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진투자증권 ETF/파생 강송철

Description
* 아래와 같은 내용이 공유됩니다.

- ETF 전략, 시황 자료
- 지수 변경, 패시브 이벤트
- 기타 시장, 종목에 대한 아이디어
We recommend to visit

ㅤㅤ𝗜𝗡𝗙𝗢𝗥𝗠𝗔𝗧𝗜𝗢𝗡 𝗔𝗕𝗢𝗨𝗧 𝗞𝗜𝗠

♞ . owner & c.own :: @ujasmine • @aduhh
♞ . admin :: t.me/KimRekber/5137

❈ proof & rate :: @proof_kim • @ratekim
❈ fraud & pp :: @infoscamr • @ppkimrekber

ⓘ tidak menerima format melalui rc ⓘ

Last updated 2 months ago

볼만한 뉴스와 증권사리포트, 글로벌경제뉴스. 와신 등을 공유합니다. 내용은 매도/매수의 의견이 아닙니다.매매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있습니다

●/ ●/
《 | 《 |
/〉 제보.문의 /〉


제보/각종 문의 받습니다.

@yeouidooppa

Last updated 2 months ago

비트코인 & 경제 & 재테크정보를 공유드리는 방입니다

채팅방 - @enjoymyhobbychat

모든 글은 투자의 참고 자료일 뿐이며,
투자 판단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홍보, 후원, 광고 : @KimYoungTaek 문의

Last updated 2 months ago

1 month, 2 weeks ago
**• Check :** ARKK 2022년 이후 …

• Check : ARKK 2022년 이후 최고가, 편입 비중 1위는 테슬라

• 중국 테크(KWEB), 유럽(EZU, EWG) 상승 주도

• 멕시코(EWW) 반등, 밀(WEAT) 반등. 인도(EPI), 52주 최저

■ Global ETF Daily & News ■ (2025/02/17, 월요일)
ETF/파생 강송철 (02-368-6153)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WEAT(+3.9%), KWEB(+3.8%), EWZ(+3.6%), CQQQ(+3.5%), ARKK(+3.5%)
  • Losers: GDX(-3.4%), URA(-3.2%), XME(-2.6%), PPLT(-2.1%), REMX(-2.1%)

▶️ 최근 5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UNG(+11.1%), KWEB(+10.0%), CQQQ(+8.9%), FXI(+7.1%), ARKK(+6.8%)
  • Losers: URA(-3.7%), XAR(-2.5%), JETS(-2.3%), INDA(-1.8%), TUR(-1.2%)

▶️ 52 Week High

ARKK(+3.5%), ARKW(+1.2%), ARKF(+1.2%), BIZD(+0.8%), EZU(+0.6%)

▶️ 52 Week Low

SMIN(-3.1%), EPI(-1.9%), INCO(-1.6%),

  • 상승 ETF 키워드: CHINA INTERNET, CHINA TECHNOLOGY, CHINA CONSUMER
  • 하락 ETF 키워드: INDIA, GOLD, METALS, URANIUM

♣️ News

"[WSJ] Pentagon Prepares Potential Cuts for DOGE

- 국방부가 DOGE의 대규모 예산 삭감 가능성에 대비해, 오랫동안 폐기하고 싶었으나 지역구 예산 보호를 원하는 의원들로 인해 유지됐던 무기 목록을 정리 중임
- 국방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DOGE 관계자들이 이르면 금요일에 국방부를 방문할 예정
- 국방부 장관 피트 헤그세스(Pete Hegseth)는 이번 주 초 ""DOGE를 국방부에 환영한다""고 밝힘

