 관찰. 위원들은 견고한 노동시장, 가계 순자산 증가, 실질 임금 상승 등이 소비를 뒷받침하고 있으며 이는 부분적으로 생산성 향상 과 관련이 있다 언급
- 여러(several) 위원들은 저소득 및 중소득 가계가 계속 재정적 부담을 느끼고 있어 소비 지출이 위축될 수 있다고 경고. 일부(a few) 위원들은 신용카드 대출과 자동차 대출에 대한 연체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그러한 압박의 징후로 언급
🧮통화정책 관련 언급(정책금리 결정 및 대차대조표 축소(QT))
- 정책 스탠스가 이전 3차례 회의에서 정책을 완화하기 전보다 상당히 덜 제한적이므로 모든(all) 위원들은 동결 결정이 적절하다 판단
- 대다수(vast) 위원들은 여전히 제약적인 스탠스라 평가. 위원들은 경제가 최대고용에 가까운 상태 유지한다면 추가 조정 전 인플레이션에 대한 추가 진전 보고 싶어함을 밝힘
- 대다수(a majority) 위원들은 現 높은 불확실성으로 추가 조정 고려하는 데 신중한 접근 적절 판단. 이를 뒷받침하는 요인으로는 노동시장과 경제 활동 전망에 대한 하방 리스크 감소, 물가 전망에 대한 상방 리스크 증가, 중립 금리, 장기금리의 제약 정도 또는 잠재적 정부 정책의 경제적 영향에 대한 불확실성 등이 포함
- QT 종료 후의 유통시장에서의 미국채 매입 구성과 관련해 많은(many) 위원들은 국채 발행 구성에 더 가깝게 SOMA 포트폴리오 구성을 조정하는 동시에 시장 교란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매입을 구조화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의견 표함. 부채한도와 관련해 향후 몇 달간 지급준비금 크게 변동할 가능성 고려해 여러(various) 위원들은 이 상황이 해결될 때까지 QT의 일시 중단 또는 속도 조정 적절하다 언급
📌Key Point
✅연준은 적절한 통화정책 하에서는 고르지 않더라도 인플레이션이 목표를 향해 계속 움직일 것이라 예상. 고용 평가 및 전망은 12월과 거의 같음
✅12월보다 더 많은 인원이 소비 지출이 위축될 가능성 있다고 평가(a couple → a few)
✅신중한 정책 결정 필요한 이유로 중립 금리, 장기금리의 제약 정도 또는 잠재적 정부정책의 경제적 영향 관련 불확실성 등이 추가 됨. 반면 최근 높은 인플레이션 수치, 지속적인 강한 소비지출은 제외 됨
✅QT 중단 시점 서베이 결과는 6월(12월)→2025년 중반으로 약간 지연. 12월 FOMC 회의에서 매니저는 부채 한도 재도입 가능성에 지급준비금 평가 어려울 수 있다고 평가. 1월 FOMC 회의에서는 위원들 역시 이에 대해 논의 한 것 확인. QT 종료는 어렵겠지만 조정이 될 가능성 높아짐
✅ 정책금리 추가 조정은 신중하게 진행될 것이나 예상외로 QT 조정이 먼저 나올 것으로 전망
[자료원문] https://msg.ls-sec.co.kr/eum/K_20250220_31287_324.pdf
★Market Briefing 2025년 02월 20일★
LS증권 매크로팀입니다.
