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김철중] 디배저

Description
미래에셋 배터리/디스플레이 담당 김철중 연구위원입니다.
산업 관련 데이터 공유 채널이며, 종목에 대한 투자 의견은 발간 완료된 보고서만을 통해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궁금하신 사항은 아래 이메일을 통해서 문의 부탁드립니다.

[email protected]
We recommend to visit

주식 열공합시다!!

Last updated 1 year, 2 months ago

Last updated 2 weeks, 2 days ago

Last updated 1 week, 3 days ago

3 weeks, 2 days ago

파월 의장 기자회견Q.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인하 요구 관련?
A. 대통령의 발언과 관련한 응답은 하지 않겠음. 트럼프와의 직접적 접촉 없었다

Q. 통화정책이 상당히 제약적(meaningfully restrictive)이라는 평가에 변화가 있는지? 25bp 추가 인하한다면 정책이 덜 제약적일 것이라고 생각하나?
A. 평가는 크게 바뀌지 않았다. 금리인하 시작 당시보다는 덜 제약적이지만 여전히 통화정책은 제약적. 인플레와 고용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할 것. 인플레와 고용시장은 균형 잡혔고, 통화정책은 잘 작동하고 있다.

Q. 성명문 변화에 대해? 신행정부 하 인플레 상방 리스크?
A. 문구 삭제는 큰 시그널을 주기 위한 것은 아니었음. 두 번 연속의 좋은 인플레 데이터가 확인. 우리는 2% 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할 것. 아직 FOMC는 신행정부 재정정책과 규제를 지켜보자는 스탠스

Q. 현재 경제전망 불확실성은 어느 정도인가? 통화정책이 제약적이라는 것은 추가 인하를 열어두고 있는 것인지?
A. 현재 관세, 재정, 이민, 규제 등 고려할 때 불확실성 존재. 통화정책과 경제 모두 좋은 포지션에 위치. 우리는 조정에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판단했음.

Q. 새로운 이민 정책이 고용시장에 미칠 영향?
A. 여러가지 시나리오들을 염두에 두고는 있으나 행동으로 이어지기까지는 더 많은 것이 확인돼야 할 것

Q. 추가 금리인하는 인플레 전망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12월 견해에 대해?
A. 주거비가 꽤 꾸준히(pretty steadily) 하락하고 있음. 다만 인플레의 추가 진전을 보고 싶다는 견해는 유지. 실업률 등을 고려할 때 전반적으로 고용시장은 꽤 안정적이어 보인다

Q. 이민자 유입 감소가 고용시장에 미칠 영향?
A. 이민자 수는 감소하고 있으나 일자리수가 동반 감소하는 상황은 안정적인 실업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

Q. 중립금리와 얼마나 멀리 있나?
A. 현재 4.3%는 장기 중립금리보다 꽤 높은 수준. 우리의 통화정책은 인플레를 안정시키고 고용시장 균형을 달성하는 데 기여하고 있음. 추가 정책 조정에 서두르지는 않을 것

Q. 현재 관세 위협이 과거 무역전쟁 당시 상황과 다른 점? 통화정책에 영향을 미칠 관세 관련 이벤트가 있다면?
A. 현재는 고인플레 상황. 소비자들은 가격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는 기업들의 평가가 많음. 제조업 기반이 멕시코 등으로 이동하며 예전보다는 중국에 대한 직접적 의존도가 낮아졌음. 관세가 어떻게 경제와 소비자들로의 영향으로 이어질지 불확실성 높음

Q. QT 종료에 대한 논의?
A. 준비금은 충분함(abundant). 정확한 시점을 말하기는 어려움

Q. 금리를 인하하기 위해 인플레 목표 수준으로 떨어져야 하나?
A. 금리 인하를 위해 인플레가 목표 수준으로 내려와야 할 필요는 없다. 인플레 추가 진전을 보고 싶다. 현재 정책은 상당히(not highly but meaningfully) 제약적

Q. 현재 경기전망의 리스크?
A. 고용률이 낮은 상황에서 해고율이 높아지면 실업률이 급격히 높아질 가능성. 하지만 전반적으로 고용시장은 양호한 상황. 우리는 6개월간 견고한 상태를 유지했음

Q. 3월 인하가 테이블 위에 있나? 인플레 관련 데이터가 추가 확인돼야 하나?
A. 디스인플레가 울퉁불퉁하고 느리지만 진전되고 있다. 우리는 금리인하에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결론. 꾸준한 인플레 진전이 이루어진다면 자신감이 높아질 것

