쩜상리서치

Description
*본 채널은 주식 리딩 및 종목 추천하는 방이 아닙니다. 본 채널 운영에 영리를 추구하지 않으며 시장자료 및 공시, 재무제표, 뉴스 중심으로 분석한 내용을 공유합니다. 잘못된 정보가 있을수 있으며,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본 채널의 게시물은 어떠한 법적 처벌의 근거로 사용될 수 없음을 말씀드립니다.
We recommend to visit

?알짜속보를 가장 빠르게 알려드리는
대한민국 구독자수 1등 주식뉴스 텔레그램 채널입니다?

- 당일 급등테마/대장주 안내
- 분석을 통한 실시간 수급 예측
- 주린이도 따라할 수 있는 재료매매

[공식 채널 안내]
? abit.ly/sns

[공식 텔레그램]
?주식 @FastStockNews
??미국 @FastStockNewsUSA
?부동산 @FastLandNews
?코인 @FastBitNews

✅문의 @GoFirstClass
?제보 @FastJebo

Last updated 3 months, 2 weeks ago

제보&문의: @twitbug
#크립토 관련 세계 각국 뉴스, 떠도는 트윗 중에서 중요한 정보들만 골라 기록하는 나만의 공간
이 곳은 리딩방이 아님. 팩트 체크&판단 각자
제 채널 글에 근거한 #매매금지

모든 글은 매수, 매도 추천이 아니며, 참고자료도 될 수 없으며, 뉴스의 사실 여부와 수익을 보장하지 않고, 원금 손실이 있을 수 있으니 제 채널 글에 근거한 매매는 엄격히 금합니다.

Last updated 1 month ago

‌ ‌‌ ‌ ‌ ‌   ‌ ᰭ ?? ?'?? ???? ???? ???????? ??????
‌ ‌ ‌ ‌ ‌ ‌ ﹙ t.me/ad33v ﹚  ཐ♡ཋ ‌

Last updated 5 months, 3 weeks ago

1 month, 3 weeks ago

[지누스 4Q24 실적발표 컨콜] #지누스 [4Q24 실적] 매출 2,890억 yoy +2.4% 영입이익 161억 순이익 200억 - 매트리스 스몰박스 판매 호조 속에 고객사 직매입인 DI 매출 비중 상승 - 작년 초부터 진행해 온 비효율 SKU 축소 등의 사업구조 개편에 따른 손익구조 개선 효과 반영 - 환율 변동에 따른 외환 관련 이익 증가 등의 영향으로 순이익 증가 [매출 카테고리] 매트리스 2,276억 YoY + 11.9% 비매트리스 614억…

1 month, 3 weeks ago
**[지누스 4Q24 실적발표 컨콜]** [**#지누스**](?q=%23%EC%A7%80%EB%88%84%EC%8A%A4)

[지누스 4Q24 실적발표 컨콜] #지누스
[4Q24 실적]
매출 2,890억 yoy +2.4%
영입이익 161억
순이익 200억

- 매트리스 스몰박스 판매 호조 속에 고객사 직매입인 DI 매출 비중 상승
- 작년 초부터 진행해 온 비효율 SKU 축소 등의 사업구조 개편에 따른 손익구조 개선 효과 반영
- 환율 변동에 따른 외환 관련 이익 증가 등의 영향으로 순이익 증가

[매출 카테고리]
매트리스 2,276억 YoY + 11.9%
비매트리스 614억
- 비매트리스 부문 부진 확대
- 매트리스 부문 분기 최대 실적 기록

[기타 주요 지표]
- 5월부터 생산량이 증가한 영향으로 매입 채무와 재고 자산이 전기 말 대비 증가
[공장별 가동률]
전체 96.1% / 매트리스 97.2% (인니 98.7%, 중국 94.8%, 미국 58.7%) / 비매트리스 92.6%
- 매트리스 스몰박스 공급이 본격화되고 고객사 직매입 디아 주문이 정상화된 2분기부터 개선이 지속
- 매트리스는 4분기에도 3분기와 유사한 생산량 기록
- 비매트리스 부문은 공급 감소로 인해 운영 캐파 조절되며 생산 실적 QoQ 감소로 이어짐

