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
당일 속보뉴스를 공유하는 채널입니다
항상 당일뉴스인지 확인하시고 참고하세요
절대적인 개인적 사견으로서 오류,허위,시간 지연이 될 수 있고 절대 매매판단의 자료는 안됩니다.
본 채널은 리딩방이 아니며
절대 종목을 추천하거나 매수 및 매도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매수및 매도의 판단과 이로 인하여 일어나는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원치 않을시 퇴장바랍니다
Last updated 2 weeks, 3 days ago
좋은뉴스 최대한 빠르게 올리는 채널 입니다.
본 채널은 뉴스와 정보를 공유하는 채널이며 리딩방이 아닙니다.
매수/매도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며, 공유한 정보에 오류가 있을수 있습니다.
필자가 보유한 주식에 관한 내용일 수 있고, 해당 주식을 언제든 매수/매도할 수 있습니다.
투자 판단과 결과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본인 에게 있습니다
Last updated 4 weeks, 1 day ago
Last updated 2 months ago
- 중국의 2024년 전기 사용량은 전년 대비 6.8% 증가해 15년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
- 풍력과 태양광 발전이 기록적으로 증가했지만, 늘어난 전력 수요를 감당하지 못했고, 석탄 기반 전력생산이 2023년 대비 1.5% 증가
- 에너지 수요 증가의 배경은 구리, 알루미늄 및 석유화학 제품의 생산량 증가, EV 판매 및 생산량 증가, 인공지능 확산, 폭염 등
- 2025년엔 중국 정부의 경기부양 노력 확대, 미국의 관세 인상에 대한 대응 필요성이 탈탄소화의 불확실성을 높일 것
[1/21 주요 뉴스] 한투증권 이나예 & 정다솜
참여링크: https://t.me/KIS_ESG
■ Trump to withdraw from Paris climate agreement, White House says
https://www.reuters.com/business/environment/trump-withdraw-paris-climate-agreement-2025-01-20/
- 트럼프 취임 첫 날 백악관이 미국을 다시 파리 기후협정에서 탈퇴시키겠다고 발표함. 미국은 이란, 리비아, 예멘과 함께 기후협약에 참여하지 않은 4개국이 될 예정임.
- 트럼프는 첫 임기 당시에도 파리협정에서 탈퇴했으나, 절차에 수년이 걸렸고, 바이든 행정부가 2021년 즉각 복귀시킴. 그러나 이번 탈퇴는 3년의 가입 의무가 적용되지 않아 1년 내에 완료될 가능성이 높음.
- 미국은 중국에 이은 세계 2위 온실가스 배출국으로, 미국 탈퇴는 글로벌 배출량 감축 노력을 크게 저해할 전망임. UN 보고서에 따르면 금세기 말 지구 온도 3°C 상승 가능성이 커짐.
- 트럼프는 또한 그린 뉴딜 등 기존 규제와 보조금을 철폐해 예산을 절감하겠다는 입장을 밝힘. 전문가들은 청정에너지 시장에서 미국이 중국에 뒤처질 위험이 있다고 경고함.
■ EU plans ban on 'forever chemicals' in consumer products
https://www.reuters.com/business/environment/eu-plans-ban-forever-chemicals-consumer-products-2025-01-20/
- EU집행위가 소비재에 PFAS(과불화화합물)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는 방안을 추진 중임. 일부 필수 산업용에 대해서는 예외가 인정될 예정임.
- PFAS는 자연분해되지 않아 생태계·식수·인체 내 축적 위험이 있음. PFAS는 극단적인 온도와 부식에 강해 화장품부터 풍력 터빈까지 다양한 제품에 사용됨.
- 덴마크, 독일, 네덜란드, 노르웨이, 스웨덴은 2년 전부터 PFAS 전면 금지를 지지했으나, 예외 항목을 결정하는 과정이 필요해 법안은 내년 이후에나 통과될 것으로 보임.
