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을 이기는 주식전략] 김용구

Description
We recommend to visit

핑프 채팅방 t.me/finger_princess_chat
핑프방 t.me/finger_princess

Last updated 6 months, 3 weeks ago

Since : 21/11/2020
Adm Channel : ???

? [email protected]
? bit.ly/treasuredailyspotify
? stationhead.com/treasuredaily

Secreto : secreto.site/axhib5
Paid Promote : @treasuredailybot

treasuredaily only on telegram ‼

Last updated 3 months, 1 week ago

𝗛𝗢𝗠𝗘 build since 谷 𝟮𝟬 𝗗𝗘𝗦𝗘𝗠𝗕𝗘𝗥 𝟮𝟬𝟮𝟬 〨 consist a warm family ONLY ON TELEGRAM

BOT : @OFCVICTORYKING_BOT
VK INFO  : @VICTORYKING_CH
VK SH : @SHITPOSTVICTORYKING

Facility that we provide you:
𐂗 @LPMVICTORYKING

Last updated 1 month ago

1 month, 2 weeks ago

안녕하세요. 3/17일자로 회사를 나오기로 했습니다. 이번 주 수요일까지 우본, 여의도, 시내 기관 세미나 소화하면 여기서의 일정도 마무리 되겠네요. 아직 행선지는 정해진 바 없습니다만, 지난 1년간 여한없이 뛴지라 일단 쉬면서 비염 치료와 다이어트에 집중할 요량입니다 ^^. 그간 너무도 감사했습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김용구 올림

1 month, 4 weeks ago
**[1/20, Conviction Call]

**[1/20, Conviction Call]
트럼프 대중국 관세 부과 이후 위안화 추가 약세 가능성을 염두

주식전략 김용구(T. 02-3779-3825)

자료: <https://buly.kr/3NHy33A>

텔레그램:** https://t.me/ConvictionCall

1/21일(한국시간 새벽 2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공식 출범. 취임 직후 트럼프는 강력한 미국 매크로 환경, 상대적으로 취약한 글로벌/중국 경기 여건, ‘26년 11월 중간선거 이전까지 유의미한 정책 성과를 조속히 도출해야만 한다는 시간적 촉박함을 이유로 대중국 관세/통상 압박에 최우선적으로 매진할 개연성이 높음. 트럼프 2기 대중국 관세/통상 압박은 직접적으론 위안화 추가 약세를 자극할 공산이 큼

위안화 상승반전을 위해선 인민은행의 대폭적 금리인상과 대규모 외환보유고 매각 등이 필요. 단, 내수경기 장기침체와 일본식 디플레이션 고착화 우려에 신음 중인 중국이 즉각적으로 해당 조치에 나설 가능성은 전무. 그간 미국 외 주요 교역국 통화에 대해 위안화가 상대적으로 강세였으며, 본질적으로 트럼프 2.0 관세/통상 압박은 미국의 무역 상대국의 통화 절상을 강제하는 지렛대 성격이 농후하다는 점을 고려할 경우, 중국 정책 당국은 위안화 추가 약세를 용인할 소지가 다분한 것으로 평가. 현 달러-위안 환율 7.3선에서 마디 지수대에 해당하는 7.5선까지의 위안화 추가 약세 가능성을 전망하는 이유

원화를 위시한 아시아 주요국 통화는 중국 위안화 환율/가치 변화와 절대적 관련성을 형성. 또한, 한국 원화는 글로벌 교역환경 및 주요국 관세/통상 정책 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통화에 해당. 본질적으론 한미간 금리차 축소 없이는 당분간 원화의 강세 추세전환을 기대하긴 무리. 트럼프 취임 직후 대중국 관세/통상 압박 전면화는 달러-위안 환율 7.5선까지의 위안화 추가 약세를 경유해 달러-원 환율 1,500원 선 어귀까지의 추가 상승과 함께 환율 변동성 추가 확대를 자극할 소지가 다분