[미국 증시 동향]
뉴욕 증시는 상승 마감(다우 0.16%, S&P500 0.24%, 나스닥 0.07%). S&P500 지수는 2거래일 연속 사상최고치 경신. 1월 FOMC 의사록 속 연준 위원들의 신중한 스탠스, QT 속도 조절 관련 발언 등이 증시에 상방 압력. 애틀랜타 연은 라파엘 보스틱 총재는 정책은 여전히 제약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금리 조정을 잠시 멈추고 경제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보는 것을 지지한다고 덧붙임. 종목별로 보면 마이크로소프트는 자체 개발 양자 칩 'Majorana1' 발표하며 주가는 1.3% 상승. 퀀텀컴퓨팅(+7.9%), D-웨이브 시스템(+8.3%) 등 양자컴퓨터 관련 종목 주가가 함께 급등. 애플은 아이폰16e 모델을 발표했고 주가는 +0.2% 상승하며 강보합 마감. S&P 11개 섹터 중 헬스케어(+1.3%), 필수소비재(+0.8%)등 섹터가 상승. 뉴욕 유가는 산유국의 증산 연기 전망에 상승 마감
[미국 채권시장 동향]
뉴욕 채권 금리는 하락 마감. 1월 FOMC 의사록에 따르면, 향후 몇 개월 간 부채한도 관련해 준비금에 큰 변동성 있을 가능성 고려 시, 다양한(various) 위원들은 대차대조표 축소를 일시 중단하거나 늦추는 것이 적절하다고 언급. 금리 인하와 관련해서는 대다수의(a majority of) 위원들은 현재의 높은 불확실성으로 인해 통화정책 스탠스의 추가 조정을 신중하게 고려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언급. 그 이유로 노동시장과 경제 활동 전망의 하방 리스크 감소, 인플레이션 전망의 상방 리스크 증가, 중립금리에 대한 불확실성, 높은 장기 금리로 인한 제약 수준, 정부 정책의 경제 영향 등을 지목. 미 재무부 160억 달러 규모의 20년물 입찰에서는 낙찰금리 4.830%를 기록. 응찰률은 2.43배로 전월(2.7배)대비 큰 폭 하락. 2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4.2bp 하락한 4.269%,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1.8bp 하락한 4.533%로 마감. 10년물과 2년물 스프레드는 26.4bp로 확대
[한국 채권시장 동향]
국고채 금리는 하락 마감. 전거래일 신중한 연준 위원들 발언에 상승한 미국채 금리와 동조화되며 약세 출발. 외국인 투자자들 또한 국채선물 양년물을 일제히 순매도하며 약세 압력. 다만 금통위 경계감, 통화정책 관련 발언을 소화하며 강세 마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2월 한은의 통화정책 결정에서 환율추이, 물가추이, 내수 등 경기 상황, GDP 성장 관련 전망을 볼 때 더 완화적인 통화정책이 바람직하다고 언급. 3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1.2bp 하락한 2.63%,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0.5bp 하락한 2.875%로 마감. 외국인은 3년 국채선물(KTB)은 251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LKTB)은 2,592계약 순매도
경제지표
(일본) 12월 기계류 수주(YoY): 4.3%, 6.9%, 10.3%
(미국) 1월 주택 착공: 1.366M, 1.4M, 1.515M
※발표예정 경제지표(전망, 이전)
(중국) 2월 대출우대금리(1Y): 3.1%, 3.1%
(미국) 2월 필라델피아 연준 제조업지수: 20, 44.3
◆ 미국 증시
DOW: 44627.59p(+71.25p, +0.16%)
S&P500: 6144.15p(+14.57p, +0.24%)
NASDAQ: 20056.25p(+14.99p, +0.07%)
◆ 외환시장
NDF환율(1개월물): 1438.47원/전일 대비 0.03원 하락출발
달러인덱스: 107.165(+0.127, 0.12%)
유로/달러: 1.04254(-0.0022, -0.21%)
달러/엔: 151.479(-0.542, -0.36%)
파운드/달러: 1.25879(-0.0019, -0.15%)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269%(-4.2bp)