- 천식 흡입기 및 친환경 제품용 반도체 등은 예외로 인정될 수 있으나, 폐기 방식 등에 대한 제한이 적용될 예정임.
■ 트럼프 2기, 관세에 탄소세까지 도입하나...철강, 자동차 수출 타격 우려
https://www.impacton.net/news/articleView.html?idxno=13770
■ 트럼프 행정부, 바이든 AI 행정명령 철회 가능성..."윤리‧안전 유연화”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9686
■ 미국 에너지 중심축 'LNG·태양광·SMR'...“韓엔 기회”
https://www.etnews.com/20250120000242
■ 美, 원신
에 290억 과징금...K-게임 과금모델 어쩌나
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5012002109931065005
■ 현대차 '전기차 3개 모델' 美 보조금 제외…기아 2개만 포함
https://www.sedaily.com/NewsView/2GNRMPSS2Z#cb
■ 이마트, 임원 RSU 상여 보상…자사주 775주 지급
https://news.mtn.co.kr/news-detail/2025012018193337382
■ KGM, 티볼리·코란도 리콜… 하드웨어 문제를 소프트웨어로 해결?
https://www.nge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518696
■ 결국 시작된 티웨이항공 경영권 분쟁
https://www.chosun.com/economy/industry-company/2025/01/21/HWR36PNDIVATNO7SWFHZZC7GUM/
■ FCP, KT&G 1조원대 주주대표소송…"자사주 기부로 회사에 손해"
https://www.yna.co.kr/view/AKR20250120065600008
■ 삼성중공업 올해 첫 수주…LNG운반선 3800억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1207598i
■ '선물하기 배송 수수료 전가' 갑질한 카카오 과징금 대신 자진시정
https://www.asiae.co.kr/article/2025012010250825192
■ 전력망 교체수요 급증… K전선·변압기, 올 수출 100억弗 넘본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2GNRN2ZBMV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 선포 "석유를 마음껏 시추할 것"
"그린 뉴딜 종식, 전기차 의무화 철회, 외국에 관세와 세금 부과"
"인종과 성별에 개입하는 정부정책 종식.. 실력 기반의 사회 만들겠다"
"코로나19 백신 의무화 반대해 퇴출된 군인 복직"
"가장 강력한 군대 건설"
"자유롭고 주권을 가진 독립적인 국가가 될 것.. 황금기 이제 시작"
국민연금이 오는 23일 고려아연(010130) 임시주주총회의 핵심 안건인 '집중투표제'와 '이사 수 19명 상한 제한' 안건에 찬성표를 던지기로 했다.
[1/17 주요 뉴스] 한투증권 이나예 & 정다솜
참여링크: https://t.me/KIS_ESG
■ Trump's pick to lead EPA says agency authorized, not required to regulate CO2
https://www.reuters.com/world/us/trumps-pick-lead-epa-says-agency-not-required-regulate-carbon-emissions-2025-01-16/
- 트럼프의 EPA(환경보호청) 청장 지명자 Lee Zeldin이 인사청문회에서 기후변화가 실제로 존재하며 위협이 된다고 믿지만, EPA가 탄소배출을 규제할 의무는 없다고 주장함.
- Zeldin은 2007년 미 연방대법원 판결이 EPA에 온실가스 배출을 규제할 법적 권한을 부여했지만, EPA에 규제 의무를 부여한 것은 아니라고 언급함.
- Zeldin은 기후변화에 대해 트럼프와는 다른 입장을 보임. 그러나 미국이 화석연료 의존도를 줄여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답변을 피함.
- Zelidn은 공화당 의원으로 재직할 당시 친환경 법안들에 반대표를 던져옴.
■ US announces nearly $23 billion in loans to energy utilities across 12 states
https://www.reuters.com/business/energy/us-announces-nearly-23-billion-loans-energy-utilities-across-12-states-2025-01-16/
- 미국 에너지부(DOE) 대출 사무국이 12개 주의 에너지 유틸리티 기업들에 대해 약 229억 달러 규모의 조건부 금융지원을 발표함.지원은 IRA 대출 프로그램 사무국(LPO)의 에너지 인프라 재투자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될 예정임.