단, 1,500원 선 내외의 달러-원 환율이면 ‘24년 하반기 이후 달러 유동성 긴축과 트럼프 2.0 관세/무역 정책 불확실성 영향을 넘어 내부 매크로 자신감 약화와 정치적 홍역까지 상당 수준 반영한 레벨에 해당. 이미 원/달러 환율은 ‘24년 이래로의 계속된 부침을 겪으며 ’18 ~ ’19년 미중 무역전쟁 발발 당시 이상의 원화 약세압력을 소화. 달러-원 환율 오버슈팅 상승 압력의 통계/경험적 극단은 +2σ(1,494.7원) ~ +3σ(1,545.1원). 트럼프 대중국 관세/통상 압박이 곧장 글로벌 교역 및 아시아 환시의 와해적 상황변화로 비화되는 것이 아닌 이상, 원/달러 환율 상승압력은 최악을 전제해도 1,550원 선 이내에서 제한될 개연성이 높음

국내증시 외국인 현선물 수급환경은 달러-원 환율 레벨 변화와 함께 환율 변동성에 복수로 반응. 환율 상승 압력은 일정 수준 이내로 제한되더라도, 환율 변동성 널뛰기가 외국인 수급 러브콜과 시장의 추가 반격 여지를 제한할 전망. 1말2초 시장 눈높이가 재차 KOSPI 2,500pt선 안착 테스트 과정으로 낮춰질 것이라 판단하는 이유

국내증시 포트폴리오/주도주 전략 리더십 역시 미 10년 국채금리와 달러-원 환율 변화에 직간접적으로 연동. ‘24년 하반기 이후 ‘25년 연초까지의 과정은 환율/금리 동반 상승의 1국면에 해당. 동 국면 내 시장을 이기는 업종대안은 조선, 기계, 자동차, 미디어(엔터), 보험. 트럼프 취임 직전후 내부 정치/정책적 허니문 과정 진입은 미 10년 국채금리의 점진적 하향 안정화를 자극할 것이나, 대중국 관세/통상 압박은 달러-원 환율의 추가 상승의 엇갈림을 자극할 소지가 다분. 환율 상승 & 금리 하락이 교차하는 2국면으로의 상황 변화 가능성을 주목하는 이유. ‘24년 4분기와 ‘25년 연간 실적 모멘텀을 추가로 고려해 2국면 Winner 업종대안을 추가 압축할 경우, 바이오, 인바운드 소비재, 보험, 유틸리티가 도출. 관련 대표주를 트럼프 2.0 대중국 관세/통상 압박 전면화 이후 위안화 및 원화 환율 부침 확대 파고에 맞서는 액티브/모멘텀 알파대안으로 활용

2 months ago
**[2/3, Conviction Call] 트럼프 캐나다/멕시코/중국 보편관세 …

**[2/3, Conviction Call] 트럼프 캐나다/멕시코/중국 보편관세 부과의 투자전략 함의

주식전략 김용구(T. 02-3779-3825)

자료: <https://buly.kr/CLyhE6w>
텔레그램: <https://t.me/ConvictionCall>**

2/1일 트럼프는 멕시코 25%, 캐나다 비에너지 상품 25%(에너지는 10%로 차등), 중국 10% 보편관세 부과와 관련한 행정명령에 서명. 국제비상경제권한법에 근거한 이번 조치는, 일단은 예외 품목 없이 보복 조항을 담은 채 4일부터 전면 시행/적용될 예정. 멕시코/캐나다/중국은 미국의 3대 수입국에 해당. 상기 보편관세 부과로 ‘23년 말 기준 미국 총수입의 42.9%, 명목 GDP 5%에 준하는 1.3조$ 상당의 무역이 관세 사정권에 진입하며, 미국 평균 관세율은 현 2.8% 수준에서 10.7%로 급상승할 전망. 궁금한 점은 트럼프 집권 2기 최초 관세 부과와 관련한 투자전략 함의 판단

첫째, 대미 상품 수출이 차지하는 국가별 GDP 비중/영향은 멕시코 16.0%, 캐나다 14.0%, 중국 2.3%. 반면, 미국의 대 멕시코/캐나다/중국 수출의 미국 GDP 영향은 1% 내외로 한정. 이번 조치는 멕시코/캐나다 경제에겐 실존적 위협을 가할 공산이 크나, 미국과 중국은 관세 보복전으로 치닫는 것이 아닌 이상 관련 충격은 당장엔 일정 수준 이하로 제한될 개연성이 높음. 멕시코/캐나다는 미국의 요구에 순응하며 실제 관세 부과 대상 범위/품목을 조율하는 데 집중하고, 미중 양국은 탐색전 또는 심리전을 반복하며 향후 중장기적으로 주고받을 명분과 실리를 맞추는 과정이 연이을 것이라 판단하는 이유

