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 리서치 [제약/바이오]

Description
한승연(제약/바이오)
We recommend to visit

주식 열공합시다!!

Last updated 1 year, 2 months ago

Last updated 2 weeks, 2 days ago

Last updated 1 week, 3 days ago

1 month ago

[삼성바이오로직스(TP 1,300,000원 유지, Buy 유지)] 2025년 가이던스 서프라이즈

■요약

4분기 컨센서스 소폭 상회하는 실적 달성. 한편, 로직스(CDMO), 에피스(시밀러), 연결 모두 당초 기대 상회하는 연간 가이던스 제시. 올해도 글로벌 CDMO 중 탑라인 성장률 1위 기업 유지할 것

* 4Q24 Review: 컨센서스 소폭 상회*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30만원 유지. 4분기 연결 매출 1조2,564억원(+17% y-y) 및 영업이익 3,257억원(-7% y-y)로 컨센서스 소폭 상회하는 실적 달성. 별도 로직스(CMO) 영업이익 3,147억원(-6% y-y)으로 시장 예상치보다 4공장 관련 일회성 비용 덜 발생한 덕분. 한편 에피스(시밀러)는 매출 3,974억원(+38% y-y) 및 영업이익 723억원(-8% y-y) 기록. 일회성 마일스톤 제외한 순수 제품 매출 3,479억원 추정, 연간 +20% 중후반대의 성장세 지속 확인

* 2025년 가이던스: 로직스, 에피스, 연결 모두 서프라이즈*

1)로직스: 올해 매출 성장률 20~25%로 제시, 과거 2년간 약 20%를 상회하는 높은 가이던스(연중 환율 1,400원 가정). 이는 4공장의 빠른 가동률 상승 덕(24만L 기준 추정 가동률: 4Q24 65% → 4Q25 95%). 1~3공장 대비 신규 공장(#4, 5) ASP 높게 추정, 5공장은 ’26년부터 본격 매출 반영(’26년 4,5공장 합산 DS 매출 46%). 한편, 6공장 투자 최종 검토 단계, 이르면 상반기 착공 기대

2)에피스: ’25년 매출 1조5,810억원(+3% y-y) 및 영업이익 3,343억원(-23% y-y) 전망. 작년 마일스톤 약 2,700억원 역기저 불구(vs 올해 솔리리스 400억원 추정), 탑라인 성장 지속 기대된다는 점 긍정적(vs 기존 추정 -4% 하락)

3)연결: 올해 매출 5조6,815억원(+25% y-y) 및 영업이익 1조6,334억원(+24% y-y) 추정, 기존 매출 및 이익 추정치 대비 11% 상향. 에피스 매출 상쇄에도 불구, 연결 내부거래 작년 대비 -47% 하락 덕분(연간 2,600억원 반영)

보고서 링크 : https://m.nhqv.com/c/sodpr

■ [NH/한승연, CFA(제약/바이오), 02-768-7802]

1 month ago

[2025년 1월 1~20일 헬스케어 수출입통계 잠정치]

*임플란트(9021.29.0000)*
- 2,803.1만$ (1개월 환산 4,204.7만$, -40% y-y, -50.1% m-m)
※ 중국 1,278.5만$ (-29.4% y-y, -32.1% m-m)
※ 러시아 189만$ (-46.3% y-y, -82.1% m-m)
※ 튀르키예 179.8만$ (-13.3% y-y, -20.7% m-m)

*톡신(3002.49.1000)*
- 2,084.2만$ (1개월 환산 3,126.3만$, +60.3% y-y, +13% m-m)
※ 미국 564.2만$ (+93.4% y-y, +1,253.5% m-m)
※ 중국 426.8만$ (+72.6% y-y, +26.7% m-m)
※ 브라질 216.6만$ (+361.1% y-y, +1.5% m-m)