Q. 2% 인플레 목표가 변경될 가능성?
A. 2% 인플레 목표는 잘 적용되어 왔음. 2% 인플레 목표 자체에는 변화가 없을 것

3 weeks, 3 days ago
[GM 4Q24 실적컨콜 정리]

[GM 4Q24 실적컨콜 정리]
미래에셋 자동차 김진석

◆ 4Q24 실적 및 25년 가이던스 요약
https://t.me/automirae/289

◆ 발표/Q&A 중 주요내용 정리

- 25년 북미 EV 도매 목표 30만대(+59% YoY). 24년 북미 EV 도매 18.9만대, 북미 EV 소매 14.6만대, 미국 소매 11.4만대. 참고로 GM 캐나다 EV 소매 3.1만대(이쿼녹스EV 비중이 52%)

- 25년 EV EBIT 개선 목표는 3Q24에 제시했던 20~40억달러에서 하단으로 하향. 규모의 효과와 배터리/기타비용절감 효과는 균등할 것. EV 변동이익은 목표대로 4Q24 흑자전환. 참고로 GM 변동이익은 공헌이익+IRA혜택+배출크레딧 포함

- 현대차와의 협업에 관련해서는, 빠른대응/비용절감/자본효율성을 위한 제품 및 구매 관련 첫 계약을 마무리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 코멘트. 협업은 글로벌로 특정 세그먼트와 사업영역 대상의 협업이 될 것이며 빠른 시일 내로 공유할 것

- 25년 조정EBIT 가이던스는 137~157억달러(-)8~(+)5%YoY. 중단값은 147억달러(-1%YoY). 25년 도매물량은 소폭 감소를 제시. EV가 11만대 증가임을 감안하면 ICE는 감소를 가정. 북미 ASP는 (-)1~(-)1.5%YoY 감소 제시. 다만 ASP는 1월에는 오히려 올랐고 향후 지켜봐야한다고 코멘트

- 관세 등 정책 변화는 25년 가이던스에 반영하지 않음. 관련 질문에 실제로 관세 부과 시 북미 내 생산 일부 이전 가능하다고 코멘트

- 25년 GMNA(북미사업부로 GM 전체 조정EBIT 중 비중 97%)의 마진 가이던스는 8~10%(24년 9.2%). 연말에 크루즈 관련 비용을 북미에 포함시킬 계획이며 영향은 50bps

- 24년 크루즈 조정EBIT 손실은 -17억달러로 23년 -27억달러 대비 개선. 크루즈 로보택시 자금 지원 중단으로 연간 10억달러 비용 절감 가능. 이중에서는 5억달러를 가이던스에 반영함

- 자율주행 시스템인 슈퍼크루즈는 현재 36만대 차량에 탑재. 이중 60%가 정기구독자 비율. 25년 탑재 규모 두배 증가 예상. 향후 레벨 4~5 개발 관련 내재화 및 외부구매 관련 질문에 관련 역량 확보하고 있으며 파트너십 체결 가능성도 언급함

- 슈퍼크루즈는 3년간의 체험기간 서비스를 제공중. 작년에 테스트 기간이 만료된 고객군 1.8만대 중 채택률은 20%. 올해는 3.3만대 기간 만료 예정으로 25년 구독 매출액 2배 증가 목표

- 연말 ICE 재고는 53일로 목표 50~60일 달성. 전기차는 3분기 100일에서 연말 70일까지 감소

◆ 경영진 발표

[CEO - Mary Barra]

북미 EV 도매/생산량 18.9만대 기록. 시장점유율 두배 증가. 4Q24 EV 변동이익 흑자전환 달성. 발행주식수는 10억주 미만으로 목표 조기 달성