둘째, 이번 3 관세 부과 결정이 그간 트럼프가 관세/통상 관련 엄포/협박성 발언에서 적시했던 2월(또는 1Q) 타임라인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는 점을 주목. 최근 상무장관 지명자인 하워드 루트닉이 인사 청문회를 통해 4월 중 EU에 대한 보편관세 부과를 경고하고 있다는 사실에 따를 경우, 독일(총수입 내 비중 5.2%), 일본(4.8%), 한국(3.8%) 등 6대 수입국에 대한 관세/통상 압박은 2분기를 통해 전면화될 공산이 큼. 트럼프 2기 경제/통상 정책 기조 및 세부 골자가 구체화되기 전까진 국내증시의 추세적 반격 여지는 제한되고, 상반기 중 KOSPI 2,600pt선 전후 박스권 등락 과정이 불가피하다 보는 이유

셋째, 트럼프 2기 경제/통상 정책의 양대 축은 베세노믹스(스캇 베센트 재무장관의 정책 초점: 재정긴축, 물가통제, 통화완화)와 마러라고 협정(우방국 및 중국측 미국 우선주의 순응, 달러화 약세 용인, 미국과의 패권/전략 경쟁 지양)이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얻고자 하는 바는 저금리와 약달러 두 가지. 단, 인플레 자극이 재점화되는 국면에선 연준 금리인하 기대는 단순 공염불로 제한되며, 미국 경기/금융 불안 추가 심화 역시 불가피. 주요 교역국의 근린궁핍화는 궁극적으로 달러화 추가 강세를 자극할 공산이 크고, 제조업 리쇼어링, 수출 경쟁력 강화 역시 일장춘몽으로 제한. 실제 트럼프 2기 관세/통상 정책이 막무가내식 파상공세 또는 전면전 방식이 아닌 여전히 시장/물가/달러화 영향을 복합 고려한 베세노믹스식 실리주의 또는 선별적 교환 과정 형태를 따를 것이라 판단하는 이유

넷째, 국내증시 인덱스 경로 및 포트폴리오/주도주 리더십 환경은 시장금리와 달러-원 환율 변화에 직간접적으로 연동. 트럼프의 캐나다/멕시코/중국 보편관세 부과 관련 초기 충격은 ‘24년 4Q 및 ‘25년 1월과 유사한 환율/금리 동반상승 흐름을 자극할 전망. 관세 내홍을 소화하는 단기 과정에선 조선, 기계 등의 1국면 Winner 업종대안이 계속해서 시장 내 안전지대격 투자대안으로 기능할 소지가 다분. 이후 실제 미국은 멕시코/캐나다에겐 국경 안보 등의 실리 확보를 대가로 보편관세 부과 예외 품목 확대라는 우회로를 열어주며 중국과의 중장기적 싸움에 주력할 개연성이 높음. 이는 2국면 환율 상승 & 금리 하락의 엇갈림을 자극할 공산이 크며, 상기 과정에선 바이오, 인바운드 소비재, 보험, 유틸리티 등의 Core 내수 대표주 옥석 가리기가 포트폴리오 성과를 판가름

3 months, 4 weeks ago

Portfolio Strategy: Korean equity market insights post the imposition and retraction of martial law

2024년 12월 3일, 윤석열 대통령은 한국에서 1980년 이후 처음으로 계엄령을 선포했으나, 국회가 이를 만장일치로 반대하면서 몇 시간 만에 철회했습니다. 이 사건으로 인해 시장은 단기적으로 큰 변동성을 보였으며, KOSPI 야간선물 지수는 -6% 이상 하락했다가 다음 날 -1.4% 하락으로 안정화되었습니다. 이는 금융 당국이 “무제한 유동성 공급”을 약속하며 시장을 진정시킨 결과였습니다. 그러나 이로 인해 대통령의 정치적 위기와 잠재적 탄핵 가능성이 대두되며, 정치적 불확실성이 고조되었습니다.