*에스테틱 의료기기(9018.90)*
- 3,638.9만$ (1개월 환산 5,458.4만$, -18.8% y-y, -51.4% m-m)
※ 일본 471.3만$ (-5.1% y-y, -35.9% m-m)
※ 미국 665.7만$ (+64.4% y-y, -13.5% m-m)
※ 브라질 15.5만$ (-93.1% y-y, -95.5% m-m)

*홈뷰티 의료기기(8543.70.2020)*
- 1,049.3만$ (1개월 환산 1,574만$, -3.7% y-y, -8.2% m-m)

*치과영상 의료기기(9022.13.0000)*
- 1,172만$ (1개월 환산 1,758만$, -15% y-y, +13% m-m)

*의료용 디텍터(9022.90.9010)*
- 1,040.6만$ (1개월 환산 1,561만$, -1.9% y-y, -45.6% m-m)

*PCR 및 면역 진단키트(3822)*
- 3,650.2만$ (1개월 환산 5,475.3만$, -12.4% y-y, -6% m-m)

*바이오시밀러 완제(3002.15.0000)*
- 7,382.2만$ (1개월 환산 11,073.3만$, -19.8% y-y, -38.9% m-m)

*콘택트렌즈(9001.30.0000)*
- 899.7만$ (1개월 환산 1,349.5만$, -8.3% y-y, -24.5% m-m)

*체성분분석(9018.19.8000)*
- 182.1만$ (1개월 환산 273.1만$, -59.8% y-y, -61.9% m-m)

*혈액제재(3002.12.3000)*
- 620.2만$ (1개월 환산 930.3만$, -3.3% y-y, -74.6% m-m)

*필러(3304.99.9000)*
- 14,213.3만$ (1개월 환산 21,320만$, +14.1% y-y, -12.2% m-m)

■ [NH/한승연(제약/바이오), 02-768-7469]

1 month ago

[한미약품(TP 380,000원 하향, Buy 유지)] 자세히 보아야 보인다

■요약

지난주 JPM 헬스케어에서 파트너사 MSD는 올해 주목 필요한 데이터로 MASH 듀얼 아고니스트 제시. 신약 모멘텀과 경영권 분쟁 해소로 ’25년 주가 대세 반등 기대. 4Q 실적은 컨센 하회 예상

* JPM 2025: 머크가 올해 주목해야할 New Data로 선정*

올해 경영권 분쟁 해소 및 신약 모멘텀(MASH, 비만)으로 대세 반등 기대

[경영권 분쟁] 작년 12월 경영권 분쟁 7부 능선 해결(임종윤 이사 사이언스 지분 4자연합에 매도 12% → 7%), 길었던 기업 가치 디스카운트 요인 해소 주목

[신약 모멘텀] ’25년 JPM 헬스케어 행사에서 글로벌 제약사가 언급한 국내 파이프라인은 세 개뿐(JNJ/AZ: 레이저티닙, MSD: 키트루다SC, efinopegdutide)

①efinopegdutide(MASH, 2b상): 1)MSD 올해 주목 필요한 자사 데이터 3개 중 하나로 지목(4Q 발표 기대). 2)경쟁사 Madrigal(THR-B 타깃) 피인수 가능성 보도 → MASH 내 Best In Class 타깃 GLP/GIP(efino) 가치 상향 이벤트. 3)동일 타깃 Survodutide 원개발사 질랜드 파마 2상 발표 당일(’24.2) 시총 1.3조원 급등 사례 주목(efino 가치 보수적 0.7조 반영, 대폭 상향 가능)

②비만: LA-TRIA 1상 발표(’25.6) 및 LA-UCN2(근육유지) 1상 진입(2H25)