- LPO는 청정 에너지 기업들을 대상으로 3,850억 달러 이상의 저금리 대출을 운영 중임. 이번 대출은 트럼프 취임 전 마지막 대출이 될 것으로 전망됨.
- LPO는 노후 가스배관 교체와 재생에너지 인프라 및 송전망 확충 등을 위해 DTE Energy, Consumer Energy, PacificCorp 등에 금융 지원을 제공할 예정임.
- DOE는 대출로 인한 납세자들의 리스크는 제한적이라며, 대상 기업이 부도하더라도 자산 매각이나 인수 등을 통해 대출 금액을 회수할 수 있다 밝힘.
■ 중국, 재생에너지 급증 속 역대 최대 규모인 129조원 지출 계획 발표
https://www.impacton.net/news/articleView.html?idxno=13737
■ 이케아 모기업 잉카그룹, 섬유 폐기물 등 재활용 업체에 1.5조원 투자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9642
■ 포스코이앤씨 아파트 공사현장서 근로자 추락사…중대재해법 위반 수사
https://biz.chosun.com/topics/topics_social/2025/01/16/QNUQJ3XSWBEOJCQIP7ZV2G2ZHQ/
■ 美 캘리포니아 공무원·교직원연금, 고려아연 집중투표제 도입'반대'
https://www.news1.kr/finance/general-stock/5663685
■ 현대차증권 "2028년까지 배당성향 40% 달성"…밸류업 계획 공시
https://www.yna.co.kr/view/AKR20250116063800008
■ 체코 원전 수주 눈앞으로…한수원·웨스팅하우스, 분쟁 '합의' 선언
https://www.news1.kr/economy/trend/5663866
■ 中 저가 공세 무섭네…LG전자, 태양광 패널 철수 이어 ESS도'축소'
https://www.sedaily.com/NewsView/2GNQ7TJJP9#cb
■ "배당성향 90%까지 올려라" 얼라인파트너스, 코웨이에 주주서한
https://www.news1.kr/industry/sb-founded/5663658
■ 이스타항공, 인천∼오사카 노선서 SAF 급유…GS칼텍스서 공급
https://www.yna.co.kr/view/AKR20250116118000003
■ 남양유업, 홍원식 전 회장 부인·두 아들 배임혐의 추가 기소
https://www.news1.kr/industry/distribution/5662630
■ ‘횡령·배임’ 최신원 전 SK네트웍스 회장, 항소심도 실형···법정구속
https://www.khan.co.kr/article/202501161909001
■ 트럼프, 화석연료 붐 일으킬 행정명령 준비 중
https://www.impacton.net/news/articleView.html?idxno=13727
[1/16 주요 뉴스] 한투증권 이나예 & 정다솜
참여링크: https://t.me/KIS_ESG
■ Trump's energy department pick calls for more LNG and nuclear power
- https://www.reuters.com/business/energy/trumps-energy-department-pick-call-more-lng-nuclear-power-2025-01-15/
- 트럼프의 에너지부(DOE) 장관 지명자 Chris Wright가 LNG와 원자력 발전을 포함한 국내 에너지 생산 확대를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고 인준 청문회에서 밝힘.
- Wright는 현재 석유 기업 Liberty Energy의 CEO로 활동 중이며,인준이 확정되면 CEO 자리에서 물러날 예정임.
- Wright는 소형 원자로나 지열 발전 등 일부 대체 에너지를 지지하지만, 태양광과 풍력 발전에 대해서는 비판적임. 그는 미국이 상업용 원자력과 LNG를 포함한 에너지 생산을 확대하고, 에너지 비용을 절감해야 한다 주장함.