한국의 과거 정치적 위기 사례인 노무현(2004년)과 박근혜(2016년) 대통령의 탄핵 과정은 시장에 강한 변동성을 가져왔습니다. 두 사례 모두 의회 투표 전후 시장의 급격한 움직임이 있었으나, 이후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그러나 시장 회복의 강도는 당시의 거시경제 여건과 정책 기대치에 따라 달라졌습니다. 2024년 현재, 글로벌 경기 순환과 강달러, 높은 미국 금리 및 관세 불확실성은 한국 시장에 특히 불리한 환경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와 야당은 주주 권리 강화와 기업 거버넌스 개선을 목표로 여러 법안과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Value-Up 프로그램’은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주주 수익률을 개선하고 거버넌스를 개혁하도록 장려하고 있습니다. 야당은 자본시장법과 상법 개정을 통해 주주 권리를 보호하고 기업 투명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국내외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2025년을 앞두고 한국 경제는 수출 감소, 산업 생산 둔화, DRAM 가격 하락 등으로 어려운 여건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한국 시장의 밸류에이션이 역사적으로 매력적인 수준에 도달했지만, 명확한 촉매제가 나타나기 전까지는 저평가 상태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습니다. 또한, 금리가 장기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환경과 경제적 불확실성은 시장 재평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당사는 방위 산업, AI 관련 인프라, 주주 환원율이 높은 섹터와 같은 구조적 테마에 대한 투자 노출을 확대하고, 경기 순환적 및 수출 의존적 분야에서는 보다 보수적인 접근을 추천합니다. 또한, 국방 및 거버넌스 개선 관련 주식, 중소형주 기회, 거시경제 회복력 있는 주식을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것을 권장합니다.

정치적 불확실성과 거시경제적 도전 속에서도, 한국 주식 시장은 정책 개선과 거버넌스 강화라는 긍정적 신호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시장의 지속 가능한 회복을 위해서는 보다 구체적이고 확실한 촉매제가 필요하며, 국내외 투자자들은 이러한 변화가 가져올 장기적 기회를 주목해야 합니다.

- Goldman Sachs, Macro Trader.

4 months ago

‘관세 매파’ 라이트하이저, 트럼프 2기서 주요 직책 안 맡는다
출처 : 동아일보 | 네이버

https://naver.me/5r9UFqs8

4 months ago
**[12/4, Conviction Call]

**[12/4, Conviction Call]
한국 정치 불확실성 극대화 관련 증시 대응전략 판단

상상인 주식전략 김용구(T. 02-3779-3825)

자료: <https://url.kr/rony1l>
텔레그램: <**https://t.me/ConvictionCall>

12월 3~4일 사이 윤석열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해제와 관련한 전대미문의 정치 불확실성이 현실화. 궁금한 점은 한국 정치 불확실성 또는 정정 불안 극대화 관련 주식시장 대응전략 판단

KOSPI 2,400pt선 하방 지지력은 유효: KOSPI 12개월 선행 P/B 0.8배선(환산 KOSPI 지수대는 2,380pt선)은 미국 또는 글로벌 경기침체 실화 당시 극한의 심리/수급 충격을 반영한 투자전략 측면 마지노선에 해당. 보수적 견지에서 이번 정치 불확실성 극대화 관련 추가 여진을 상정하더라도, 당장은 경제/증시 펀더멘탈을 뒤흔들 변수가 아니라는 점에서 KOSPI 2,400pt선의 하방 지지력은 유효한 것으로 평가.