GM은 최근 크루즈 로보택시 개발 자금 지원 중단으로 개인 자율주행 집중 예정. 로보택시 개발 중단으로 연간 약 10억달러 비용 절감 가능

GM은 슈퍼크루즈 수십만마일 도로 주행. 약 36만명의 슈퍼크루즈 고객 중 정기사용자 비율이 60%. 25년 크루즈 탑재 규모 두배 증가 목표

슈퍼즈루즈 구독수익 중요함. 작년에 3년 체험기간이 끝난 고객군 1.8만대 차량 중 20%의 채택률을 기록함. 올해는 약 3.3만대가 체험기간이 종료될 예정으로 구독 매출액 2배 증가 목표. 향후 5년내로 슈퍼크루즈 매출액은 20억달러 예상

현대차와의 협업에 관련해서는, 빠른대응/비용절감/자본효율성을 위한 제품 및 구매 관련 첫 계약을 마무리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 코멘트. 협업은 글로벌로 특정 세그먼트와 사업영역 대상의 협업이 될 것이며 빠른 시일 내로 공유할 것

추가로 정책/무역/규제 불확실성이 있는 상황이기에 2025년 가이던스에는 정책 변화를 고려하지 않았음. 관세 관련해서는 여러 조치를 통해 단기적인 영향을 완화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음

[CFO: Paul Jacobson]

GM의 ASP 대비 인센티브 비중은 상승하고 있지만 여전히 업계에서 가장 낮고 평균보다 3%P 낮게 유지중. ICE 재고 53일로 마감함 (목표 50~60일)

전기차 도매는 18.9만대, 소매는 14.6만대. 3분기에는 약 100일 수준의 딜러 재고를 보유하고 있었으나 인도량이 증가하면서 연말 재고는 70일 수준

GM은 현재 전기차 수익성 개선에 초점을 두고 있음. 생산량 증가, 셀 비용 절감 등 재료비 개선, 신차 출시 등으로 4Q24 EV 변동이익 흑자전환

20억달러 고정비 절감 프로그램도 완료함. 북미 마진은 연간 목표 8~10% 수준에 위치한 9.2%. 올해말에는 크루즈 비용을 북미 마진에 반영할 예정이지만 8~10%의 목표를 제시

25년 가이던스에는 신정부 정책 변화는 고려하지 않음. 북미에서는 재고 조절로 ICE 물량/믹스 감소 예상되지만 EV 판매 증가로 부분 상쇄 예상

북미 지역 ASP는 전년대비 1~1.5% 감소를 가정. 인센티브 상승과 ASP 둔화세를 고려함. EV EBIT 개선폭은 기존 목표인 20~40억달러에서 하단을 목표. 이는 약 30만대 도매판매 기준이며 규모 확대, 고정비 절감, 셀/차량비용 절감 등 효과 기대

◆ 질의응답

Q. 25년 미국 SAAR 가정 및 점유율 상승 지속성

A. 25년 미국 SAAR은 24년과 유사할 것으로 예상. 12월은 전기차 때문이든 취임식이든 수요가 크게 올라온 것으로 보임. 더 지켜볼 필요가 있음. 1월은 날씨와 캘리포니아 화재 등으로 변동성 확대

Q. 트럼프 대통령이 전기차 의무화 정책을 철회한다고 밝혔기에 세액공제나 EPA 규제 변화가 예상됨. GM의 전기차에 대한 투자/전략 변화는?

A. 전기차 수요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자본 결정을 내리고 있음. 오리온 공장과 LG에 대한 3공장 지분 매각 등이 있음. 전기차 성장세가 직선이라고 생각하지 않음. 수요에 맞춰 포트폴리오 운영 예정