-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몇 주 동안 DOGE 직원들이 여러 연방 기관에 배치되어 정부 시스템을 점검하며 과도한 지출을 찾아왔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화요일에 DOGE의 연방 인력 감축 권한을 확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음
- 하지만 DOGE는 국방부만큼 크고 복잡한 예산을 다룬 적이 없음. 국방부는 300만 명의 군인 및 민간인을 고용하고 있으며, 예산은 8,000억 달러 이상으로, 6.75조 달러 규모의 연방 예산에서 최소 12%를 차지함
- 군사 기지 운영 및 무기 시스템, 함선, 차량 관련 지출은 미국 전역의 지역 경제의 핵심이며, 대형 군사 무기는 종종 여러 주에 걸쳐 제작됨. 예를 들어, F-35 전투기 생산은 48개 주에 영향을 미침
- 이에 비해, DOGE가 사실상 해체한 미국 국제개발처(USAID)는 400억 달러 예산과 1만 명의 직원을 보유하고 있었음.

- 일부 군사 부서는 이미 자체적인 예산 삭감 목록을 작성, 한 국방부 관계자는 ""사람들이 희생적으로 일부 항목을 제시하며 더 큰 삭감을 막으려 하고 있다""고 언급
- 육군의 삭감 목록에는 과잉 생산된 구형 드론과 차량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폐기하면 수십억 달러의 예산 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됨
- 미 해군은 프리깃함과 연안전투함(Littoral Combat Ship) 감축을 제안했으며, 이에 정통한 관계자들이 이를 확인했음
- 공군은 삭감 계획에 대한 언급을 거부했으나, 머스크는 과거 공군의 F-35 스텔스 전투기를 강하게 비판한 바 있음.
- 그는 수십 년간 총비용이 2조 달러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F-35 프로그램을 ""실패작""이라 부르며, 제작사를 ""바보들""이라고 표현

- 지역구의 군사 예산을 지키려는 의원들이 이러한 삭감안을 반복적으로 거부하면서, 2001년 9·11 테러 이후 국방부 예산은 지속적으로 증가
- 싱크탱크 스팀슨 센터의 국가안보개혁 프로그램 선임연구원 댄 그래지어는 ""9·11 이후 느슨한 환경에서 수많은 비효율적인 무기 프로그램이 추진됐다""고 지적
- 하지만 DOGE가 대규모 삭감을 추진하면서, 일부 군사 부서들은 이에 앞서 스스로 삭감 목록을 수정하는 작업을 진행 중
- 허드슨 연구소 해군 예산 전문가 브라이언 클락은 ""각 군이 스스로 방어책을 마련하려 하고 있다. 지역구의 반발로 인해 이전에는 없앨 수 없었던 것들을 이번 기회에 정리하려는 것""이라고 분석
- 클락은 국방부가 워낙 거대한 조직이기 때문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상당한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고 보았으나, 지금까지는 정치적 부담 때문에 삭감이 어려웠다고 언급
- 클락은 ""현재 행정부는 지역구의 반발을 초래할 예산 삭감을 단행할 의지가 있다""고 언급

- DOGE의 개혁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고 있으며, 머스크가 SpaceX 및 Starlink를 통해 국방부와 수십억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한 점이 이해충돌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음
- 민주당 의원들은 이미 우려를 표명하며, DOGE 관계자들에 대한 감시가 강화돼야 한다고 주장
- 마크 켈리(민주·애리조나) 상원의원은 ""백악관은 법을 집행하고, 머스크가 이해충돌 상태에 있지 않은지 확인해야 한다""고 밝힘

- 그러나 대규모 국방 예산 삭감이 추진될 경우, 정치권의 강한 반발에 부딪힐 가능성이 큼.
- 론 존슨(공화·위스콘신) 상원의원은 ""양당 모두에 국방 예산을 대규모로 지출하는 의원들이 있다""며,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예산을 줄이려 하면, 각종 반발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힘
https://www.wsj.com/politics/national-security/doge-department-of-defense-budget-cuts-prepares-0f7073fa?st=jpS3ip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링크 : https://bit.ly/3EHfyWA
* 유진 ETF/파생 강송철 개별 텔레그램
https://t.me/buykkang

  • 위 내용은 보도된 사실의 단순요약으로 별도의 컴플라이언스 절차 없이 제공됩니다.
1 month, 2 weeks ago
• Check : 트럼프, 상호 관세 …