* 4Q24 Pre: 컨센서스 하회, ’25년 실적은 정상화 예상*

투자의견 Buy 유지, 목표주가는 380,000원으로 -13% 하향. 신약가치(1.3조원)는 변동 없으나 영업가치 4.3조원 → 3.6조원 조정(’25년 실적 및 최근 피어 멀티플 하락 반영). 현재 시총 3.3조원 고려 시 업사이드 50% 이상 판단. 4분기 연결 매출 3,477억원(-18% y-y) 및 영업이익 310억원(-56% y-y)로 컨센서스 하회 예상. ’25년 연결 매출 +8% y-y 및 영업이익률 14% 추정

보고서 링크 : https://m.nhqv.com/c/k5q2f

■ [NH/한승연, CFA(제약/바이오), 02-768-7802]

3 months, 2 weeks ago

[NH/한승연] 셀트리온
**[셀트리온(TP 280,000원 유지, Buy 유지)] 3Q24 Pre: 반등의 서막을 기대

■요약
3분기 꾸준한 이익 개선세 예상, 다만 컨센 대비는 하회할 것. 짐펜트라 성장 사이클 진입은 4분기부터 기대. 밸류에이션 매력 구간 진입, 기대 미반영된 세 가지 포인트에 주목 필요(시밀러 신제품, 직판망, CMO)
3분기 꾸준한 매출 성장과 이익률 개선세, 실적발표 내용에 주목**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28만원 유지. 1)타깃 ’26년 EBITDA 하향 조정(2조7,066억원 → 2조3,323억원)하였으나, 2)밸류에이션 인식 시점 변경(’26년 → ’25년) 및 3)하반기 피어 주가 상승으로 타깃 멀티플(27배 → 28배) 조정

3분기 연결 매출액 9,275억원(+38% y-y) 및 영업이익 1,864억원(-30% y-y) 추정. 고마진 짐펜트라(3Q 매출 206억원) 초기 성장 속도 당초 기대치보다는 아쉬우나 합병효과 및 시밀러 성장 통한 이익률 개선 지속될 것으로 추정

짐펜트라는 4Q부터 본격 성장 기대. 1)마지막 대형 사보험 등재(’24.10), 2)TV 광고(’24.9) 효과. 추가로, 3)Express Scripts ’25년 National 포뮬러리에 유일한 Infliximab 계열 등재(인프렉트라, 짐펜트라) 확인. 짐펜트라 매출 ’24년 1,371억원, ’25년 7,471억원(환자 점유율 13%), ’26년 1.2조원(20%) 추정
* 셀트리온의 큰 그림에 주목할 시기(숨겨진 모멘텀 세 가지)
컨센 12MF EV/EBITDA 22배로 밸류 하단 진입, 아직 미반영된 모멘텀 세 가지
1)시밀러(본업): ’26년까지 5개 신제품 출시, 기존 제품 성장에 매출 추가 구조. 유럽(’24년 비중 67%) 안정적 성장 및 미국 업사이드(산도즈 사례) 가능성
2)직판망: 글로벌 직판망 밸류에이션 프리미엄 요인. M&A 및 유통 신사업 기대
3)CMO:* 바이오 CDMO 사업 진출 계획, 중장기 관점에서 기업가치 반영 가능

보고서 링크 : https://m.nhqv.com/c/ns1e8

■ [NH/한승연, CFA(제약/바이오), 02-768-7802]

위 내용은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아 발송되었으며, 당사의 동의 없이 복제, 배포, 전송, 변형, 대여할 수 없습니다.