Q. 향후 주주환원 계획은?
A. 현재 이사회와 계획중. 향후 공유드릴 것

Q. 25년 ASP 가이던스에 대한 자세한 내용

A. 1~1.5% 감소는 계획상의 수치임. 1월에는 가격이 오히려 올랐음, 그러나 1월은 변동성이 확대됐기에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음

Q. 북미에서의 대형차 등 차량 생산 이전 가능성과 관세에 대한 단기적인 조치가 있을지?

A. 다양한 시나리오를 검토중. 현재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트럭을 생산하고 있는데 미국내로 일부 생산을 이전하는 것 자체는 가능함

Q. 레벨 4~5 자체 개발 or 외부 구매

A. GM 내부에서는 이러한 역량을 구축해오고 있음. 물론 향후 전략적인 파트너십이 있을 수 있음

Q. 25년 EV EBIT 개선폭 목표를 기존 20~40억달러에서 하단으로 수정한 배경은?

A. 24년 20~30만대 목표에서 20만대에 좀 못미쳤음에도 여전히 변동이익이 흑자전환한 것을 보면 규모효과가 예상보다는 더디게 나타나는중. 우선 전기차 도매 30만대 목표는 적절하다고 생각

Q. 25년 물량 감소를 언급하셨는데, EV는 10만대가 증가함. 즉, ICE 도매 물량이 감소하는 것인지

A. 현재 수요를 예측하기에 이른 시점임. 다만 수요가 여전히 견조하다면 ICE 물량 확대 가능

Q. 25년 북미 ICE ASP 가이던스는?
A. 가격 가정은 인센티브 상승도 같이 고려함

Q. 슈퍼크루즈 채택률 관련 소비자 수요

A. 현재 슈퍼크루즈를 설치한 고객 중 60% 이상이 정기사용자. 80%는 해당 기능이 없으면 차를 사지 않거나, 다음 차량에 탑재되기를 희망함

Q. 25년 EV EBIT 개선 목표 20억달러 상세내용

A. 규모와 비용 절감 효과는 균등하다고 보면 됨. 만약 전기차 수요를 감소 요인이 발생한다면, ICE 포트폴리오로 대응 가능한 유연성 확보

Q. 전기차 가격 책정 가이던스

A. 우선은 전기차 가격은 일관되게 책정될 것으로 예상됨. 현재 시장에서의 비합리적인 인센티브 행동은 규제 변화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

Q. 판매량은 많지만 가격이 저렴하고 수익성이 낮은 중국 저가EV의 활용 방안

A. 개별 제품의 수익성에 대해서는 말씀드릴 수 없으나 소비자들의 수요가 좋음. 우리는 우링과 협력하여 일부 차량을 다른 시장에 공급하고 있으며, 각기 다른 국가의 기준에 충족을 위해 협업 중

t.me/automirae

3 weeks, 4 days ago

※ GM 4Q24 전기차 관련 내용

- 25년 EV 도매판매 목표 약 30만대
- 25년 EV EBIT 개선폭 20~40억달러 하단
(3Q24 밝힌 개선폭 목표는 20~40억달러)
- 1Q25 SUV급 Vistiq EV 출시 예정

- 4Q24 EV 변동이익 흑자전환 달성
(3Q24 밝힌 목표 시점이 4Q24)
- 24년 미국 GM EV 소매 11.4만대
- 4Q24 Escalade IQ, Optiq EV 판매 개시

3 months, 1 week ago
[미래에셋 EV/배터리팀]

[미래에셋 EV/배터리팀]

[Battery Ev newS Tracker]
배터리/전기차 뉴스 업데이트
(11월 15일, 금요일)

■ 배터리 셀/소재

(정책) IRA 첫 타깃 '니켈' … 중국 자본 묻은 인니産 간당
Fastmarkets에 따르면, 트럼프 당선인이 IRA 폐지 첫 타깃으로 중국이 소유하거나 운영하는 니켈 공급망에 '무관용 원칙'을 적용할 것이라고 전망. 인도네시아산 니켈은 중국계 자본이 대거 투입됐기 때문에 IRA 보조금 수령 기준에 미달하는 제품들이 미국에 대거 수입됨. 이에 따라 미국 현지에서 생산되는 니켈이나 캐나다, 브라질, 호주산 니켈이 조명을 받을 것으로 전망.
[11월 14일/뉴데일리경제]
https://han.gl/1QJ99

(가격) 글로벌 니켈 가격 4년 내 최저 수준
닛케이아시아에 따르면, LME에서 니켈 3개월물 선물 가격은 10월 한달 간 10% 하락했으며, 같은 기간 3% 떨어진 구리와 비교해 하락폭이 큰 수준. 최근 LFP 배터리 제품 개발이 이뤄지면서 니켈 수요가 저조할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됨. 일본 한와흥업 금속사업부 임원은 니켈 수요는 빠르게 회복되지 않을 것이며 가격은 당분간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발언.
[11월 14일/Business Post]
https://han.gl/XEQVW