5년물: 4.366%(-3.9bp)
10년물: 4.533%(-1.8bp)
30년물: 4.766%(-0.1bp)
(스프레드)
기준금리-2Y: 0.231%p
10Y-2Y: 0.264%p
30Y-10Y: 0.233%p
◆ 주요 국가 10년물 금리
독일: 2.556%(+6.1bp)
영국: 4.608%(+5.3bp)
프랑스: 3.231%(+7.2bp)
그리스: 3.37%(+7.9bp)
이탈리아: 3.633%(+9.1bp)
스페인: 3.164%(+7bp)
일본: 1.435%(+0.4bp)
호주: 4.526%(+2.2bp)
◆ 국내 국채시장
3년물: 2.63%(-1.2bp)
5년물: 2.747%(-0.8bp)
10년물: 2.875%(-0.5bp)
30년물: 2.685%(-0.3bp)
(스프레드)
5Y-3Y: 0.117%p
10Y-3Y: 0.245%p
30Y-10Y: -0.19%p
(국채선물)
3년 KTB: 106.63(+0.04)
10년 KTB: 118.07(+0.06)
◆국내 크레딧 시장 SP(국고채대비)
AAA 공사채
1년:+15.3bp(1.6)
3년:+24.5bp(0.5)
5년:+20.4bp(0.1)
AAA 은행채
1년:+21.9bp(1.2)
3년:+28.2bp(par)
5년:+26.3bp(par)
AA+ 회사채
1년:+29.5bp(2)
3년:+50.3bp(0.5)
5년:+46.1bp(-0.2)
AA+ 카드채
1년:+28.8bp(1.7)
3년:+41.8bp(-0.3)
5년:+40.2bp(-0.1)
AA- 캐피탈
1년:+36.6bp(1.5)
3년:+55.9bp(-0.5)
5년:+71bp(-0.1)
A+ 캐피탈
1년:+105.3bp(1.5)
3년:+145.4bp(-0.5)
5년:+184.8bp(-0.1)
◆ 상품시장 ($)
WTI: 72.25(+0.4, +0.56%)
브렌트유: 76.04(+0.2, +0.26%)
금: 2949.4(+0.4, +0.01%)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LS Global Market Daily(2/2)_20250220
[Web발신]
LS증권 리서치센터
투자전략팀 황산해
URL: https://vo.la/FbxYRD
^[특징주: 잊혀진 양자컴퓨팅 재부각, SEDG로 태양광 랠리]
▶ 마이크로소프트 (MSFT, +1.3%), 첫 양자컴퓨팅 칩 공개
첫 양자컴퓨팅 칩 '마요라나 1(Majorana 1)'을 공개하자 주가 상승. 특징적인 부분은, 칩이 위상 초전도체를 통해 구현된 점. 위상 초전도체란 형태와 무관하게 입자 간 위상이 유지되는 물질. 양자 테마는 작년 말 알파벳의 '윌로우(Willow)' 공개로 랠리 지속. 다만 젠슨 황 비롯한 주요 인사들의 보수적 발언으로 기대감 반감. 이후 양자 컴퓨팅의 상용화 시점, 부가가치 등에 논쟁 가열되며 상승 동력 상실. 일련의 흐름으로 잊혀진 양자 테마는 마이크로소프트 칩 공개로 재차 부각. 이에 퀀텀컴퓨팅(+7.9%), D-웨이브(+8.3%) 등 상승세
▶ 애플 (AAPL, +0.2%), 신제품 출시 반응 미온적
아이폰 보급형 신제품 '16e'이 출시되었으나 주가 변동 미미. 가격은 $599로 공개되어 전작 대비 $170 인상. 핵심은 보급형 최초로 애플 인텔리전스가 지원된다는 점. 다만 시장 반응은 미온적. 일각에선 AI 혁신이 여전히 부족하다는 비판 존재. 한편, 자체 모뎀 칩 C1이 탑재된 부분도 주목할 요인. 애플은 장기간 퀄컴의 모뎀을 공급받았으나, 최근 자체 칩 개발에 집중해왔음. 금일 퀄컴(+0.9%) 주가 타격은 크지 않은 모습
▶ 솔라엣지 (SEDG, +16.0%), 낮은 기대 속 실적 선방
4FQ24 실적발표. 매출 $196.2M, EPS -$3.52로 컨센(매출 $194.9M, EPS -$1.50) 대비 매출 상회, EPS 하회. 수익성은 여전히 부진하나, 어려운 태양광 업황 속 매출 상승 보인 점이 고무적. 주요 IB 역시 긍정적 변화 포착. Guggenheim은 재고와 매출채권이 지속적으로 축소된 가운데, 현금흐름 개선됨에 주목
▶ 아날로그디바이스 (ADI, +9.7%), 호실적으로 저점 통과 기대
▶ 기타 코멘트: PLTR(-10.1%), SOFI(-3.9%)
본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 하였습니다
✅[Market BEAT] Vol.31 과연 다시 탈원전일까?▶️정권 변화시 탈원전 복귀? 시장 우려 과도