무료수신거부 080-990-6200

3 months, 3 weeks ago

[NH/한승연] 헬스케어 수출입통계 잠정치
[2024년 10월 1~31일 헬스케어 수출입통계 잠정치]
*톡신(3002.49.1000)
- 3,297.1만$ (+27.7% y-y, -4.5% m-m)
※ 중국 1,,123.4만$ (+36.4% y-y, +34.0% m-m)
※ 미국 573.2만$ (+103.2% y-y, -29.2% m-m)
※ 브라질 362.8만$ (-39.5% y-y, -67.5% m-m)
*▶에스테틱 의료기기(9018.90)
- 8,904.0만$ (+24.5% y-y, +7.7% m-m)
※ 미국 1,944.3만$ (+47.3% y-y, +35.8% m-m)
※ 일본 1,043.1만$ (+29.5% y-y, +7.1% m-m)
※ 브라질 415.5만$ (-35.4% y-y, +4.3% m-m)
임플란트(9021.29.0000)
- 6,380.5만$ (+4.6% y-y, +17.4% m-m)
※ 중국 2,452.6만$ (+10.9% y-y, +45.2% m-m)
※ 러시아 928.2만$ (+19.3% y-y, +92.7% m-m)
※ 튀르키예 261.1만$ (-6.3% y-y, +48.6% m-m)
홈뷰티 의료기기(8543.70.2020)
- 2,177.1만$ (+156.5.1% y-y, -30.8% m-m)
치과영상 의료기기(9022.13.0000)
- 2,151.6만$ (-19.4% y-y, +9.6% m-m)
의료용 디텍터(9022.90.1090)
- 1,690.9만$ (-13.2% y-y, -24.7% m-m)
PCR 및 면역 진단키트(3822)
- 5,175.1만$ (+3.2% y-y, -11.4% m-m)
바이오시밀러 완제(3002.15.0000)
- 15,807.9만$ (+54.1% y-y, -26.0% m-m)
콘택트렌즈(9001.30.0000)
- 1,779.0만$ (+37.1% y-y, -13.6% m-m)
체성분분석(9018.19.8000)**
- 613.3만$ +(34.6% y-y, -6.3% m-m)

■ [NH/한승연(제약/바이오), 02-768-7469]

위 내용은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아 발송되었으며, 당사의 동의 없이 복제, 배포, 전송, 변형, 대여할 수 없습니다.

무료수신거부 080-990-6200

3 months, 3 weeks ago

[NH/한승연] 바이오산업
**[Spot/바이오산업] 글로벌 제약사 이슈 점검: 릴리(비만)과 로슈(알츠하이머)

글로벌 1위 빅파마 릴리, 숫자보다는 좋았던 3분기 실적발표**
전일 글로벌 시가총액 1위 제약사 일라이 릴리 3분기 실적 발표 진행. 1)당뇨/비만 신약 tirzepatide(마운자로/젭바운드) 매출 컨센서스 하회, 2)EPS 가이던스 하향(Morphic 인수 관련 비용) 탓에 장 초반 주가는 -10% 중반까지 하락. 이후 비만 탄탄한 수요 및 향후 견조한 성장 가능성 소통하며 주가는 -6%로 회복 마감

Tirzepatide 3분기 매출 컨센서스 대비 18% 하회, 수요 측면이 아닌 공급망(도매상 재고) 이슈. 일부 재고가 쌓여 3분기에 주문 일시 감소. 실제로 미국 IQVIA 처방 데이터 확인 시 3분기에도 꾸준한 성장 확인, 처방 데이터를 보고 만들어진 현지 매출 컨센 하회가 주가 하락의 가장 큰 이유
다만 릴리는 올해 4분기 성장 더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 젭바운드 사보험 커버리지 확대 긍정적
** CTAD 2024: BBB 셔틀 가치 주목, 도나네맙의 반격

