شارك كل شي في القناة 🤎
Last updated 2 months, 4 weeks ago
나나's 파일 창고
수능 관련 PDF, 정보 공유 채널
제보 봇 : @nana_warehouse_bot
검색&정보 봇 : @TG_SuneungBot
이 외 문의 : @Nov_hakpyeong
채팅방 : https://t.me/+efCyiZP_NR9mNmUx
Last updated 8 months, 1 week ago
@TOPIK_KOREAN_TV Online koreys tili
Topikni sochib tashlaymiz
1000+ ortiq o'quvchilar online oflain
hammasi @Korean_sem bilan
https://www.youtube.com/@Koreya_talim_kanali
Last updated 6 days, 16 hours ago
[오스테드(ORSTED DK) 4Q24 실적발표 요약] <미래에셋증권 이진호, 김태형> * 오스테드는 6일 실적발표 후, 주가 +4.6% 기록 중 * 주가 상승 요인은 CAPEX 축소 및 포트폴리오 리밸런싱 통한 EBITDA 가이던스 상향 * 전일 동사는 2030년까지의 총 투자금액 목표를 25% 하향한 DKK 210B ~ 230B로 발표(현재 진행중인 프로젝트 9GW에는 영향없음) * 이에 따라 재무구조 부담 덜어지며, 유상증자 가능성 축소 * 또한…
[한화솔루션 4Q24 실적발표 Q&A 요약]
<미래에셋증권 이진호,김태형>
Q) 일회성/ 4분기 일회성 설명 부탁
4분기 영업이익 반영된 일회성 손익:
1) 신재생, 일부 해외법인 관련 구조조정 비용 600억원
2) 기타, 울산 사택부지 매각 관련 수익 967억원
총 영업이익 1,070억원 흑자전환
4분기 영업외 손익:
1) 신재생, 일부 해외법인 구조조정 및 부동 자산 손상차손으로 비용 1,500억원
2) RECsilicon 주가 하락으로 인해 600억원 투자주식 손상차손 발생
이외에도 일부 투자회사 손상 차손 반영되어, 4분기 기타손익 일회성 비용 3천억원 반영
Q) 미국/ 미국 태양광 재고 현황과 가격 상승 시점은?
공식적 데이터 부재
따라서 추정하기 위해서 미국 모듈 수입량을 체크
미국 모듈 수입량은 2분기 피크. 이후로는 감소중
미국 모듈 가격은 4분기 큰 변화 없었던 상황
장기간 저점에서 지속되고 있고 덤핑 물량은 사라졌기에, 향후 반등 가능하다고 해석
Q) YNCC/ EOD 관련 기사가 있는데 대응 전략은?
대주주로서 YNCC 경영상황과 재무구조를 모니터링하고 있고, 필요시 대응방안 검토
Q) 신재생/ 트럼프 정부 이후, 정책 변화에 따른 수요 분위기는?
미국 정치적 불확실성 큰 상황
수요는 정책적 변화를 가정하고 예측하고 있는 상황은 아님
24년은 미국 약 40GW 설치 추정
25년 약 10% 이내로 성장 전망하기에, 약 40GW대의 수요 유지를 베이스 시나리오로 예상
Q) 신규 증설/ 공장 증설 시점은?
25년 중순 준공될 것으로 기존 가이던스 유지
램프업 기간 거쳐 하반기 풀가동 목표
Q) 가이던스/ 25년 출하량 및 AMPC 등 가이던스는?
AMPC 4분기 1,901억원(24년 5,551억원)
25년 AMPC는 9,000억원~1조원 내외 전망
24년 출하량 8GW 근접(가이던스 부합)
25년 출하량 가이던스는 9GW 이상
24년 개발자산매각 및 EPC의 연간 매출액은 2.9조원 기록(가이던스 2.5조원 상회)
25년 가이던스는 약 4조원 예상(1Q25는 비수기 영향으로 5천억원 전망)
Q) 재무구조/ 25년 CAPEX 및 순부채 감안한 FCF 가이던스?
24년 CAPEX 3.1조원(신재생 2.2조원, 화학 및 기타 0.9조원)
25년 CAPEX 2조원 전망(신재생 1.6조원, 화학 및 기타 0.4조원)
미국 증설 올해 중반부까지 CAPEX 지출 집중. 이후 현금흐름 개선 예상
Q) 개발자산매각/ 1분기 EPC 및 개발자산매각 가이던스 5천억원에 개발자산매각 포함?