- 관련종목: 두산에너빌리티, 한전KPS, 비에이치아이
-비상계엄 사태 이후 비우호적 경제 상황에 더해 정치리스크가 더해진 시장은 탄핵을 하나의 불확실성 해소로 해석중. 코스피 지수가 탄핵 베팅 확률과 동조화되면서 이번주 반등을 이루고 있기 때문. 한편, 12/14 2차 탄핵안 표결이 예정되어 있음
- 탄핵 가결시 범야권의 지배력 강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22대 총선 공약을 두고 비교해보면 여야간 에너지 정책상의 의견차가 뚜렷함을 알 수 있음. 이번주 범야권에서 단독 국회 통과된 ‘감축 예산안‘ 내용상 원전 관련 사업 예산 대부분이 크게 삭감된 것 역시 야당 집권시 탈원전 방향 전환에 대한 우려를 키움. 다만, 반도체, AI, 기초연구, 양자, 바이오 등 미래전략산업 대부분에 대한 연구개발 지원 예산 역시도 대부분 감축되었음
- 탈원전 복귀 가능성과 관련, 현 정권의 적극적 스탠스는 다소 경감될 수 있겠으나 문재인 정권 당시만큼 원전을 배제하는 수준으로 돌아가는 것은 어렵다는 판단. 우선 원전이 갖는 경제성(저비용발전원)과 탄소배출량 저감 효과를 고려했을 때, 장기적으로 재생에너지 개발을 한다 하더라도 당장은 원전을 대체할 수단이 부재하기 때문. 프랑스, 일본 등 주요국들도 원전을 탄소중립 수단으로 적극 활용하면서 탈원전에서 친원전으로 돌아서고 있음
- 정권 변화시 국내의 신규 원전 준공 계획이나 전력기본계획 상의 전력믹스 전망 변화 가능성은 있겠으나, 체코 원전 수주 등 관련산업 진행에 차질을 빚지 않는 선이라면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 그렇다면 현재의 시장 우려는 다소 과도하다고 해석 가능
URL: https://vo.la/bYmMmN
LS Global Market Daily(2/2)_20241213
[Web발신]
LS증권 리서치센터
투자전략팀 황산해
URL: https://vo.la/vvigOT
[특징주: ADBE 성장 우려 부각, COST 연회비 인상 이후 첫 실적]
▶ 어도비 (ADBE, -13.7%), 성장 둔화 우려 자극한 가이던스
전일 장 마감 후 4FQ24 실적발표. 컨센 상회한 실적 발표했으나, FY25 연간 가이던스가 시장 기대치 하회하며 주가 급락. AI 산업 내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성장 둔화 및 수익성 우려가 부각됨. 앞서 어도비는 OpenAI, Runway AI 등 경쟁 스타트업 부상으로 점유율 우려 지속적으로 제기된 바 있음. 이에 어도비 측은 Firefly(이미지 생성형 AI) 신제품이 출시될 예정이라 언급했으나 시장 영향 미미. 실적발표 이후 주요 IB 의견 역시 부정적. Morgan Stanley는 디지털미디어 ARR 성장 가속화가 부재해 시장 실망감을 지속적으로 자극함을 언급. 투자의견 매수, TP $660는 유지
▶ 우버 (UBER, +0.4%), GM발 우려 일부 완화
경영진 코멘트로 시장 우려 완화되며 주가 강보합 마감. CFO는 모빌리티 사업이 꾸준한 속도로 성장할 것이라 설명. 일련의 긍정적 코멘트는, 전일의 주가 급락 이후 확인된 것. 전일 주가 하락 원인은 GM의 로보택시 투자 중단. 우버가 GM 크루즈와 파트너십을 이어온 가운데, 사업 불확실성 및 업계 내 경쟁 심화가 부각된 것. 현재 로보택시 시장은 GM 철수로 테슬라-구글 웨이모 양강 체제로 돌입. 우버 주가는 연내 랠리 이어왔던 테슬라와 달리, YTD 기준 +5%에 불과
▶ 코스트코 (COST, -0.6%, 마감 후 -0%대 하락), 아쉬운 연회비 인상 효과
장 마감 후 1FQ25 실적발표. 매출 $62.15B, EPS $4.04로 컨센(매출 $62.08B, EPS $3.79) 상회. 동일매장매출은 +5.2%YoY 증가, 최근 집중했던 전자상거래 매출은 +13%YoY 성장. 다만 시장은 다소 아쉬운 연회비 인상 효과에 주목. 멤버십 수입은 $1.17B로 컨센 부합하는 데 그침. 해당 실적은 7년만의 연회비 인상(9월) 이후 처음 발표된 것
▶ 브로드컴 (AVGO, -1.4%, 마감 후 +10%대 상승), 폭발적 AI 수익 성장
▶ 기타 코멘트: WBD(+15.4%), RIOT(+4.8%), CHWY(-2.0%)
본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 하였습니다.