• Check : 트럼프, 상호 관세 부과 연기. 미국 금리, 달러 하락. 원달러 환율 1,440원

• 사이버보안(CIBR), 나스닥100 테크(QTEC) 신고가

■ Global ETF Daily & News ■ (2025/02/14)
ETF/파생 강송철 (02-368-6153)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ARKK(+3.4%), QCLN(+3.3%), COPX(+3.0%), PBW(+2.7%), DRIV(+2.5%)
  • Losers: KRBN(-1.7%), JETS(-1.5%), XAR(-0.9%), UUP(-0.8%), BOTZ(-0.5%)

▶️ 최근 5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KWEB(+8.0%), CQQQ(+7.0%), FXI(+5.8%), CHIQ(+5.3%), GREK(+4.1%)
  • Losers: ITB(-2.9%), XBI(-2.8%), SOYB(-2.7%), IBB(-2.5%), PBW(-2.1%)

▶️ 52 Week High

FFTY(+5.1%), ARKF(+3.6%), ARKK(+3.4%), BUG(+3.1%), ARKW(+2.4%)

▶️ 52 Week Low

없음

  • 상승 ETF 키워드: CHINA TECHNOLOGY, GERMANY, COPPER
  • 하락 ETF 키워드: CHINA, BIOTECH, CLEAN ENERGY, AEROSPACE

♣️ News

"[WSJ] Trump Orders Federal Agencies to Study Reciprocal Tariffs

- 트럼프 대통령은 목요일 상호 무역(reciprocal trade)에 관한 메모에 서명, 연방 기관에 미국 관세율을 다른 국가들이 시행하는 기존 관세 및 특정 경제 장벽과 맞추는 방안을 연구하도록 지시
- 이번 명령은 즉시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아니며, 대신 상무부와 미 무역대표부(USTR)에 상호 무역 지위를 달성하기 위한 조치에 대한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지시했음
- 상무부 장관 지명자 하워드 루트닉은 해당 연구가 4월 1일까지 완료될 것이라고 밝힘

-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 집무실에서 ""공정성을 위해 나는 상호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즉, 다른 국가들이 미국에 부과하는 만큼만 동일한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발언
- 상호 관세 정책이 시행될 경우, 여러 무역 파트너 국가들의 관세가 인상될 가능성이 높으며, 세계무역기구(WTO)에서 오랫동안 유지해온 무역 규범과 결별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
- 대형 미국 기업들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즉시 관세를 부과하지 않은 것에 안도했으며, 상호 관세 계획을 무역 파트너와의 협상 도구로 활용해 관세를 낮추는 방향으로 나아가길 기대
- 전미외국무역협의회 무역 정책 부사장 티파니 스미스는 ""행정부가 새로운 관세를 성급히 부과하지 않은 것은 다행이며, 대통령이 보다 정교한 정부 간 접근 방식을 택한 것을 환영한다""
- 또한, ""이 과정이 미국이 무역 파트너들과 협력해 그들의 관세와 무역 장벽을 낮추는 결과로 이어지길 바란다""고 덧붙임

- 트럼프 대통령과 공화당 동맹들은 높은 관세와 낮은 세율이라는 핵심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는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는 시점에서 시행되는 것
- 트럼프 대통령은 목요일, 관세 부과가 단기적으로 소비자 물가를 올릴 수 있음을 인정하면서도, 장기적으로는 미국 경제에 이득이 될 것이라고 주장
- 미국의 상호 관세 조치로 인해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국가들이 명확하지는 않지만, 현재 미국 제품에 가장 높은 관세를 부과하는 국가는 인도, 브라질, 베트남, 아르헨티나 등이며, 동남아시아 및 아프리카 국가들도 포함