- Wright는 LA 산불에 대해 유감을 표하면서도, 기존 자신의 발언을 고수한다 밝힘. 그는 2023년 소셜미디어에 '산불에 대한 과장된 이야기는 기후변화 완화 정책을 정당화하기 위한 루머'라 언급했던 바 있음.
■ New York City lawsuit against Exxon, BP, Shell over climate change dismissed
https://www.reuters.com/sustainability/climate-energy/new-york-city-lawsuit-against-exxon-bp-shell-over-climate-change-dismissed-2025-01-15/
- 뉴욕시가 엑손모빌, BP, 쉘을 상대로 제기한 소송이 기각됨. 소송은 이들 기업이 자사 제품과 기후변화 대응 공약에 관해 대중을 오도했다는 내용이었음.
- 법원 측은 뉴욕시가 시민들이 화석연료가 기후에 미치는 영향에 민감하다고 주장하면서, 석유회사들이 기후 영향에 대해 공시하지 않아 이에 속았다는 상반된 주장을 할 수는 없다고 판결함.
- 또한 석유 기업들과 미국 석유협회가 화석연료 판매 촉진을 위해 청정/대체에너지에 대한 발언을 포함한 '그린워싱' 캠페인을 벌였다는 증거를 찾지 못했다 밝힘.
- 이번 판결에 하루 앞서, 미국 대법원이 호놀룰루 시의 기후 소송을 중단해 달라는 석유기업의 요청을 기각하는 상반된 판결이 있었음.
■ 美대법원, 기후변화는 주법 관할 판결…석유업계, 소송 물결 우려
https://www.impacton.net/news/articleView.html?idxno=13694
■ 제재 vs 제재…중국, 미국 7개 기업 ‘불법 기업’ 지목
https://marketin.edaily.co.kr/News/ReadE?newsId=02515766642038048
■ 머스크, 트위터 인수시 5%룰 위반으로 SEC 피소…트럼프 정부 첫 정치시험대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1158975i
■ ISS 이어 한국ESG기준원도 고려아연 집중투표제 ‘반대’ 권고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9628
■ MBK·영풍, 국내 아연 독점 우려… 공정거래법 위반 가능성↑
https://www.moneys.co.kr/article/2025011517045678511
■ 'IPO 시 사전 검토' 카카오 기업지배구조헌장에 주주보호 정책 명문화
https://www.inews24.com/view/1804446
■ 공정위, 카카오모빌리티 가맹본부에 과징금 2억2800만원 부과
https://zdnet.co.kr/view/?no=20250115110559
■ '배출가스 조작' 벤츠코리아, 600억대 과징금 소송 2심 패소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1158045i
■ LA 산불에 DB손해보험 '비상'… 600억 손실 불가피
https://www.chosun.com/economy/money/2025/01/15/AQG4AUT3MSIXZOYBFMNTZFWCIQ/
■ CIF, 30억달러 규모 첫 채권 발행…수익금은 청정에너지 전환에 사용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9629
■ 탈원전하다 노후 전력선 방치…"LA 산불, 송전탑서 발화"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11587451
*공지*
당일 속보뉴스를 공유하는 채널입니다
항상 당일뉴스인지 확인하시고 참고하세요
절대적인 개인적 사견으로서 오류,허위,시간 지연이 될 수 있고 절대 매매판단의 자료는 안됩니다.
본 채널은 리딩방이 아니며
절대 종목을 추천하거나 매수 및 매도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매수및 매도의 판단과 이로 인하여 일어나는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원치 않을시 퇴장바랍니다
Last updated 2 weeks, 3 days ago
좋은뉴스 최대한 빠르게 올리는 채널 입니다.
본 채널은 뉴스와 정보를 공유하는 채널이며 리딩방이 아닙니다.
매수/매도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며, 공유한 정보에 오류가 있을수 있습니다.
필자가 보유한 주식에 관한 내용일 수 있고, 해당 주식을 언제든 매수/매도할 수 있습니다.
투자 판단과 결과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본인 에게 있습니다
Last updated 4 weeks, 1 day ago
Last updated 2 months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