LS Global Market Daily(1/2)_20241213
[Web발신]
LS증권 리서치센터
투자전략팀 황산해
URL: https://vo.la/vvigOT
[랠리에 부담 느낀 미 증시, 금리 상승에 매물 출회]
▶ 미 증시는 DOW -0.53%, S&P 500 -0.54%, NASDAQ -0.66%, Russell 2000 -0.42%로 하락마감. 12월 FOMC를 앞두고 최근 발표된 고용, 물가 지표들이 견조한 모습을 보였음에도 상승랠리를 이어갔던 것에 대한 부담감이 반영. 랠리를 주도했던 나스닥과 대형 기술주를 중심으로 매물 출회. 국채 금리도 장중 상승폭을 확대함에 따라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하는 모습
▶ 12월 ETF 기준 10%가량 상승하며 증시를 주도했던 M7(MAGS,-0.8%) 기업들 전반 부진. 보합권 마감한 애플(+0.6%), 마이크로소프트(+0.13%)를 제외 모두 하락마감. 특히 양자칩 모멘텀으로 급등하던 알파벳(-1.8%)과 $400선을 돌파한 테슬라(-1.6%)에 매물출회 집중. 어도비(+13.7%)의 가이던스 쇼크도 AI 산업 전반에 하방압력으로 작용
▶ 미 국채 금리는 2Y 4.19%(+3.7bp), 10Y 4.33%(+5.7bp)로 상승. 장초반 실업수당청구건수 반영하며 하락 출발했으나 이후 물가 지표 경계하며 상승전환. CME Fed Watch 상 12월 25bp 인하 확률은 95%수준으로 전일 대비 큰 변화는 없음. 유가는 -0.41% 하락한 $70로 전일 급등에 따른 되돌림 출현
▶ 11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월 대비 +0.4%MoM, 전년동기대비 +3.0%YoY로 컨센(0.2%MoM, 2.6%YoY) 상회. 다만 근원 PPI는 +0.1%MoM 상승하며 전월 0.3%MoM 상승했던 것 대비 오름세 둔화. 식품이 3.1%MoM 상승하며 물가지수를 자극. 그 중에도 계란 가격이 +55%MoM 급등한 영향. 조류독감에 따른 계란 공급 감소와 연말 휴가 시즌의 수요증가가 맞물리며 발생. 관련 전문가들은 계란 가격이 최소 2~3개월 가량 상승하며 '22년 12월 고점을 돌파할 가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
▶ 12월 7일로 끝난 주간실업수당청구건수는 24.2만명으로 컨센(22.1만) 상회. 전주 대비 1.7만명 증가. 연속실업수당 청구건수도 188.6만명으로 컨센(188만) 상회
▶ 12월 ECB 통화정책회의 이후 유로존 주요 정책금리를 25bp씩 인하하기로 결정. 예금금리 기준 3.25%→3.00%로 인하. 경제 성장 전망에서도 하향조정이 이뤄짐
본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 하였습니다.
★Market Briefing 2024년 09월 13일★
LS증권 매크로팀입니다.