개발자산매각이 포함된 금액
Q) 신재생/ 25년 개발자산매각에 대한 수익성 가이던스와 2030(장기) 매출액 목표는?
프로젝트마다 수익성이 달라, 매출액 가이던스는 제시하지만, 마진 가이던스는 제시하기 어려움
전략 방향성은 단순 모듈 생산기업보다는 토탈 에너지 솔루션 공급자로서의 방향성을 가지고 있는 상황
중장기적으로는 모듈 외부 판매보다는 개발자산매각 및 EPC 쪽에서 자가소비되는 비중이 대부분이 될 전망
Q) 임팩트&토탈/ 4Q24 호실적 배경과 지속 가능한지?
지분법으로 적용됐던 한화오션이 금융자산으로 분류 변경
따라서 장부가와 공정가치 차이를 투자처분이익으로 인식한 금액이 약 1천억원 이상 반영. 이는 일시적 영향
따라서 과거에는 한화오션 주가 변동이 임팩트 손익에 영향을 미쳤지만, 올해부터는 영향 없을 것으로 예상
Q) 태양광/ N타입 생산량 비중?
N타입 23년 하반기부터 생산 및 판매 시작
24년에는 N타입 비중 높지 않았으나, 25년부터 적극적 확대 계획
25년 가이던스인 9GW 이상 중 N타입 비중은 30% 목표
★ 25년 연간전망 [에너지/정유화학]
<트럼프 2.0과 마주하기>
[미래에셋증권 이진호/김태형]
안녕하세요. 미래에셋증권 이진호입니다.
2025년 연간 전망을 작성했습니다.
트럼프 정부 2.0이 내년 1월 20일에 출범합니다.
전반적인 내용보다는 에너지 정책에 초점을 맞춰, 어떤 공약들이 있었는지, 영향은 어떠할지를 전망했습니다.
크게는 1) 친화석연료 정책, 2) 지정학적 리스크, 3) 다양한 에너지 믹스 추구, 4) IRA 삭감 입니다.
정유/화학/태양광/풍력에 대해 모두 중립 의견이며, Top Pick은 씨에스윈드, 관심종목은 S-Oil을 말씀드립니다.
25년 모든 업종에 대해 턴어라운드 시점은 보수적으로 접근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아직은 정책적인 불확실성이 높고, 이를 제외하더라도 펀더멘탈이나 수급 상황이 좋다고 여겨지는 섹터도 없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그 안에서도 AMPC를 제외해도 여전히 견조한 수익성을 기록할 씨에스윈드를 탑픽으로 제시합니다.
그리고 충분히 정유 업황의 다운사이클을 반영한 S-Oil 역시 관심종목으로 말씀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Top Pick
씨에스윈드 (112610) - 보조금을 삭감해도 탄탄한 펀더멘탈
▶ 관심종목
S-Oil (010950) - 점진적 실적 개선에 무게
♣ 텔레그램: t.me/miraeoillee
▶ 보고서 링크: https://han.gl/ePiD5
미래에셋 박주연 연구원의 이니세이션 보고서가 발간되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소비자금융(비중확대/신규)
2024년 결제: 두려움이 가라앉고 나면
[미래에셋증권 기타금융 박주연]
▶ Key summary
-24년 1)C커머스 기대감 증발 및 2)티메프 사태라는 두 차례의 이슈를 겪으며 주가 하락 폭 확대. 악재 해소 차원에서의 접근 제시
-결제사 BM분석에 있어 제한적인 P&C(수수료 마진) 영향으로 Q(거래대금) 영향력 강화. 전자지급결제대행사(PG사) 거래대금은 이커머스 시장 향방에 연계
-펜데믹 시기 이커머스 성장세는 분명 이례적. 그러나 온라인으로의 소비패턴 변화는 비가역적. 향후로도 온라인 소비 성장세는 오프라인 소비 성장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
-티메프 사태로 인한 하반기 일회성 손실 반영은 불가피. 연말에 구체적 수치 확정 예정. 그러나 중장기적 관점에서는 산업 건전성 강화 및 신사업 가능성도 제공
-본격적인 리레이팅을 위해서는 수익성 개선의 가능성이 필요
결제부문 Top Pick은 NHN KCP.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0,000원(Upside 41%)으로 커버리지 개시. 1) 밸류에이션 매력 2) 탄탄한 가맹점 계약들에 기반한 견조한 탑라인 성장 3) 시장 상위 업체로서 중장기적 티메프 수혜 가능성
▶ Contents
1. 밸류에이션 및 투자전략
2. 온라인 거래대금(Q)은 더 늘어날 수 있을까
3. 티메프 사태가 가져온 효과
4. 제한적 수수료율(P)과 해외사례
Appendix
▶ Coverage
NHN KCP (매수/TP 1만원)
카카오페이 (매수/TP 3만원)
KG이니시스 (매수/TP 1.2만원)
감사합니다
박주연 드림
[주간 태양광 밸류체인 가격 업데이트 by 인포링크 번역본]