- 최종 조치는 단순히 관세가 높은 국가들뿐만 아니라, 미국 기업에 대한 세금, 자국 내 기업에 대한 정부 보조금, 미국 기업의 해외 시장 진입을 막는 규제 등 비관세 장벽까지 고려, 낮은 관세를 부과하는 국가들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
- 트럼프 대통령의 팀은 특히 부가가치세(VAT)를 시행하는 유럽연합(EU) 회원국들을 타겟으로 할 가능성이 높음
- 이번 조치가 단순한 관세뿐만 아니라 비관세 장벽까지 겨냥하고 있다는 점에서, 일본과 EU 회원국들이 미국으로부터 자국 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를 부과받을 가능성이 있음
- 또한, 평균 관세율이 미국보다 낮지만, 다양한 비관세 장벽을 운영하는 중국도 미국으로 수출하는 제품에 대해 추가 관세를 맞을 가능성이 있음

- 정부가 무역 파트너들의 관세 및 비관세 장벽에 대한 정보를 확보하면, 외국의 무역 장벽으로 인해 미국의 무역이 얼마나 차단되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반영한 미국의 관세율을 산출할 계획
-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무역 조치는 그가 대선 캠페인에서 주장했던 ‘일괄적 관세(Flat-Fee Tariff)’ 공약이 실현될 가능성을 낮추는 것으로 해석됨
-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주 자신이 ‘일괄적 관세’보다는 ‘상호 조치(Reciprocal Action)’를 선호하고 있다고 언급했으며, 측근들도 이를 지지
https://www.wsj.com/economy/trade/trump-orders-federal-agencies-to-study-reciprocal-tariffs-9ce1475c?mod=hp_lead_pos1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링크 : https://bit.ly/4jVNC1g
* 유진 ETF/파생 강송철 개별 텔레그램
https://t.me/buykkang

  • 위 내용은 보도된 사실의 단순요약으로 별도의 컴플라이언스 절차 없이 제공됩니다.
1 month, 2 weeks ago
# 2월 MSCI 리뷰 발표 (25/2/12)

# 2월 MSCI 리뷰 발표 (25/2/12)
ETF/파생 강송철 (02-368-6153)

- 아침 MSCI 2월 리뷰 결과 발표. 한국 스탠다드 지수에 신규 편입 종목은 부재. 11개 종목 제외.
- 삼성E&A, 엘앤에프, GS, 한미약품, 금호석유, 엔켐, 넷마블, SK바이오사이언스, 롯데케미칼, 포스코DX, LG화학우 제외
- 2월 28일 종가 기준 리밸런싱. 한국의 MSCI 스탠다드지수 편입 종목 수는 81개로 감소

- 지수 제외에 따른 매도 수요 삼성E&A 1,640억원, 엘앤에프1,140억원, GS 1,020억원 등 추정
- 편입, 제외 종목 이외 유동비율, 주식수 변경에 따른 비중 변화 상위 종목: SK이노베이션, 에코프로머티, NH투자증권 비중 증가. KT&G 비중 감소

- 리밸런싱 적용 후 신흥국(EM) 지수 내 한국 비중 감소(-0.16%). 리밸런싱일 부근에 한국물 매도 우위 예상(1조원 내외). 그러나 매도 추정 금액은 대부분 지수 제외 종목에 대한 추정 금액
- 작년 8월, 11월 리뷰 당시 리밸런싱 적용 후 신흥국 내 한국 비중 감소 폭 과거 대비 컸던 수준(각각 -0.16%p, -0.14%p 비중 감소). 리밸런싱 주간과 해당 월에 외국인 주식 매도도 많았음
- 다만 작년 8월, 11월은 KOSPI 하락 폭이 컸고(월간 -3.5%, -3.9% 하락), 주가 하락에 따라 신흥국 내 한국 비중 감소 폭도 컸던 상황. 올해는 연초 이후 한국 반등. 리밸런싱에 따른 외국인 매도는 일시적인 영향에 그칠 가능성