실제, 1) 2004년 3월 노무현 대통령 탄핵정국, 2) 2008년 4월 이명박 정권 광우병 사태, 3) 2016년 10월 박근혜 대통령 탄핵정국 당시 국내증시 주가/수급 영향은 일정 수준 이하로 제한. 더불어, 글로벌/EM 증시 등락 대비 특별히 도드라진 주가 반응이 구체화됐던 것도 아니었음에 유의할 필요. 현 지수 레벨에선 잠복 불확실성의 극한을 상정하더라도, 투매보단 보유, 관망보단 전략대안 매수대응이 전략적 실익이 절대적으로 앞선다 판단하는 이유

단, 정치 불확실성 해소/완화 전까진 증시 추세적 정상화 가능성은 제한: 전술했던 2004년 3월 노무현 대통령 탄핵정국, 2008년 4월 이명박 정권 광우병 사태, 2016년 10월 박근혜 대통령 탄핵정국 당시와, 2015년 브라질 호세프 대통령 탄핵정국 등의 해외 사례에 따를 경우, 주식시장의 추세적/완전 정상화 과정은 국정혼란의 조기 진정/해소(질서 있는 탄핵안의 확정)와 긴급 금융시장 유동성 지원책 및 추가 경기부양책 제시를 통해서 구체화.

특히, 1) 중립이하의 대내외 경기/수요 환경, 2) 트럼프 2.0 정책 불확실성에, 3) 이번 계엄령 선포/해제 사태 관련 한국 내부 정치 불확실성이 새로이 가세했다는 점에서 시장 상방 저항 강화와 함께 내부 정치 변수 의존적 주가 등락흐름이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 연말연시 KOSPI 2,400 ~ 2,600pt선 박스권 내 일진일퇴 공방전 지속 가능성에 무게를 두는 이유. 상기 국면 내 가장 검증된 형태의 시장 안전지대격 투자대안은 낙폭과대 실적주와 안전마진 확보가 가능했던 중대형 고배당주 두가지. Tech(반도체, 2차전지, IT하드웨어), 바이오, 은행/증권 대표주 옥석 가리기를 주목하는 이유. 상기 과정에선 정치 테마주가 기승을 부릴 공산이 크나, 관련주의 말로는 언제나 비참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

6 months, 3 weeks ago

[9/9, Conviction Call]
애매한 8월 고용에도 월러와 윌리엄스의 빅컷 입질은 없었다

상상인 주식전략 김용구(T. 02-3779-3825)
자료: <https://vo.la/fdHSky>
텔레그램: <https://t.me/ConvictionCall>

8월 비농업 신규고용은 14.2만 명 증가로 시장 컨센서스 16.5만 명을 하회했고, 3개월 이동평균은 ‘20년 10월 이후 최저치인 11.6만 명으로 감소. 8월 실업률은 4.2%로 언뜻 7월 4.3%보다 나아진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 개선폭은 -0.03%pt에 불과. 소수점 셋째자리 반올림에 따른 수치 변화일 뿐, 각별한 의미를 부여할 수준은 아님. 실업률 4.0% 이하로의 고용시장 개선을 위해 요구되는 비농업 신규고용 최소 증가분은 17.7만 명. 6월 이후 동 임계치를 크게 밑도는 부진세가 지속지고 있다는 점은 평균회귀 경향성이 대단히 강했던 실업률의 추가/지속 상승 가능성을 암시. 8월 시간당 평균 임금은 전월 대비 0.4% 상승. 단, 임금 상승률에 6개월가량 선행하는 일자리/실업자 수 비율이 ‘24년 1월 1.43배에서 7월 말 현재 1.07배로 속락 중에 있다는 점을 고려할 경우, 8월 평균 임금 상승은 추세적 되돌림보단 일시적 반격 가능성이 우세

8월 고용보고서는 양적으론 애매했지만, 질적으론 대체로 부진. 만일, 9월 연준의 경기 판단이 양적 지표에 초점을 맞춘다면, 9월 최초 금리인하 성격은 경기/고용 지표 추가 다운사이드 리스크 방어를 위한 Adjustment Cut(산발적/수세적 금리인하. 9월 25bp, ‘24년 50~75bp 인하) 가능성이 우세. 반면, 연준이 질적 변화를 주목할 경우, 9월 최초 금리인하 성격은 실물경기 진작 및 매크로 자신감 회복을 위한 사전포석 성격의 Insurance Cut(연속적/공세적 금리인하. 9월 50bp, ‘24년 100~125bp 인하)이 될 개연성이 높음. 고민은 8월 고용보고서 발표 직후에 있었던 연설을 통해, 월러 이사와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 모두 최근 경기/고용 지표의 질적 부진이 아닌 양적 둔화에 주목하며 9월 25bp 최초 인하 이후 데이터 의존적 점진적 정책 대응을 강조했다는 사실