■ EV 완성차/부품

BYD·BMW, 헝가리 공장 25년 하반기에 생산 시작
BYD와 BMW가 헝가리에 건설 중인 공장이 25년 하반기부터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밝힘. 헝가리 총리는 중국 전기차 및 배터리 제조 공장을 헝가리로 유치하기 위해 지속해서 노력해왔으며, CATL 또한 헝가리 데브레첸에서 73억 유로 규모의 공장을 건설 중.
[11월 14일/Reuters]
https://han.gl/QBJx1

(생산) 체리자동차, 스페인 공장 생산 25년 4분기로 연기
중국 체리자동차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 위치한 전기차 공장의 생산 시기를 25년 4분기로 연기한다고 밝힘. 이는 기존 일정 대비 약 1년 늦춰진 것. 체리와 에브로의 합작법인은 29년까지 연간 최대 15만 대의 차량을 생산하는 것으로 목표로 하며, SUV Omoda 5을 첫번째 차량으로 생산할 계획.
[11월 14일/Reuters]
https://han.gl/NB4do

(보조급) 트럼프팀, 전기차 보조금 폐지 계획
트럼프 당선인의 정권인수팀은 IRA 7,500달러의 전기차 세액 공제를 폐지할 계획인 것으 로 파악. 보도에 따르면 석유·가스회사 Continental Resources 창립자인 Harold Hamm과 Doug Burgum 노스다코타 주지사가 이끄는 에너지정책팀이 IRA 세액공제 폐지를 논의하고 있다고 밝힘.
[11월 15일/연합뉴스]
https://han.gl/RJSki

3 months, 1 week ago

-트럼프 내각 지명자 Update-

텔레그램 링크: https://t.me/mirae_dm

트럼프 내각 지명이 진행 중. 1기에 비해 친 트럼프 성향이 상당히 강해졌다고 평가

전체적으로 이민 정책 강화 스탠스를 보유. 외교 관련해서는 우크라이나전에 대해 회의적이며 중국에 매파적인 인사들을 지명

지명된 인사들 중 하원의원이 3명 포함됐다는 점에도 주목할 필요. 이미 과반석을 간신히 넘는 상태에서 추가 이탈자가 생긴다는 의미

특별선거를 통해 채워지기 전까지 공화당은 2~3명의 적은 과반수로 정책을 집행해야 하는 상황. 1월에 예정된 존슨 하원의장 재선출 과정이 공화당내 단합을 시험할 수 있는 첫 이벤트

공화당 상원 원내대표로는 트럼프파가 아닌 전통 공화당파인 John Thune이 선출. 트럼프에 적대적이었던 맥코널 전 원내대표에 비해서는 트럼프에 우호적이라는 평가


Susan Wiles(비서실장, 트럼프 캠페인 총괄): 과거 론 디샌티스 플로리다 주지사 당선 보조. 2024 대선 트럼프 캠페인 총괄하며 트럼프 당선에 큰 공헌

Stephen Miller(정책 담당 부참모장, 전 백악관 선임 고문): 이민 관련 강경 스탠스 보유. 불법 이민자들의 강제 추방과 신규 이민 제한 주장

Mike Waltz(국가 안보 보좌관, 플로리다 하원의원): 중국 관련 강경 스탠스 보유. 전쟁 관련해 미국 지출 재검토 추진, 나토 동맹국의 방위비 분담 요구

Matt Gaetz(법무부, 플로리다 하원의원): 상원 인준 통과 가능성 불투명. 과거 트럼프 국회의사당 폭동 옹호. 지난 해 공화당 하원의장 맥카시 축출 시 핵심 역할 수행

Elise Stefanik(UN 대사, 뉴욕 하원의원): 이스라엘의 확고한 지지자.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지원 부족 관련 비판적 입장 고수

Lee Zeldin(환경보호국, 전 공화당 하원의원): 최근 EPA의 미국 에너지 주도권 위한 노력을 통해 규제 완화 의견 피력. 뉴욕주 환경규제 비판

Marco Rubio(국무부, 플로리다 상원의원): 중국 및 이란 관련 강경 스탠스 보유. 우크라이나 전쟁 휴전 협상 지지

Pete Hegseth(국방부, Fox News 채널 공동 사회자): 상원 인준 통과 가능성 불투명. 실전 경험은 있지만 경험이 부족하다는 평 대다수