- 2월 리뷰 적용 후 MSCI 지수 편입되지 않은 다음 순위 종목 모니터링: 레인보우로보틱스, 삼양식품, LIG넥스원 등

자료 URL) https://bit.ly/4hznLdP

3 months, 3 weeks ago
• Check : 모멘텀 상승: AI …

• Check : 모멘텀 상승: AI 소프트웨어(IGV), 아마존/테슬라(XLY), 여행(AWAY). 클라우드(SKYY) 신고가 지속

• 유가 하락. 에너지(XOP) ↓

■ Global ETF Daily & News ■ (2024/12/09, 월요일)
ETF/파생 강송철 (02-368-6153)

▶️ 전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UNG(+5.0%), ARKK(+4.2%), BLOK(+3.2%), SKYY(+2.8%), XLY(+2.1%)
  • Losers: OIH(-3.8%), XME(-2.5%), EWZ(-2.4%), XOP(-2.3%), SLX(-2.0%)

▶️ 최근 5일 상승 상위/하위

  • Gainers: ARKK(+8.5%), SKYY(+7.0%), METV(+5.8%), BLOK(+5.6%), FDN(+5.5%)
  • Losers: XOP(-6.6%), OIH(-6.3%), XME(-4.8%), REMX(-4.7%), XLE(-4.7%)

▶️ 52 Week High

SKYY(+2.8%), ARKF(+2.8%), WCLD(+2.6%), PTF(+1.8%), PNQI(+1.5%)

▶️ 52 Week Low

없음

  • 상승 ETF 키워드: CLOUD, CONSUMER DISCRETIONARY, INTERNET
  • 하락 ETF 키워드: OIL, ENERGY, METALS, GOLD, BRAZIL

♣️ News

"[FT] Trump tariffs a bigger concern than martial law crisis, says Korean central bank chief (12/6)

- 한국은행 총재 이창용은 트럼프의 무역 정책이 한국 경제에 국내 정치적 위기보다 더 큰 위협이라고 언급
- 이창용 총재는 Financial Times와의 인터뷰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령 시도 실패로 인해 한국 경제 및 금융 시장에 대한 ""중요한 구조 개혁""이 지연될 것이라고 인정했음
- 그는 정치적 위기의 경제적 영향이 제한적이며, 중국과의 경쟁 심화와 미국의 주요 교역 파트너에 대한 트럼프의 고율 관세 부과 가능성이 한국 수출업체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밝혔음
- 이창용 총재는 “현재 많은 불확실성이 있지만, 국내 요인보다 외부 요인이 더 큰 불확실성을 주고 있다”고 말했음.
- 트럼프의 관세 위협은 한국은행이 올해와 내년 성장 전망치를 하향 조정한 주요 원인 중 하나라고 언급
- 그는 “올해 수출 성장은 양호했지만, 관세 가능성과 중국의 경쟁력 강화로 인해 수출 성장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다”고 설명
- 이 총재는 “중국의 경쟁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중국 내 및 외부에서의 과잉 공급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덧붙였음.

- 한국 경제는 이번 주의 정치적 혼란 이전에도 약한 국내 수요, 높은 가계부채, 중국 수출업체와의 경쟁 증가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음
- 지난주 한국은행은 트럼프의 승리와 공화당의 영향력 확대를 의미하는 red sweep에 대한 우려로 예상치 못한 금리 인하를 단행
- 이창용 총재는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령 시도가 금융 시장에 미친 영향이 ""단기적이고 비교적 제한적""이었다고 강조
- 이창용 총재는 긴급 회의에서 재무부 장관 및 주요 금융 규제 당국자들과 협의 후, 필요 시 ""무제한의"" 유동성을 금융 시장에 공급할 것을 약속했음
- 한국은 윤 대통령이 탄핵 표결에 직면하며 정치적 혼란이 장기화될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음. 그러나 이 총재는 한국 경제가 2004년과 2017년 두 차례의 대통령 탄핵 위기를 성공적으로 극복한 전례가 있다고 언급