시장은 연준과는 달리 경기/고용 지표 질적 부진으로 표방되는 체감적 경기 환경 변화에 민감. 특히, 8월 초 국내외 자산시장 동반 패닉 이후 9월 빅컷 또는 Insurance Cut 기대를 상당 수준 선반영했다는 점을 고려할 경우, 9월 25bp 인하만으론 증시 및 금리 변동성 추가 확대는 불가피. 1) 9월 연준 금리인하 관련 글로벌 금융시장 전반의 사전적 경계감은, 2) 트럼프 2기 보호무역주의 재점화 관련 직간접적 피해자로서 한국 경제/증시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3) 금투세 도입 논쟁 격화 관련 국내증시 내부 수급/심리 불안 등과 결합해 한가위(또는 9월 FOMC) 전후 시장의 삼중고격 교란요인으로 기능할 소지가 다분

이 경우, 펀더멘탈 변수로 설명 가능한 KOSPI Rock-bottom은 12개월 선행 P/E -2σ(8.68배, 9/6일 종가 기준 현재 8.63배)에 준하는 지수 2,560pt선 내외가 해당하나, 국내외 증시/금리 변동성 확대와 내부 수급/심리 공백간 결합은 센티멘탈 언더슈팅 극단에 해당하는 P/E -3σ(8.03배)권 KOSPI 2,370pt 어귀까지의 추가 증시 내홍으로 파급될 수 있음을 염두. 수익률 관리에 비상이 걸린 현 시장 투자가측 포트폴리오/주도주 전략 초점은 금리/정책/실적 불확실성 삼중 헤지 대안이자, 과거 연준 금리인하 사이클 초기 국면 주도주였던 경기방어적 성장주 요건에 모두 부합하는 일드커브 Bull-Steepening Winner 대안 압축대응 과정에 집중될 전망. 바이오, 금융(은행/증권/보험 대형주 중심 밸류업 Play), 소프트웨어, 자동차, 조선/기계가 관련 맥락에 부합하는 업종대안에 해당. 증시 단기 부침 과정에서의 버팀목이자 9월 FOMC 이후 시장 반격 과정에서의 첨병으로서 관련 대표주를 주목할 필요

7 months, 1 week ago

[8/30, 9월 주식시장 전망과 전략]
PTSD(Powell/Trump Stress Disorder)

상상인 주식전략 김용구(T. 02-3779-3825)
자료: <https://url.kr/ax63xq>
텔레그램: <https://t.me/ConvictionCall>

9월 KOSPI 2,550 ~ 2,800pt 밴드 내 중립 수준 주가흐름 전개를 예상. 9월 연준 금리인하 성격은 실물경기 진작과 매크로 자신감 회복을 담보할 Insurance Cut(연속적/공세적 인하, 9월 50bp & ’24년 총 75~100bp 인하) 형태가 아닌 경기/고용 환경 다운사이드 리스크 방어를 위한 Adjustment Cut(산발적/수세적 인하, 9월 25bp & ’24년 총 50bp 인하) 가능성이 우세. 실질금리 하락과 여전한 수출/실적 모멘텀으로 증시 하방압력 완충은 가능할 것이나, 매크로 자신감 회복이 결여된 탓에 주가/밸류 추가 도약은 무리. 또한 미국 대선가도는 9/10일 TV 토론을 기점으로 끝장승부격 본 게임 과정에 진입. 구시월 글로벌 정치/정책/지정학적 불확실성 재점화에 따른 국내외 자산시장 부침 및 변동성 확대 가능성을 경계하는 이유