[미국 증시 동향]
뉴욕 증시는 상승 마감(다우 0.58%, S&P500 0.75%, 나스닥 1%). 8월 생산자물가지수는 0.2%MoM, 1.7%YoY 상승. MoM 기준 예상치(0.1%)와 이전치(0.0%)를 상회. 다만 YoY 기준, 2024년 2월 이후 처음으로 2%를 하회한 점이 긍정적. 근원 PPI 상승률은 0.3%MoM, 2.4%YoY로 전월치(-0.2%MoM, 2.3%YoY)를 일제히 상회. 물가지표를 소화하며 주가지수는 상승세를 보임. 브로드컴(+4.0%), 메타(+2.7%), 알파벳A(+2.2%), 엔비디아(+1.9%) 등 대형 기술주는 전반적으로 상승한 모습. 반면 모더나는 비용 절감 계획을 발표한 이후 -12.4% 급락. S&P 11개 섹터는 모두 상승. 통신서비스(+2.0%), 경기소비재(+1.2%), 에너지(+0.9%), 소재(+0.9%) 등 섹터가 상승을 주도. 뉴욕 유가는 2거래일 연속 상승 마감
[미국 채권시장 동향]
뉴욕 채권 금리는 혼조세 마감. 유럽 중앙은행은 예금금리(3.75% → 3.50%), 주요 재융자 금리(4.25% → 3.65%), 한계대출금리(4.50% → 3.90%)를 모두 인하 결정. 미 재무부 220억 달러 규모의 30년물 입찰에서는 낙찰금리 4.015%를 기록하며 지난 6회 입찰 평균금리 4.460%를 큰 폭 하회. 응찰률은 2.38배로 평균 응찰률(2.39배)과 비슷했고 간접낙찰률은 68.7%로 평균 수준(65.5%)을 상회. 미 제롬 파월 의장의 선임 자문이었던 존 파우스트는 50bp 인하로 시작하는 것을 선호하고 FOMC가 인하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언급. 이에 Fed Watch 상 9월 50bp인하 확률은 전 거래일 15%에서 28%로 상승. 2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0.1bp 하락한 3.642%,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2.1bp 상승한 3.675%로 마감. 10년물과 2년물 스프레드 역전 폭은 3.3bp로 축소
[한국 채권시장 동향]
국고채 금리는 상승 마감. 전 거래일 상승한 미 국채 금리와 동조화되며 약세 출발. 한국은행 부총재는 시장금리는 2차례의 금리 인하를 반영하고 있으며 낙폭이 과하다고 언급. 아시아 장에서 미 국채 금리가 상승하고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채선물을 순매도하며 약세 요인으로 작용. 3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5.3bp 상승한 2.868%,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3.2bp 상승한 2.97%로 마감. 외국인은 3년 국채선물(KTB)은 3,961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LKTB)은 1,932계약 순매도
경제지표
(유로존) ECB 통화정책회의
(미국) 8월 PPI상승률(MoM): 0.2%, 0.1%, 0.0%
※발표예정 경제지표(전망, 이전)
(일본) 7월 산업생산(MoM): 2.8%, -4.2%
(유로존) 7월 산업생산(YoY): -2.7%, -3.9%
(미국) 9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종합): 68.3, 67.9
◆ 미국 증시
DOW: 41096.77p(+235.06p, +0.58%)
S&P500: 5595.76p(+41.63p, +0.75%)
NASDAQ: 17569.68p(+174.15p, +1%)
◆ 외환시장
NDF환율(1개월물): 1335.085원/전일 대비 3.615원 하락출발
달러인덱스: 101.247(-0.493, -0.48%)
유로/달러: 1.10734(+0.006, 0.55%)
달러/엔: 141.823(-0.519, -0.36%)
파운드/달러: 1.31244(+0.0081, 0.62%)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3.642%(-0.1bp)
5년물: 3.465%(+2.1bp)
10년물: 3.675%(+2.1bp)
30년물: 3.989%(+2.3bp)
(스프레드)
기준금리-2Y: 1.608%p
10Y-2Y: 0.0329%p
30Y-10Y: 0.314%p
◆ 주요 국가 10년물 금리
독일: 2.152%(+4.1bp)
영국: 3.778%(+1.1bp)
프랑스: 2.857%(+4.9bp)
그리스: 3.37%(+10.8bp)
이탈리아: 3.474%(+1.7bp)
스페인: 2.96%(+4.2bp)
일본: 0.861%(+1.3bp)
호주: 3.853%(+0.5bp)
◆ 국내 국채시장
3년물: 2.868%(+5.3bp)
5년물: 2.895%(+4.8bp)
10년물: 2.97%(+3.2bp)
30년물: 2.864%(+1.6bp)
(스프레드)
5Y-3Y: 0.027%p
10Y-3Y: 0.102%p
30Y-10Y: -0.106%p
(국채선물)
3년 KTB: 105.9(-0.12)
10년 KTB: 117.15(-0.28)
◆국내 크레딧 시장 SP(국고채대비)
AAA 공사채
1년:+33bp(-0.4)
3년:+27.1bp(0.1)
5년:+26bp(0.1)
AAA 은행채
1년:+35.8bp(-0.7)
3년:+29.9bp(-0.3)
5년:+31.7bp(par)
AA+ 회사채
1년:+38.6bp(-0.5)
3년:+49.7bp(-0.3)
5년:+49.3bp(-0.6)
AA+ 카드채
1년:+44.9bp(-1.9)
3년:+46.2bp(-1.5)
5년:+45.3bp(-0.4)
AA- 캐피탈
1년:+57.1bp(-2.1)
3년:+64.3bp(-1.9)
5년:+77.3bp(-0.4)
A+ 캐피탈
1년:+132.2bp(-1.9)
3년:+158bp(-1.9)
5년:+190.8bp(-0.6)
◆ 상품시장 ($)
WTI: 68.97(+1.66, +2.47%)
브렌트유: 71.97(+1.36, +1.93%)
금: 2580.6(+38.2, +1.5%)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LS Global Market Daily(2/2)_20240913
[Web발신]
LS증권 리서치센터
투자전략팀 황산해
URL: https://vo.la/YHpycK
[특징주: BNP Paribas의 MU 매도의견, MRNA R&D 비용 축소]
▶ 마이크론 (MU, -3.8%), BNP Paribas의 셀리포트
BNP Paribas가 투자의견 매수→매도, TP $140→$67로 절반 가량 하향 조정하며 주가 하락세. 이들은 HBM 공급 과잉으로 마이크론의 칩 가격이 하락할 것이라며, 피어 기업 대비 매출 성장률이 저조할 것이라 전망.