- 이창용 총재는 상장된 한국 기업의 소수 주주 보호 강화를 위한 정치적 합의가 점차 형성되고 있는 점에 대해 "excited"고 표현했음.
- 하지만 그는 정치적 위기로 인해 정부의 기업 지배구조 개선 노력이 지연될 것이라고 인정했음
- 그는 이번 주 일부 관찰자들이 주장한, 윤 대통령의 계엄령과 그로 인한 위기가 MSCI와 같은 지수 산정 기관들의 입장을 정당화했다는 주장에 반대했음
- 이 총재는 ""한국의 신흥시장 지위가 북한 문제나 자본 통제 때문이라는 의견은 이해할 수 있다""면서도, ""MSCI가 '당신들의 민주주의가 충분히 성숙하지 않았다'는 이유를 들었다는 말을 들어본 적이 없다""고 밝혔음
https://www.ft.com/content/f69b13be-6bc5-475e-89cc-5c6ccad5105b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링크 : https://bit.ly/4f6p41J
* 유진 ETF/파생 강송철 개별 텔레그램
https://t.me/buykkang

  • 위 내용은 보도된 사실의 단순요약으로 별도의 컴플라이언스 절차 없이 제공됩니다.
4 months ago
[Web발신]

[Web발신]
안녕하십니까
유진투자증권 허재환입니다.

=탄핵 사례=

  • 간밤 비상계엄사태로 2016~17년 탄핵 사례가 재현될 가능성이 생겼습니다.

  • 2016/10~11월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와 트럼프 대선(11월) 결과가 겹치면서 정국이 어수선했습니다.

  • 당시 국정농단 사태 이후 탄핵이 본격적으로 거론된 것은 2016/10월 말이었습니다.

  • 결국 2016/12월 국회에서 탄핵안이 결의되고, 2017/3/10일 헌법재판소에서 탄핵이 결정되었습니다.

  • 이때 KOSPI는 크게 하락하지 않았습니다(2016/10월~12월말 -0.8%). 오히려 2017년에는 수출 회복과 트럼프 정책 기대로 KOSPI는 올랐습니다.

  • 당시 가장 큰 타격을 받은 것은 환율이었습니다. 원달러는 2016/10월초 1,100원에서 17/1월초 1,208원까지 거의 100원 넘게 상승했습니다.

  • 물론 트럼프 영향을 감안해야 합니다. 국내 정치 상황만으로 원달러가 100원 넘게 올랐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 하지만 그때는 2016년 2Q를 바닥으로 2017년 말까지 수출이 좋아지는 국면이었던 반면, 지금은 수출이 둔화되는 국면입니다. 상황이 더 나쁩니다.

  • 2016~17년 탄핵 사례를 감안하면, 내년 2Q까지 탄핵에 준하는 혼란이 이어질 공산이 큽니다. 이후로는 야당 우위로 정국이 흘러갈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 아무래도 내년초 재정확대는 불가피해 보이고, 하반기에도 더 그럴 것으로 보입니다.

  • 환율이 불안한 상태에서 한은의 금리인하 폭이 확대되기는 어렵습니다. 대신 재정의 역할이 커질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장기물 상승 압력).

건강 유의 하십시오.
https://t.me/huhjae

4 months ago
  • KOSPI200 지수 선물은 -2% 미만 하락 개장
6 months, 4 weeks ago

[Web발신]
안녕하십니까
유진투자증권 허재환입니다.

=장단기 금리 정상화=

  • 국내 증시는 만신창이가 되어 버렸습니다. 국내 반도체/조선업종 주가는 8/5일 저점을 하회했습니다.

  • 그래도 미국 경기 침체 논란은 주가와 금리의 추가 하락 폭을 가늠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이 필요합니다.

  • 요즘 논란은 미국 장단기금리의 정상화입니다(미국 2년 3.75%, 10년 3.73%).

  • 일부에서는 장단기 금리 역전되었다가 정상화될 때 침체가 임박했다고 보기도 합니다. 역사적으로 그런 경우가 꽤 많았습니다.