1)로슈(trontinemab): 간테네루맙과 자체 개발 BBB 셔틀(TfR1 타깃) 활용 알츠하이머 신약 개발 재도전, 핵심은 1)ARIA-E 발생율(안전성), 2)아밀로이드 베타 플라그 감소율(유효성). 이번에 Part 1 4번째 고용량 코허트 28주차 및 Part 2 일부 데이터 업데이트, BBB 셔틀의 가치 확인한 점 긍정적
지난 CTAD Preview 자료에서 예상한대로 ARIA-E(모든 코허트 ARIA 발생율 3~7%) 및 아밀로이드 베타 감소율(67~75% vs 도나네맙 38%) 우수. 다만 Part 2 중용량 코허트 환자 1명 사망, 해당 환자 78세 고령으로 혈관병증 기저 질환 보유. 자세한 내용은 10/31 로슈 Neurology Investor Day로 소통 예정
2)일라이 릴리(도나네맙): 새로운 투약 방식의 TRAILBLAZER-ALZ 6 3상 데이터 공개. 아밀로이드 베타 감소율 동일, 24주차 ARIA-E 발생율 기존 24%에서 14%로 감소. 물론 trontinemab 대비 여전히 ARIA-E 발생율에서 열위, 다만 처방 확대에는 긍정적(3Q24 매출 컨센 800만달러 vs 실제 매출 100만달러)
** 보고서 링크 : https://m.nhqv.com/c/9xkty

■ [NH/한승연, CFA(제약/바이오), 02-768-7802]

위 내용은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아 발송되었으며, 당사의 동의 없이 복제, 배포, 전송, 변형, 대여할 수 없습니다.

무료수신거부 080-990-6200

3 months, 3 weeks ago

[NH/한승연] HK이노엔
**[HK이노엔(TP 64,000원 유지, Buy 유지)] 국내 대형 제약사로 점프업 국면

■요약
3분기 영업이익 당사 추정치 부합, 4분기 국내 케이캡 출하 정상화로 반등 기대. 이제 ’25년 상반기까지의 R&D 성과에 주목할 시기. 미국, 유럽 케이캡 외에도 시장 관심 낮은 기타 파이프라인 임상 진척에 주목
3분기 실적 당사 추정치 부합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64,000원 유지. 3분기 매출 2,295억원(+6% y-y) 및 영업이익 222억원(-1% y-y)로 당사 추정치 부합
[3Q24 Re] 컨디션 믹스 악화로 H&B 사업부 부진(232억원, -9% y-y), 다만 ETC 매출 2,063억원(+9% y-y)으로 만회. ETC 핵심 품목인 케이캡 매출은 357억원(국내 336억원, 수출 21억원 및 별도 중국 로열티 15억원)
[4Q24 Pre] 4분기 매출 2,447억원(+9% y-y) 및 영업이익 282억원(+25% y-y) 예상. 고마진 케이캡 국내 정상화 및 수출 호조로 매출 495억원 기대
R&D 성과 통한 대형 제약사로 레벨업 기대(미국/유럽 +신규 R&D)
2025년 상반기까지 다음 세 가지 투자 모멘텀에 주목 필요
1)미국 케이캡: 비미란성 3상 데이터 확보 완료, FDA 단독 적응증 신약 신청 가능 추정. 남은 미란성 3상도 연내 종료, 내년 상반기 데이터 공개 기대. 미국 케이캡 가치 4,552억원 추산(Phathom Pharma 상대 시총 최소 30~40% 합리적)
2)유럽 케이캡: 비미란성(Q) 중요한 유럽 시장, 케이캡 기술 수출 기대감 여전
3)R&D 강화(연구소):** 내년부터 매출 대비 R&D 비용 1~2%p 증가 예정, 다만 이는 내부 파이프라인 임상 진척 덕분. 이에 IN-115314, IN-114199 등 L/O 성과도 기대 가능. 추후 R&D 강화 통한 타깃 밸류에이션 상향 가능

보고서 링크 : https://m.nhqv.com/c/22lig

■ [NH/한승연, CFA(제약/바이오), 02-768-7802]

위 내용은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아 발송되었으며, 당사의 동의 없이 복제, 배포, 전송, 변형, 대여할 수 없습니다.

