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st updated 2 weeks, 2 days ago
Last updated 1 week, 3 days ago
[DeepSeek, 또 한번 주목 받아]
- 주말동안 CNBC 때문에 딥시크(DeepSeek)가 또 화제 되었네요
- 지난 20일에 발표된 추론모델 R1(V3모델 미세조정 버전)을 공개했습니다. 언론에서는 딥시크 모델이 오픈AI 추론모델 성능을 초월하고 개발비용이 1/100에 불과하다고 했는데, 이는 빠르면 작년 8월, 또는 작년 연말에 이미 회자된 내용입니다.
- 개인적으로 이 시점에 언론에서 강하게 주목하는 이유가, 단순 신모델 출시 때문인지, 아니면 미국이 중국 AI를 때리기 위한 분위기 조성인지가 헷갈리네요.
- 딥시크 창시자는 85년생의 퀀트 헷지펀드 출신입니다. 작년 연말 V3 모델 출시로 크게 회자된 이후 올해 중국 고위지도자 간담회에 참석한 사진이 회자되었습니다. 그만큼 중국정부도 AI투자에 진심이라는 것을 엿볼 수 있죠
- 딥시크의 성과는 중국이 제한된 자원에서 효율화로 당분간 돌파구를 찾았을 뿐 갈 길이 멉니다. 단, 중국의 빠른 속도의 따라잡기로 양국의 경쟁은 더 확대될 수 밖에 없고, 이는 양국 산업 발전을 촉진하는 계기로 작용합니다.
- 연초 딥시크 시사점을 적은 보고서 다시 올려드립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tinyurl.com/my5ydcs6
다들 구정 잘 보내시고요
맛난거 많이 드시고
복 많이 돈 많이 받이시기 바랍니다~~^^
담 거래일에 뵈요~~ㅎㅎ
2025.01.24 13:30:02
기업명: 한화오션(시가총액: 16조 2,706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32,532억(예상치 : 30,059억)
영업익 : 1,690억(예상치 : 1,161억)
순이익 : 5,764억(예상치 : 1,419억)
최근 실적 추이
2024.4Q 32,532억/ 1,690억/ 5,764억
2024.3Q 27,031억/ 256억/ -748억
2024.2Q 25,361억/ -97억/ -274억
2024.1Q 22,836억/ 529억/ 510억
2023.4Q 22,309억/ -488억/ 2,861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124800294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42660
술은 먹었지만 음주운전은 아닙니다?
ㄴ-공장증설 자금조달과 신규 빅파마 기술이전 1분기 중 가시화 기대 : 1년 내내 상승 요인 공시될 것
-주요 계약 및 임상 개시, 허가 등의 모멘텀은 다른 바이오텍을 압도하는 수준
-이중항체 또한 할로자임 타겟독점 한계로 동사 계약만 가능
1월 구정 전 계약은 1분기로 슬로우해진 듯 하나 이보다 이중항체도 SC 가능하다는 포인트가 중요.
개인적으로 슬슬 바이오는 바닥이 다 오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오늘 중국 관세 10% 컨센 하회로 보고 금리 피크아웃
+
미국 현재 행정부 인사들 청문회 중인데 오히려 RFK 임명 이후 악재 해소로 봐야하지 싶습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미국의 경우 시밀러 및 CDMO 종목들에 집중해야 할 것 같다는 의견이며
국내의 경우 알테, 양행, 한올, 리가, ABL, 보로노이 등 전부 상반기 핵심 기대감이 살아있는 상황입니다.
비만 치료제 섹터로는 펩트론 및 Hims & Hers 를 개인적으로 관심 가지고 있습니다.
[알테오젠 관련]
산도즈가 발표한 3분기 실적발표에서 시밀러 출시 계획에 중 엄청 주목할만한 내용이 나왔습니다. 키트루다의 특허만료 후 출시 시점이 2028년이 아니라 미국 2029년말, 유럽 2031년초로 잡혀있네요!
우리가 예상하던 2028년보다 미국은 1년이상 유럽은 3년이 더 보호됩니다. BMS 옵디보는 오히려 더 일찍 만료!
알테오젠과 머크는 2025년 키트루다SC 허가 후 전환을 할 수 있는 시간을 미국 4년, 유럽 6년의 시간을 확보합니다.
지난 5월 알테오젠 박순재 대표님께서 머크가 2년만 더 연장에 성공한다면 시장 점유율을 50%를 훨씬 넘어서는 수준까지 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답변하신 바 있습니다.
머크가 발표한 2027-2028년 중 50% SC 전환은 거의 확정적이네요. 이번 3분기 키트루다는 10조원의 매출을 달성!
시밀러 진입없이 미국과 유럽 판매가 연장된다면 키트루다는 연간 50-60조 매출을 넘어설겁니다.
키트루다SC 전환율이 어디까지 갈 수 있을지 정말 기대됩니다. 전태연 부사장은 70-80% 수준까지 전환될 것이라고 인터뷰한 내용도 있었죠.
키트루다SC 최소 50% 전환이면 연간 20조원이고 4-5% 로열티 인식 시 1조원이 실현될 수 있습니다. 그 이상도 가능하겠습니다!
ㅋㅋㅋㅋㅋㅋ텔레가 진성준 개쉙 뉴스로 도배되는데...
낮에 말했죠...한노므 새끼도...사모 언급하는 넘은 없다고..
이소영도 역할 잘 맡아서 이제 상법 가지고 늘어지는데..
문재인때 하지 그랬어..개x들아.ㅋㅋㅋㅋ
아오 낼 컴터로 봐야겠네요.
핸폰으로 보기엔 노안이.ㅠ
Last updated 2 weeks, 2 days ago
Last updated 1 week, 3 days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