  • 하지만 장단기 금리 정상화가 침체의 원인은 아닙니다. 단기 대출 비용보다 장기금리 비용이 높은 것은 정상입니다.

  • 다만, 금리인하가 임박했다는 것(단기 금리 하락)은 경기가 본격적으로 둔화되고 있다는 것인데, 과거 이러한 금리인하는 후행적이었기 때문에 침체를 피하지 못했습니다.

  • 현재 금융시장은 미국 연준의 야심찬 연착륙 계획에도 이러한 우려들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주식시장에서도 경기에 민감한 반도체와 원자재 가격이 가장 취약합니다.

  • 연착륙은 쉽지 않습니다. 사례도 많지 않습니다. 억세게(?) 운이 좋아야 합니다.

  • 현재 시장은 금투세에 대해서도 실망감과 함께 운에 맡기기 싫다는 심리가 더 강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 국내 단기금리 하락은 미국에 비해 더디겠지만, 그래도 단기금리가 떨어질 때 은행, 증권은 상대적으로 나을 수 있습니다.

좋은 하루 되십시오.
https://t.me/huhjae

Telegram

허재환 유진증권 전략

전략

6 months, 4 weeks ago
  • 요즘 금융주 주가가 좋은 건 장단기 금리 (+) > 이자마진 기대 개선 때문? 인 듯?
7 months ago

** 9월 사이즈 지수 변경 발표
https://index.krx.co.kr/board/MKD01040000/bbs#view=962

7 months ago

안녕하세요, 유진투자증권 강송철입니다. ETF 전략 자료 참고 부탁드립니다~

# ETF 전략: 클린에너지, 태양광 ETF(24/9/3일)
ETF/파생 강송철 (02-368-6153)

  • 52주 신고가 ETF: 리츠, 미국 금융주, 항공우주/방산, 고배당, 유럽, 인도
  • 52주 신저가 ETF: 없음

- 미국 증시 사상 최고치 경신, 클린에너지, 태양광 등은 주요 ETF 중 주가가 가장 많이 하락한 업종/테마
- 금리 상승과 함께 주가가 하락한 대표적 자산들 중 하나. 리츠, 글로벌 풍력 최근 주가 반등
- 2022년, 2023년 글로벌 태양광 설치 사상 최대로 증가. 주가는 오히려 큰 폭 하락. 수요보다 공급이 더 빠르게 늘었기 때문
- 중국發 공급 과잉 우려 지속되지만 장기 성장성과 금리 상승 완화, 그 동안 컸던 주가 낙폭 감안하면 태양광은 관심 가질 만한 업종/테마
- 글로벌 태양광 ETF에서 편입 비중 가장 높은 미국 Enphase Energy(ENPH) 올해 2분기 실적 증가 반전. 재고수준 정상 회귀

자료 URL) https://bit.ly/47dbDuT

We recommend to visit

ㅤㅤ𝗜𝗡𝗙𝗢𝗥𝗠𝗔𝗧𝗜𝗢𝗡 𝗔𝗕𝗢𝗨𝗧 𝗞𝗜𝗠

♞ . owner & c.own :: @ujasmine • @aduhh
♞ . admin :: t.me/KimRekber/5137

❈ proof & rate :: @proof_kim • @ratekim
❈ fraud & pp :: @infoscamr • @ppkimrekber

ⓘ tidak menerima format melalui rc ⓘ

Last updated 2 months ago

볼만한 뉴스와 증권사리포트, 글로벌경제뉴스. 와신 등을 공유합니다. 내용은 매도/매수의 의견이 아닙니다.매매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있습니다

●/ ●/
《 | 《 |
/〉 제보.문의 /〉


제보/각종 문의 받습니다.

@yeouidooppa

Last updated 2 months ago

비트코인 & 경제 & 재테크정보를 공유드리는 방입니다

채팅방 - @enjoymyhobbychat

모든 글은 투자의 참고 자료일 뿐이며,
투자 판단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홍보, 후원, 광고 : @KimYoungTaek 문의

Last updated 2 months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