무료수신거부 080-990-6200

3 months, 3 weeks ago

[NH/한승연] 종근당
**[종근당(TP 143,000원 유지, Buy 유지)] 3Q24 Re: 컨센 부합 실적, 신약 업데이트 無

■요약
최근 낮아진 컨센서스 부합하는 실적 기록. 매출은 기존 품목 지속 성장 및 신규 품목 도입 효과로 성장. 다만 판관비 및 충당금 설정으로 이익률 하락. 밸류에이션 레벨업 관점 중요한 신약 업데이트는 부재했음
3분기 리뷰: 낮아진 컨센서스에 부합
투자의견 Buy 및 목표주가 143,000원 유지. 3분기 매출 4,085억원(+3% y-y) 및 영업이익 252억원(-53% y-y)로 프리뷰 통해 낮아진 컨센서스에 부합
[탑라인] 기존 품목(프롤리아, 아토젯 등) 지속 성장 및 신규 품목(고덱스, 펙수클루) 도입 효과 확인. 올해부터 시작된 케이캡의 빈자리 메꾸며 y-y 성장 전환. 6월부터 공동판매 시작한 펙수클루는 3분기 매출 188억원(UBIST 처방액 기준 186억원) 기록, 다만 마진 기여 측면에서는 기존 케이캡 대비 다소 낮음
[OPM] 상반기 영업이익률 7% 중반이었으나, 3분기 6.2% 기록. 이는 판관비(인건비 및 연구개발비) 증가 및 글리아티린 환수 추정금액 70억원 충당금 반영
신약가치는 2025년 반영 기대**
종근당은 ’25년 EV/EBTIDA 6.1배로 피어 대비 명확한 디스카운트 지속. 밸류에이션 관점 신약가치 반영 타이밍에 대한 고민 지속, 기점은 CKD510 2상 진입으로 제시. 아직까지 파트너사 노바티스로부터 CKD-510 임상에 대한 업데이트 부재. 남은 연내 보다는 내년 상반기 소통 가능성 높음

기타 주요 파이프라인으로 1)CKD-702(EGFR/c-MET) 국내 NSCLC 1상 진행 중, 올해 연말~내년 초 종료 기대. 2)CKD-703(cMET ADC)도 전임상 순항

보고서 링크 : https://m.nhqv.com/c/p96gz

■ [NH/한승연, CFA(제약/바이오), 02-768-7802]

위 내용은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아 발송되었으며, 당사의 동의 없이 복제, 배포, 전송, 변형, 대여할 수 없습니다.

무료수신거부 080-990-6200

4 months ago

[NH/한승연]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로직스(TP 1,300,000원 상향, Buy 유지)] 대장주 방향성에 주목, 명확한 추가 업사이드

■요약
3분기 연결 영업이익 컨센서스 상회, 연간 매출 가이던스도 상향. 최근 초대형 수주와 실적발표 내용 고려 시, 추가 업사이드 가능성 판단. 핵심 근거는 생물보안법 CMO 수혜 첫 공식 확인, 향후 6공장, ADC 기대
3Q24 Review: 컨센서스 상회 및 연간 가이던스 상향**
투자의견 Buy 유지, 목표주가 130만원으로 8% 상향. 목표주가 상향은 1)밸류에이션 시점 변경(’24년→’25년), 2)EBITDA 추정치 상향, 3)타깃 멀티플 변경