VIX와 MOVE 지수의 표준화 합으로 규정되는 글로벌 증시/금리 합산 변동성은 통상적으로 국내외 증시 인덱스 경로에 3개월 선행. 1) 글로벌 정치/정책/지정학적 불확실성 심화는 VIX 지수의 추가 상승을, 2) Insurance Cut과 Adjustment Cut 사이의 금리인하 관련 시각 차이는 시장금리 변동성 추가 확대를 자극할 개연성이 높음. 최근 미국 경기 모멘텀 약화와 미국외 중심국 경기 정체/부진을 이유로 글로벌 경기 모멘텀이 속락 전환한데 이어 글로벌 매출수정비율 또한 반락 전환. 이는 하반기 한국 수출 모멘텀 약화 및 기업실적 불확실성 재점화 가능성을 역설하는 선행 시그널에 해당. 상기 기류 변화는 3Q 실적시즌 본격화 전후 과정을 통해, 그간 낙관에 경도됐던 Bottom-up 애널리스트 실적 전망의 하향조정으로 반영될 공산이 큼

단, 8월 말 현재 KOSPI 12개월 선행 P/B는 글로벌 매크로 및 금융 환경 내 순환적 위기 발발 당시 펀더멘탈 Rock-bottom에 준하는 0.9배선에 준함. 8/5일 패닉 당시 장 중 추세적 위기 현실화에 상응하는 P/B 0.8배선까지 하락하기도 했으나, 투심 회복과 함께 이내 곧 0.9배선까지 되돌림. KOSPI 2,650pt선 이하 구간에선 잠복 불확실성에 대한 사주경계를 이어가더라도 투매보단 보유가, 관망보단 매수 대응이 절대적으로 유리. 하반기 KOSPI 6~7월 상승(고점 2,900pt선, 수출/실적 순항과 주요국 금리인하 기대 반영), 8~10월 정체/하락(저점 2,550pt선, 미 대선 관련 정치/정책/지정학 리스크의 반영), 11~12월 재상승(고점 2,900pt선, 안도랠리와 밸류업 Play)의 N자 형태 등락 경로를 따를 것이라는 종전 전망을 유지

수익률 관리에 비상이 걸린 9월 포트폴리오/주도주 전략 초점은, ’24년 하반기 투자전략의 중추이자 금리/정책/실적 불확실성 삼중 헤지대안에 해당하는 시장금리 Bull-Steepening 환경 Winner 압축대응에 집중될 전망. 1) 과거 Bull-Steepening 금리 환경 당시 KOSPI 대비 초과성과 확보가 가능했던 업종 중, 2) ’24년 및 3Q 실적 모멘텀과, 3) 가격 전가력을 겸비한 업종대안은 금융(은행/증권/보험 등 밸류업 Play), 바이오, 자동차, SW, 조선, 기계. 9월 Top 10 Picks로 SK하이닉스, 삼성바이오로직스, 현대차, NAVER, LG전자, 크래프톤, 현대글로비스, 현대로템, LS ELECTRIC, 리가켐바이오를 제시

7 months, 2 weeks ago

[8/19, Conviction Call] 시장 갭 메우기 이후 업종 취사선택

상상인 주식전략 김용구(T. 02-3779-3825)
자료: <https://han.gl/HGC9m>
텔레그램: <https://t.me/ConvictionCall>

8/5일 KOSPI 갭 하락 충격은 지난 주 시장의 갭 상승을 통해 상쇄. 1) 글로벌 경기침체 공포 완화, 2) 연준의 신축적 금리인하 기대의 부활, 3) 글로벌 시스템/알고리즘 트레이딩 환경 내 주요 Input 변수 발작 현상 진정 등의 영향. 펀더멘탈 Rock-bottom KOSPI 12개월 선행 P/B 0.9배선(환산 KOSPI 2,660pt선)에 다시 올라선 시장의 다음 과제는 8/2일 하락 갭 메우기. 7말8초 국내외 증시 동반 패닉으로 잠복 불확실성의 극한을 상당 수준 선반영했고, 파월 의장은 8/23일 잭슨홀 미팅 기조연설을 통해 추세 이상의 경제 성장에 대한 자신감, 충분한 수준의 통화정책 대응 여력 확보, 9월 연준 금리인하 실시에 대한 구체적 시그널 등을 제시/강조할 공산이 크다는 점에서 KOSPI 시장의 2차 하락 갭 메우기(또는 KOSPI 2,800pt선 안착) 미션 역시 8말9초 과정을 통해 능히 가능할 것으로 판단