Tulsi Gabbard(DNI 국장, 전 민주당 하원의원) : 러시아 관련 친화적 스탠스 보유. 과거 시리아 독재자 옹호 발언. 2020년 민주당 탈퇴

Kristi Noem(국토안보부, 사우스다코타 주지사): 이민 관련 강경 스탠스 보유. 우크라이나 지원 반대 입장

Thomas Homan(이민 담당 고문, 트럼프 1기 이민 및 세관 집행국 대행 국장): 이민 관련 강경 스탠스 보유. 과거 이민 관련한 가족 분리 정책 수행 당시 중추적 역할 수행

6 months, 1 week ago

엔켐 2Q24

6 months, 1 week ago

[미래에셋 최유진]

Lithium Argentina 2Q24 컨콜 요약

*생산능력 기준 글로벌 5위 업체
23년 Lithium Americas 분사

Caucharí-Olaroz 프로젝트
- 6월 말 기준 탄산리튬 생산량 5,600톤(+24% QoQ)
- 대부분 간펑리튬 향
- 디자인 캐파 4만톤/연 70% 달성
- 24년 탄산리튬 생산 가이던스 2만-2.5만 유지

영업현금흐름 긍정적
- 비용 하향 지속 및 퀄리티 상승에 따른 실현 가격 개선되고 있는 중
- 생산량 증가에 따른 unit cost 하향 지속 예상

Q&A

Q) ph1에서 생산되는 3,800톤 공급계약 확정 안된 상황인데 어떤 방안으로 판매할 것인지? 추가적인 공급계약 or 마케팅 or 현물 가격에 판매?

A) 장기적으로 봤을 때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공급계약 선호. Stage2 확정되지 않은 물량도 마찬가지. 램프업 동안에 확정되지 않은 물량이었지만 간펑리튬한테 판매 계획

Q) 시장 상황이 지금처럼 지속된다면 운영 측면에서의 리튬 가격? 상반기 가격은 $11/kg 보다는 높았는데, JV 형태에서의 이익 수준?

A) 가격을 보수적으로 가정하고 있는 상황. 생산량 증가에 따라 비용은 하락했고 앞으로도 그럴 것으로 기대. 실현 가격은 퀄리티 상승에 따라 개선될 것이며 이에 따라 재처리 비용 줄어들 것으로 예상. 지금 가격 환경에서도 자신 있고 영업현금흐름은 긍정적. 또한, 실현 가격과 관련 있는 중국 배터리 등급 스팟 가격은 상승할 것으로 기대. 퀄리티가 좋아지고 있기 때문에.

Q) 많은 업체들이 프로젝트를 이연하고 있고, 제련시설을 축소하고, 여러 지역에서 다른 상황들이 벌어지고 있는데, 당사에 미치는 영향? 파트너의 시장에 대한 뷰가 달라졌는지?

A) 그렇지는 않고 운영 비용 절감에 포커싱하는 거 같음. 시장 참여자의 전향 및 자원 개발 선정에 대한 전략적 포지셔닝은 있었던 상황. 파트너인 간펑리튬은 지속적으로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포트폴리오에 투자하고 있는 상황

Q) Caucharí 2만톤 확장 업데이트?

A) Stage 2와 개발 진행 중. DLE 공법 등을 포함해서 기술적 콜라보 협의 중. 관련해서 간펑리튬은 글로벌 및 중국 내에서 선도하고 있기 때문에 매장량 및 수문 지질 모델 마무리 단계 진입

Q) $2,000/톤 디스카운트는 향후에도 있을지?

A) $2,000/톤 가공비 중국 간펑 측에서 불순물 제거하고 배터리 등급 시장에 판매하는 비용. 퀄리티는 개선되고 있기 때문에 제련비는 올해 말까지 줄어들 것으로 예상. 배터리 등급 스펙을 갖추게 되면 가공 필요 없어질 것

6 months, 1 week ago
8 months, 3 weeks ago

[미래에셋 김철중]

5월 5주 차
주요 배터리 원재료/소재 가격 추이

데일리 발표되는 중국 스팟 가격으로 업체들의 실제 공급 가격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Source: ICC

We recommend to visit

주식 열공합시다!!

Last updated 1 year, 2 months ago

Last updated 2 weeks, 2 days ago

Last updated 1 week, 3 days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