한편, 여타 IB들은 마이크론에 대해 여전히 불리쉬한 입장을 고수. Citi는 DRAM 가격이 올해 +66%YoY, 내년에는 +14%YoY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호실적 달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 강조. Raymond 또한 단기간 DRAM과 NAND 시장에서의 낮은 볼륨 성장이 예상되어 TP 가격은 하향 조정했으나, 이를 일시적이라 판단하고 '25년 하반기에는 업사이클이 도래할 것이라 분석. 투자의견 매수 유지, TP $160→$125로 하향 조정
▶ 모더나 (MRNA, -12.4%), R&D 비용 축소 계획 발표
모더나가 비용 절감 문제로 R&D 예산을 '27년까지 $1.1B 절감할 것이라 발표하자 주가 급락. 제약 업체에게 신약 개발 등 R&D 예산에 대한 중요도가 매우 큰 만큼 투자자들에게 강한 부담감으로 작용한 모습. 이에 R&D 비용은 '24년 $4.8B에서 '27년에 $3.6~$3.8B로 감축될 예정. 그간 코로나19 백신으로 강력한 실적 기록한 모더나는 '20~'21년 중순까지 약 +2,000%의 주가 급등세를 보인 바 있음. 다만, 팬데믹 이후 모더나 백신 수요 감소로 실적 전망도 불투명한 모습이며, 주가 또한 코로나 초기 수준으로 회귀
▶ 워너 브라더스 (WBD, +10.4%), 차터 커뮤니케이션과 컨텐츠 계약 체결
워너 브라더스가 케이블 방송 업체 차터 커뮤니케이션(+3.6%)와 다년간의 컨텐츠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는 소식에 주가 급등. 동사 임원들은 해당 계약을 기점으로 여타 유료 케이블 업체와의 계약 갱신 시 큰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라 자신
▶ 알파벳 (GOOGL, +2.3%), OpenAI의 신규 ChatGPT 출시
▶ 기타 코멘트: NVDA(+1.9%), KR(+7.2%), , ENPH(-4.3%)
본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 하였습니다.