[2024년 경영 목표 달성 현황]
- 작년 당사는 비용 구조 슬림화를 목표로 함 (적자 SKU 생산 중단, 미국 창고 축소, 반덤핑 대응 등 전략)
- 적자 SKU 생산 중단은 2분기 부로 목표한 SKU의 생산 중단을 100% 완료함. 이에 따라 제조 과정의 효율성 확보
- 비효율 sku 생산 중단과 더불어 미국 내 장기 재고를 빠르게 소진시켜 미국 내에 운영 중인 당사 창고 4개를 운영 종료
- 인도네시아 매트리스 반덤핑 소송 관련해서는 24년 5월에 미 상무부의 0% 최종 의견이 나온 이후 재판 과정을 거치며 12월 최종 구두 변론까지 마무리함
- 이제 최종 판결만 남은 상황이고, 내부적으로는 25년 1분기 내로 결과가 나오기를 기대하고 있음
- 그에 앞서 작년 11월에 발표된 2차 연례 재심에서도 당사가 최종 0% 판정을 받음으로써 25년도 인도네시아산 매트리스에 대해서는 반덤핑 관세율 0%를 책정할 근거가 마련됨
[4분기 영업 성과]
- 작년 2분기부터 매트리스 부분이 적정 재고 수준에 도달
- 비매트리스 부문은 7월 고객사 대형 행사 등을 통해 상당 부분 기존 재고를 소진하는 등 전 품목에 걸쳐 적정 재고 수준에 도달하고 있어서 과잉 재고로 발주 감소가 발생하지 않게 됨
- 1분기 이후 3분기까지 주요 고객사 내 매트리스 부문 점유율 상승이 이어져 왔으나 4분기에는 하락함
- 4분기에 진행된 블랙프라이데이 등 대형 할인 행사를 과거 대비 참여도를 낮춰서임
- 이는 매트리스가 적정 재고 수준에 도달했고, 체화 재고가 상당 부분 소진되어 가격 할인이 동반되는 재고 떨이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어려웠기 때문임
비매트리스 부문은 반대로 대형 할인 행사를 통한 재고 감축 추진하여 직전 분기에 이어서 판매 점유율 상승함

[QnA]

Q. 매출 성장 부진 이유는 ?
- 비매트리스 부문 22% 역성장 한 것이 큰 이유
- 특히 4분기는 미국 정책 이슈 등의 이유로 아마존 등 주요 고객사들이 중국에서 생산되는 비매트리에 대해서 신규 매입보다는 기존 재고를 축소하는 기조하여 비매트리스 셀인 매출 감소

Q. 분기별 DI/DO 비중 ?
- 올해 2분기 이후 DI 비중은 증가하고 있음
- 전년도에는 고객사 직매입 재고 축소로 DO 비중이 높았던 적도 있음
- 올해 3분기 부터는 DI비중이 역전
- 4분기에는 더 증가하여 현재는 DI 비중이 70% 정도 비중 차지함

Q. 중국에 대한 관세 10%로 확정한다면, 기존 최악의 상황에 대비한 정책이 변화되는 게 있을지 ?
- 지난 11월부터 최악의 상황 가정하고, 중국에 생산 기반 둔 비매트리스 영향 받으리라 생각해 방안 소통해왔음
- 아시다시피,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은 오락가락함. 불확실성 최고조.
- 당사도 정책 변화에 맞춰, 보수적인 스탠스 속도 조절할 수 있음. 10% 추가 관세이지만, 하반기에 추가 관세 가능하긴 함
- 그 전에 비매트리스 재고 더 효율화해, 추가 관세 주문 축소 대응하고자 비용 투여해 재고 소진 계획 했으나, 관세 부과 정책에 따라 규모 조절 가능
- 생산 시설 조절 또한 관세 정책이 확정되지 않았으므로 여러 가능성 두고 의사결정 고려 중
- 10% 관세 인상에 대해서도 가격 인상이나 원가 조절 등의 방안을 미국 주요 고객사들과 협의하고 있음

Q. 대표이사 변경에 따른 주주환원 정책 및 투자자 관련 정책 변화가 있을지 ?
- 대표가 바뀌었다고 해서 밸류업으로 가는 길이 달라질 수 없음
- 최대한 가능 범위 내에서 주주 가치가 훼손되지 않도록 노력할 것

Q. 미국 외 글로벌 진출 의지 피력하셨는데 올해 어떻게 되고 있는지 ?
- 중동, 아프리카 총판을 통해 진출하겠다고 말씀드림
- 총판 계약이 2주 전에 완료됨. 총판 업체는 하만 미들이스트 그룹 (하만파돈, AKG, 하만 인터내셔널 등 음향 기기 독점 공급 업체 + 삼성전자 브랜드 스토어 운영)
- 또한 해당 지역에 호텔 체인 전용 법인 조직망을 가지고 있어서 향후 법인 영업과 관련한 사업적 논의해 볼 계획임
- 올해는 UAE를 시작으로 시장 테스트를 거칠 것이고, 내년에는 사우디 등 걸프만 지역 국가와 이집트, 27년에는 남아공 등 아프리카 지역으로 판로 확대. 3개년 29개국 판매 계획
- 추가적으로 동남아시아 지역은 인도네시아를 가장 큰 거점으로 삼아서 운영하고 있는데. 그동안 매출이 부족하거나 진출하지 않았던 필리핀, 태국 같은 곳에 직접 법인 설립하지 않더라도 해당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쓰고 있는 이커머스 플랫폼을 통해 타 국가에서 매출을 발생시킬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는 중임