궁금한 점은 시장 갭 메우기 이후 업종대안별 포트폴리오 전략 우선순위 판단. 시장 패닉 이후 펀더멘탈 Rock-bottom까지의 주가 정상화 과정은 인덱스 베타 Play 성격이 짙어 업종/종목 대안별로는 무차별적 행태를 보이나, 펀더멘탈 마지노선 안착 이후 시장에선 각 투자대안별로 차별적 주가 행보를 그려갈 개연성이 높음. 이에, WI26 업종/KOSPI 상대주가와 이에 동선행하는 업종 – KOSPI 이익수정비율 차분으로 보면, 1) 시장 갭 메우기 이후에도 계속 따라갈 업종은 반도체, 바이오, 은행, 증권, 조선, 상사, 통신, 2) 실적 모멘텀은 시장 대비 아웃퍼폼, 주가 모멘텀은 시장 대비 언더퍼폼으로 엇갈려 Bottom-fishing 대응이 유효한 업종은 자동차, IT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보험 등이 해당하며, 3) 여타 업종은 비중확대의 실익이 기회비용을 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

9 months, 1 week ago

※ 상상인 리서치 투자전략 뉴스
24.06.26 (수)

● Top News
- 美 6월 소비자 신뢰 하락…"노동시장 약화 시 추가 하락"
https://naver.me/GxkbSoFp

● Economy
- 과일에 이어 채소값 상승, 장바구니 물가 요동에 서민들 시름 깊어져
https://naver.me/FHlT9LfM
- 미 4월 주택가격 전년 대비 7.2%↑…사상 최고 경신
https://naver.me/FV7glMKC

● Stock Market
- 기술주에 울고 웃는 뉴욕 증시, 혼조세 마감…나스닥 1.26%↑
https://naver.me/5dutzM0Y
- 중국 증시 하락 마감…상하이지수 0.44%↓
https://naver.me/5gFyUvlQ

● Fixed Income
- 국고채 금리, 1bp 미만 소폭 상승…3년물, 3.20% 상회
https://naver.me/FnmlH9ug
- 美 연준 '매파' 인사 "인플레 반등 시 금리 인상 가능성"
https://naver.me/xTTvXiXv

● Currency
- 美 연준인사 '매파' 발언에 달러화 강세 지속…1달러=159.7엔
https://naver.me/xJi3J5F6
- 엔화 폭락에 고통받는 수출 기업들
https://naver.me/GSDx7T14

● Commodity
- 차익 실현 매물에 1% 하락…중동 불안은 여전
https://naver.me/502V5mH3
- 일상화된 리튬 배터리, 화재 지침은 없어
https://naver.me/xY4OtVdm

● Real Estate
- 하루가 다르게 치솟는 전세 소방수 떴다…하반기 서울 입주물량 쏟아진다
https://naver.me/52RsEhAt
- 중국인이 부동산 싹쓸이?…"제주도는 중국섬" 실제론 어떨까
https://naver.me/5T4RhD3U

● ESG
- 덴마크, 세계 최초로 ‘농업 탄소세’ 부과… 감축 목표량의 70% 해결
https://naver.me/xY4OdP9c

● ETC
- 비트코인 5% 급등, 6만2000달러 재돌파
https://naver.me/xOxBjYM3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채널: https://t.me/ssi_macro

We recommend to visit

핑프 채팅방 t.me/finger_princess_chat
핑프방 t.me/finger_princess

Last updated 6 months, 3 weeks ago

Since : 21/11/2020
Adm Channel : ???

? [email protected]
? bit.ly/treasuredailyspotify
? stationhead.com/treasuredaily

Secreto : secreto.site/axhib5
Paid Promote : @treasuredailybot

treasuredaily only on telegram ‼

Last updated 3 months, 1 week ago

𝗛𝗢𝗠𝗘 build since 谷 𝟮𝟬 𝗗𝗘𝗦𝗘𝗠𝗕𝗘𝗥 𝟮𝟬𝟮𝟬 〨 consist a warm family ONLY ON TELEGRAM

BOT : @OFCVICTORYKING_BOT
VK INFO  : @VICTORYKING_CH
VK SH : @SHITPOSTVICTORYKING

Facility that we provide you:
𐂗 @LPMVICTORYKING

Last updated 1 month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