LS Global Market Daily(1/2)_20240913
[Web발신]
LS증권 리서치센터
투자전략팀 황산해
URL: https://vo.la/YHpycK
[살아나는 AI 불씨로 S&P 4거래일 연속 상승세]
▶ 미 증시는 DOW +0.58%, S&P 500 +0.75%, NASDAQ +1.00%, Russell 2000 +1.29%로 상승 마감. 개장 전 발표된 ECB의 25bp 예금금리 인하 결정과 경기지표들로(PPI, 신규실업수당청구) 전일 CPI 발표 이후 후퇴했던 빅컷 기대감이 일부 회복. 여기에 기술주 반등을 이끌어냈던 골드만삭스의 커뮤나코피아 2024에 이어 금일 또한 백악관에서 열린 정부관료들과 AI 리더들(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OpenAI의 CEO들)의 회동에 테크 업종 전반의 긍정적 센티 확산. S&P500와 NASDAQ은 4일 연속 상승세를 지속하며 지난 금요일 고용쇼크로 인한 급락 이후 새로운 상승 모멘텀 형성 중. CME FedWatch상 14%까지 대폭 축소됐던 9월 50bp인하 확률은 35%로 재차 반등
▶ 현지 기준 12일 향후 AI 에너지 인프라의 방향성에 대한 주제로 백악관에 모인 젠슨황, 샘 알트만 등의 AI 리더들은 AI 확산에 따른 데이터센터 구축, 반도체 제조역량, 그리드 용량 등에 대한 대화를 나눈 것으로 알려짐. 인터뷰에 응한 젠슨 황은 "우리는 새로운 산업 혁명의 시작에 있다"라는 발언과 함께 AI 수요와 함께 에너지의 니즈가 상승하고 있으며 여기에 기회가 있음을 강조. OpenAI측 대변인은 이번 미팅 이후 정부가 AI 수혜를 배분하기 위해 고용을 창출하는 관련 인프라 투자를 우선하고 있음을 전함. 백악관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미국에' 데이터 센터를 건설하고 기술이 책임감 있게 개발되도록 바이든 대통령은 전념하고 있음을 강조
▶ 8월 PPI는 헤드라인 0.2%MoM 상승하며 컨센(0.1%)을 상회, 전월 대비(0.0%)도 상승. 다만 시장의 컨센 레인지인 0.1~0.2%를 크게 벗어나지 않아 서프라이즈 수준은 아님. YoY 기준으로는 +1.7%로 컨센(1.8%YoY)를 하회하며 6개월만에 2%대를 하회. 근원 PPI는 전월비 0.3%MoM 상승하며 컨센(0.2%)을 상회했는데 숙박업 등의 렌탈 서비스 가격 상승으로 인한 서비스 부문의 가격 상승이 주 요인
▶ ECB 통화정책 회의에서는 예금금리를 기존 3.75%→3.5%로 25bp 인하 결정하며 시장 예상치에 부합
본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 하였습니다.
[Bond]Chart of the Day: ?? **美 8월 고용보고서 체크 포인트
통상 경기 침체 때는 전일제 실업률이 더 빠르게 상승
?Key Point
✅**8월 비농업부문 고용자수는 전월대비 14만명 2천명 증가. 12M 평균(20만 2천명) 하회. 주로 건설업과 헬스케어 부문에서 일자리 증가
✅6월, 7월 수정치는 일제히 하향조정. 이전 수치 대비 8만 6천명 감소
✅통상 경기 침체(1985년 ~) 때 전일제 실업률이 파트타임보다 빠르게 상승하는 경향 존재. 팬데믹 땐 예외적으로 파트타임 실업률 급등
- 8월 실업률이 4.2%로 전월대비 소폭 하락한 것 긍정적이나 전일제-파트타임 실업률 간 격차는 전월대비 축소된 것 경계 필요
✅과거 인하기 중 침체 없이 지나간 경우는 실업률 간 격차 확대되지 X. 이때는 실업률 하락했던 구간. 향후 실업률 상승세 가팔라질 경우 침체 가능성 확대 불가피하며 빅스텝 인하로 대응할 필요성 높아질 것
[자료원문] https://msg.ls-sec.co.kr/eum/K_20240910_31287_301.pdf
ㅤㅤ𝗜𝗡𝗙𝗢𝗥𝗠𝗔𝗧𝗜𝗢𝗡 𝗔𝗕𝗢𝗨𝗧 𝗞𝗜𝗠
♞ . owner & c.own :: @ujasmine • @aduhh
♞ . admin :: t.me/KimRekber/5137
❈ proof & rate :: @proof_kim • @ratekim
❈ fraud & pp :: @infoscamr • @ppkimrekber
ⓘ tidak menerima format melalui rc ⓘ
Last updated 3 weeks, 5 days ago
볼만한 뉴스와 증권사리포트, 글로벌경제뉴스. 와신 등을 공유합니다. 내용은 매도/매수의 의견이 아닙니다.매매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있습니다
●/ ●/
《 | 《 |
/〉 제보.문의 /〉
제보/각종 문의 받습니다.
@yeouidooppa
Last updated 3 weeks, 5 days ago
비트코인 & 경제 & 재테크정보를 공유드리는 방입니다
채팅방 - @enjoymyhobbychat
모든 글은 투자의 참고 자료일 뿐이며,
투자 판단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홍보, 후원, 광고 : @KimYoungTaek 문의
Last updated 3 weeks, 4 days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