Q. 신제품 개발 현황 및 출시 일자 ?
- 박스 인 소파 제품 25년도에 신제품 출시를 계속 추진 중에 있음
- 소파 같은 경우에는 웨이페어 쪽에 매출 비중이 더 크기 때문에 웨이페어 쪽에 진출을 하는 것으로 검토를 하고 있고, 한국 시장 같은 경우에는 1인 소파를 출시하는 것을 계획 중

Q. 현재 연례재심 때문에 이제 관세 0% 적용 올해부터 된다고 하셨는데 어쨌든 최종 판결 받아서 확립되기 전까지는 보수적으로 일단 상반기에는 관세를 포함해서 비용을 차감시켜서 이제 반영하실 계획이신지 ?
- 저희가 아직 완전히 확정이 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현재까지는 원가에 반영을 해서 진행을 하고 있음
- 판결 확정이 되면 이후에는 원가에서 조정을 하는 것으로 계획을 하고 진행 중임

Q. 미국 조제 공장 현황과 앞으로 턴어라운드 할 수 있는 방안이 구체적으로 있을지 ?
- 미국 조지아 공장이 인도네시아에 비해 높은 원가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어려움 겪고 있는 것은 사실임
- 하지만 트럼프 정권이 들어서게 되면서 미국 공장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 저희에게 어떠한 긍정적 요인을 끼칠 수 있을까 검토가 필요한 상황임
- 또한 자체적으로 조지아 공장에서 가동률을 높일 수 있는 영업 활동을 진행하고 있는 게 있음
- 그 과정의 결과들도 지켜봐야 하기 때문에 상반기 정도까지는 조지아 공장의 퍼포먼스나 트럼프 정권에서의 미국 공장 보유한 것에 대한 평가가 어떠한지를 지켜본 후에 조지아 공장의 방향성 결정할 계획임

쩜상리서치 채널 t.me/upper_limit_price

1 month, 3 weeks ago

삼양식품 매출액이 컨센 대비 +9% 상회했는데, 주 요인은 1) 미국 매출 증가, 2)유럽 매출 증가, 3) 환율 효과 입니다. 불닭 스플래시 일회성 마케팅 비용 제외하면 OPM도 20%대.

올해 기대해볼 만한 점은,
미국은 연내 코스트코 입점률 100% 목표 중(현재 50%대) 이며, 샘스클럽 추가 입점 예정. 그 외 신규 입점채널들 물량부족으로 MOQ정도만 입점, 확대 여력 큼. 유럽은 독일 중심 메인스트림 입점 중!

★삼양식품 4Q24 Re
매출액 4,808억원 (YoY 47.1%)
영업익 873억원 (YoY 141.5%)

(별도) 해외 매출 QoQ 23% YoY 42%
(별도) 내수 매출 QoQ 10억원
(연결) 해외 매출 3천억원 후반 추정(qq +500억원, 15%): 미국 +147억, 중국 -87억, 유럽 +273억원, 그 외 기타 지역 추산(연결 결산 진행 중이라 변동 가능성 있음)

미국 (별도 수출 기준)
매출 1,104억원 qq 15.4% , yy 140%
환율 제외 수량기준으로도 qq 증가

*매출 증가 요인
1) 메인스트림 매출 증가 (월마트 매대 이동 효과, 코스트코 입점률 증가)
2) 신규 메인스트림 입점 효과 (타깃/크로거/알버트/H-E-B)
3) 캐나다/멕시코 물량 출고 증가

채널별 비중) 메인스트림 52%, 캐나다/멕시코 20%, 그 외 23% (*에스닉 채널 물량 부족으로 출고감소)
(참고로 3Q는 메인스트림 47%, 캐나다/멕시코 7.7%, 그외 45.7%)

*올해 기대 요인
25년 하반기까지 코스트코 입점률 100% 목표 중
신규 입점 채널들은 물량부족으로 MOQ정도만 입점으로 확대 여력 큼.올해 샘스클럽도 입점 예정임

중국 (별도 수출 기준)
매출 1,088억원 qq -5.5%, yy 58.4%
11월초까지 재고 부족 이슈. 안전재고 슬림했던 상황. 춘절 매출은 1분기에 반영될 예정