미래에셋증권 이진호
** 가격보다는 코멘트 위주로 번역했습니다.
폴리실리콘:
- 폴리실리콘 가격이 바닥을 친 후, 저가 쪽 가격이 상승하여 평균 가격 개선
- 일부 현물 시장에서는 수요 확대로 추가 상승을 암시하고 있으나, 실수요자는 아닌 상황
- 더 많은 시장 참여자들이 저점 매수 참여 시도 포착
- 10월 폴리실리콘의 선물 시장 상장을 앞두고 움직임이 많지는 않은 상황
웨이퍼:
- 웨이퍼 가격 추세는 폴리실리콘 수급에 영향
- 웨이퍼 부문이 안정화되었지만 폴리실리콘 가격의 변화는 웨이퍼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셀:
- 올해 상반기 LECO(Laser Enhanced Contact Opening) 기술이 TOPCon 셀 생산에 필수적인 기술이 된 이후, 셀 제조업체들은 생산 라인 업그레이드 중. 이에 따라 현재 양산 효율은 25% 수준
- 거래 가격 대부분 0.29위안/W에서 안정세
- 210mm N형 직사각형(210RN) 셀은 웨이퍼와 마찬가지로 수요 부진으로 생산 의지 감소
- 제조업체들은 현재의 낮은 가격 수준에서 거의 생존하기 어려운 상황이며, 재료 가격 하락으로 생산 압박 완화
- 셀 가격 하락은 모듈 가격에 연동될 전망
모듈:
- 티어 2~3 제조업체들은 주문량 감소로 인해 더 낮은 가격 견적 제시, 일부 신규 주문은 최저치를 기록
- 수요는 크게 회복되지 않았음. 더 높은 가격을 받아들이는 구매자는 거의 없는 상황
- 가격 전쟁과 값싼 저효율 제품이 계속해서 시장을 교란하고 있어 모듈 가격 반등 어려움
- 중국은 유틸리티 프로젝트로 인해 8월 수요 증가할 수 있으나, 중국 외 지역은 수요 안정적 유지 전망
- 미국 시장 가격, 정책 불확실성의 영향을 받아 수요 감소
- 이번 주 TOPCon 모듈 가격 0.23~0.28달러/W(지난주 0.28~0.3달러/W)
- PERC와 TOPCon 모듈 간의 가격 격차는 0.02~0.03달러/W
원문 링크: https://www.infolink-group.com/energy-article/pv-spot-price-20240814
Infolink-Group
Wafer, cell prices sustained while module prices lose ground-Industry-InfoLink Consulting
After polysilicon prices bottomed out, low-price range and overall price quotes increased, leading to improved transaction volumes and average prices. The overall price quote recovered to RMB 37-40/kg, averaging at RMB 39.5/kg, with a possible further increase.…
شارك كل شي في القناة 🤎
Last updated 2 months, 4 weeks ago
나나's 파일 창고
수능 관련 PDF, 정보 공유 채널
제보 봇 : @nana_warehouse_bot
검색&정보 봇 : @TG_SuneungBot
이 외 문의 : @Nov_hakpyeong
채팅방 : https://t.me/+efCyiZP_NR9mNmUx
Last updated 8 months, 1 week ago
@TOPIK_KOREAN_TV Online koreys tili
Topikni sochib tashlaymiz
1000+ ortiq o'quvchilar online oflain
hammasi @Korean_sem bilan
https://www.youtube.com/@Koreya_talim_kanali
Last updated 6 days, 16 hours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