3분기 별도 로직스(CMO) 매출 1조671억원(+21% y-y) 및 영업이익 4,447억원(+17% y-y). 1~3공장 풀가동 및 4공장 빠른 램프업 덕, 첫 분기 매출 1조원 상회. 연결 매출 1조1,871억원(+15% y-y), 영업이익 3,386억원(+6% y-y)로 컨센 상회. 연간 매출 가이던스 15~20%로 상향(에피스 마일스톤, 고환율)
* 초대형 수주와 실적발표의 올바른 해석: 추가 업사이드 명확히 존재
최근 역사상 최대 수주와 3분기 실적발표 올바른 해석 필요. 아래 세 가지 근거로 추가 업사이드 룸 확인
1)생물보안법 CMO 수혜: 실적발표에서 생물보안법을 통해 대형 CMO 실질적인 수혜 첫 공식 소통(기존 문의 대비 50% 증가). 이번주 사상 최대 수주도 해당 트렌드의 일환, 5공장 물량 15% 확보 판단. 향후 더 가파른 수주 가능성 기대
2)6공장 가치: 강력한 선수주 활동 통해 5공장 가동률 상승 및 6공장 가치 반영 시기 도래 중, NPV 가치 10조원 추산. 향후 6공장 착공 및 선수주 상황 따라 밸류에이션 시점을 ’28~’29년 변경(기존 ’26년) 통해 가치 반영 가능
3)밸류에이션:* 보수적으로 7월 초대형 수주 전 역사적 저점 27배 사용. 향후 모달리티(ADC) 성공적인 확장 가능성 확인 시, 타깃 밸류에이션 상향도 가능

보고서 링크 : https://m.nhqv.com/c/szc22

■ [NH/한승연, CFA(제약/바이오), 02-768-7802]

위 내용은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아 발송되었으며, 당사의 동의 없이 복제, 배포, 전송, 변형, 대여할 수 없습니다.

무료수신거부 080-990-6200

4 months ago

[NH/한승연] 헬스케어 수출입통계 잠정치

[2024년 10월 1~20일 헬스케어 수출입통계 잠정치]

*임플란트(9021.29.0000)*
- 4,364.2만$ (1개월 환산 6,646.4만$, +7.3% y-y, +20.5% m-m)
※ 중국 1,814.2만$ (+23.1% y-y, +44.8% m-m)
※ 러시아 769.8만$ (+44.2% y-y, +120.8% m-m)
※ 튀르키예 143.4만$ (-24.1% y-y, +109.0% m-m)

*톡신(3002.49.1000)*
- 2,242.2만$ (1개월 환산 3,363.3만$, +27.2% y-y, -2.6% m-m)
※ 미국 279.3만$ (+48.5% y-y, -43.4% m-m)
※ 중국 986.0만$ (+41.0% y-y, +124.3% m-m)
※ 브라질 283.1만$ (-1.2% y-y, +75.2% m-m)

*에스테틱 의료기기(9018.90)*
- 4,471.7만$ (1개월 환산 6,707.5만$, -6.2% y-y, -18.9% m-m)
※ 일본 453.5만$ (-6.9% y-y, -18.2% m-m)
※ 미국 1,218.4만$ (+128.6% y-y, +11.9% m-m)
※ 브라질 92.5만$ (-78.4% y-y, -40.1% m-m)

*홈뷰티 의료기기(8543.70.2020)*
- 1,408.2만$ (1개월 환산 2,112.3만$, +148.9% y-y, -32.9% m-m)

*치과영상 의료기기(9022.13.0000)*
- 1,322.7만$ (1개월 환산 1,984.0만$, -14.6% y-y, +16.1% m-m)

*의료용 디텍터(9022.90.1090)*
- 757.5만$ (1개월 환산 1,136.2만$, -41.7% y-y, -49.4% m-m)

*PCR 및 면역 진단키트(3822)*
- 3,196.7만$ (1개월 환산 4,795.0만$, -4.4% y-y, -17.9% m-m)

*바이오시밀러 완제(3002.15.0000)*
- 5,988.3만$ (1개월 환산 8,982.4만$, -12.4% y-y, -57.9% m-m)

*콘택트렌즈(9001.30.0000)*
- 894.5만$ (1개월 환산 1,341.8만$, +3.4% y-y, -34.8% m-m)

*체성분분석(9018.19.8000)*
- 323.7만$ (1개월 환산 485.6만$, +6.6% y-y, -25.8% m-m)

■ [NH/한승연(제약/바이오), 02-768-7469]

We recommend to visit

주식 열공합시다!!

Last updated 1 year, 2 months ago

Last updated 2 weeks, 2 days ago

Last updated 1 week, 3 days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