유럽 (별도 수출 기준)
매출 299억원 qq +273억원
독일 Penny/Netto/REWE 등 메인스트림 채널 입점 효과
(유럽 매출 비중: 독일>네덜란드,폴란드)

*비용
(별도) 매출원가율 60%(qq -1.8%p)

원재료단 안정적

(별도) 판관비율 18.1%(qq +2.5%p)

대부분 광고선전비 증가, 일부 매출증가에 따른 물류비 증가

광고선전비 qq +123억 증가

불닭 스플래시 행사 관련 비용 134억원 집행. 1분기도 코첼라 관련 비용 집행있으나, 전체 qq 감소 전망

*밀양공장 가동시기
5월말 준공 후 6월 ~7월 본격생산 전망

4 months, 1 week ago
4 months, 1 week ago

다른 프로그램인지 ? 다시 주워담고 있는데 이미 공포를 줘버림

4 months, 1 week ago
4 months, 2 weeks ago
**전일대비 거래량 100% 이상 급등 종목 …

전일대비 거래량 100% 이상 급등 종목 스크리닝 (11월 15일 금요일)

4 months, 2 weeks ago

<트럼포비아(Trumphobia)>

  1. 관세 공포는 과장됐다
  2. 보편적 관세가 아닌 전략적 관세
  3. 재정적자 괴담
  4. 강달러 전망의 리스크
  5. 위기에서 찾는 기회

트럼프 공포가 시장을 지배하고 있지만 상당부분 과장됐다고 생각합니다. 관세의 영향은 예상보다 미미할 것이고, 재정적자 급증 가능성도 낮습니다. 국내 증시 부진의 본질은 트럼프 당선이 아니라 주력산업 경쟁 심화입니다. 트럼프 2기의 제조업 강화 및 공급망 재편에 적극 참여해야 합니다.

4 months, 2 weeks ago

2024.11.14 17:08:19
기업명: 한국화장품제조(시가총액: 3,068억)
보고서명: 분기보고서 (2024.09)

매출액 : 482억(예상치 : 0억)
영업익 : 93억(예상치 : 0억)
순이익 : 73억(예상치 : 0억)

최근 실적 추이
2024.3Q 482억/ 93억/ 73억
2024.2Q 481억/ 89억/ 70억
2024.1Q 351억/ 44억/ 41억
2023.4Q 265억/ 16억/ 6억
2023.3Q 282억/ 27억/ 19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1114002452

4 months, 3 weeks ago

11.08 금요일 시장 주체별 매수 동향 1. 시총대비 사모펀드 순매수 상위 섹터 - 토모큐브가 상장 첫날 약세를 딛고 상승세를 보임 - 에이치브이엠은 여전히 우주섹터쪽에서 스페이스X 실수혜주로 구분되는 모습 - 펩트론은 원래도 사모가 좋아하던 종목이었는데. 11월 8일이 확정발행가액 산정일 + 알테오젠에 의한 바이오 부활에 힘입어 다시금 좋은 상승세 보여줌 - 수출입데이터가 나올 타이밍에 맞추어서 오르는 단골 섹터인 화장품 섹터에 전체적으로 베팅 수급이…

We recommend to visit

?알짜속보를 가장 빠르게 알려드리는
대한민국 구독자수 1등 주식뉴스 텔레그램 채널입니다?

- 당일 급등테마/대장주 안내
- 분석을 통한 실시간 수급 예측
- 주린이도 따라할 수 있는 재료매매

[공식 채널 안내]
? abit.ly/sns

[공식 텔레그램]
?주식 @FastStockNews
??미국 @FastStockNewsUSA
?부동산 @FastLandNews
?코인 @FastBitNews

✅문의 @GoFirstClass
?제보 @FastJebo

Last updated 3 months, 2 weeks ago

제보&문의: @twitbug
#크립토 관련 세계 각국 뉴스, 떠도는 트윗 중에서 중요한 정보들만 골라 기록하는 나만의 공간
이 곳은 리딩방이 아님. 팩트 체크&판단 각자
제 채널 글에 근거한 #매매금지

모든 글은 매수, 매도 추천이 아니며, 참고자료도 될 수 없으며, 뉴스의 사실 여부와 수익을 보장하지 않고, 원금 손실이 있을 수 있으니 제 채널 글에 근거한 매매는 엄격히 금합니다.

Last updated 1 month ago

‌ ‌‌ ‌ ‌ ‌   ‌ ᰭ ?? ?'?? ???? ???? ???????? ??????
‌ ‌ ‌ ‌ ‌ ‌ ﹙ t.me/ad33v ﹚  ཐ♡ཋ ‌

Last updated 5 months, 3 weeks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