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lock a World of Free Content: Books, Music, Videos & More Await!

작은곰자리 아카이브

Description
자료정리 및 저장소로 활용하기위해 오픈한 개인기록공간입니다.

topic이 편중될수있으니 참고하시고
투자관련내용이 아닌것들은 걸러서 봐주세요. ^ㅡ^
Advertising
We recommend to visit

❈ owner :: @jTEJO
❈ admin :: t.me/KIMREKBER/5137
✎ selain itu fake akun.

❈ proof kim :: @PROOF_KIM {108kt+}
❈ rate kim :: @RATEKIM {30kr+}
❈ paid promote :: @PPKIMREKBER

INFO :: @KlMREKBER
PENIPUAN :: @INFOSCAMR
‼️Tidak menerima format melalui rc‼️

Last updated 5 days ago

볼만한 뉴스와 증권사리포트, 글로벌경제뉴스. 와신 등을 공유합니다. 내용은 매도/매수의 의견이 아닙니다.매매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있습니다

●/ ●/
《 | 《 |
/〉 제보.문의 /〉


제보/각종 문의 받습니다.

@yeouidooppa

Last updated 3 weeks, 5 days ago

비트코인 & 경제 & 재테크정보를 공유드리는 방입니다

채팅방 - @enjoymyhobbychat

모든 글은 투자의 참고 자료일 뿐이며,
투자 판단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홍보, 후원, 광고 : @KimYoungTaek 문의

Last updated 6 days, 8 hours ago

1 month, 1 week ago

<이번 선익+아바코 컨소시움 BOE 수주의 추가적 의미와 향후>

  1. 어제 ChinaBidding에 선익시스템/아바코의 증착기/진공물류장비 입찰 성공 소식이 뜨면서 두 회사의 주가 흐름이 좋습니다. 일각에서는 셀온을 우려하였지만, BOE 수주를 시작으로 향후 타 중화권 업체들 및 LGD/SDC의 수주가능성이 더 열려있다고 해석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2. 먼저, LGD의 벤더사와의 협력 기조에 대한 이야기부터 해볼까 합니다. 우리나라 디스플레이 패널 메이저업체로 SDC와 LGD가 있고 그 밸류체인들이 있습니다. 시장에서는 한쪽 업체에 장비를 납품하면 다른 업체에 납품하기 힘들다라는 인식이 있지만, 이러한 기조부터가 변화하고 있는 흐름입니다.
    일례로, 선익시스템부터가 최근 삼성SDI에, 비록 연구용 장비이지만, 증착장비를 납품하였던 사례가 있습니다. 삼성SDI는 유기물 소재를 연구하고, 삼성D가 그 소재를 바탕으로 패널을 제조하니 사실상 삼성D향으로 증착기가 쓰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지요. 아직까지 애플향 레퍼런스가 부족했던 선익시스템이었지만, 애플로부터 작년에 사용승인을 받았고, 그로인해 경쟁사인 캐논도키에 비해 가격/납기면에서 우위를 가지고 있는 점이 패널 업체들에게 더 어필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3. 그러한 선익시스템의 증착장비는 LGD(LG-PRI)와 오랫동안의 협력을 통해 개발되어온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비단 선익시스템 뿐만 아니라 LGD 밸류체인에 속하는 회사들 역시 마찬가지이지요. 또 하나의 예시로, 어제 입찰 성공한 아바코 역시 2000년대 중반 TFT증착장비(스퍼터) 국산화를 LG-PRI와의 협력을 통해 이루어내었고, 경쟁사인 ULVAC대비 더 높은 LGD향 점유율을 가져가고 있습니다.

​4.
이처럼 LGD(LG-PRI) 협력사들은 공동기술 개발을 하였기 때문에 “LGD에만 장비를 납품할 수 있다” 라는 인식이 있지만, 이번 BOE 8.6세대 증설향 입찰성공이 그 인식을 시원하게 깨줄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럼 LGD(LG-PRI)는 죽쒀서 개주는것이냐?”. 그게 아닌, LG같은 경우는 공동개발을 하였기에 기술사용료를 일정부분 수취하고 그 금액을 바탕으로 이익개선 및 Capex투자를 하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가뜩이나 현재 LGD같은 경우는 작년 CEO 교체 이후로 최우선과제가 재무구조 개선이고, 개선된 재무구조를 바탕으로 8.6세대 투자를 속도감 있게 진행해야합니다. 중소형 모바일 디바이스 및 차량 디스플레이의 OLED 채택율은 늘어가고 있고, 역체감으로 인해 LCD 패널로 회귀하기 어려운 흐름으로 가고있으니까요. 디바이스 대장인 애플이 그런 흐름을 보여주고 있고요.

​5.
그렇기에 LGD 밸류체인에 있는 기업들은 앞으로 예정되어있는 중화권 디스플레이 업체들(CSOT, VisionOx, …)와 국내 업체들(LGD/SDC) 향으로의 수주 가능성이 앞으로도 더 열려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마치, 하이닉스에 장비 납품을 성공한 업체가 삼성전자에 납품할 수 있는 기회가 열린만큼요.

​6.
2010년대 중반 전까지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중국의 점유율이 (상대적으로) 작았기 때문에, LGD vs SDC 국내 업체들간의 점유율 확보 싸움이 치열했습니다.
하지만, 이제 중국업체들이 치고올라오면서 국내 업체들간의 경쟁보다는 한국vs중국 경쟁구도로 가고 있습니다. 그 경쟁속에서 더 높은 기술력과 이익률을 확보하기 위해, 협력사들을 배타적 납품을 권장하기보다는, “너네가 잘되어서 다른 곳에도 납품해야 우리 기술력도 좋아지고, 기술사용료까지 수취하면 더 좋다” 라는 기조로 변해가고 있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7. 사족)
여기에 아바코 아조씨로써 아바코 이야기를 한스푼 보태면, 아바코는 이번 입찰에서 “유기물 증착 공정의 진공물류장비”를 입찰 성공하였지만, 향후 TFT, Encapsulation 공정용 물류장비 및 아바코의 십수년간의 레퍼런스를 확보하고 LGD에 납품해왔던 (LTPO) TFT증착장비 등의 수주도 기대됩니다. 유기물 증착용 장비가 가장 장납기이기 때문에 협상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왔고, 타 공정용 장비들의 협상 및 입찰은 아직 개시되지 않은 혹은 현재 진행형인 상황입니다. 이러한 흐름까지 보면, 제가 지난번에 게시했던 것처럼 “올해와 내년은 디스플레이 투자 빅 사이클”의 초입부라고 생각됩니다.

1 month, 1 week ago

[삼성 문준호의 반.전] 2024년 4월 26일 주요 테크 뉴스

■ KLA, FY 3Q24 실적 발표
- 매출액: 23.6억 달러 (-5.1% q-q, 컨센서스 23.2억 달러)
- Non-GAAP 매출총이익률: 59.8%
- Non-GAAP EPS: 5.26 달러 (-14.6% q-q, 컨센서스 5.03 달러)

■ KLA, FY 4Q24 가이던스
- 매출액: 25억 달러 ±1.25억 달러 (+5.9% q-q, 컨센서스 24.4억 달러)
- Non-GAAP 매출총이익률: 61.5% ±1%
- Non-GAAP EPS: 6.07 달러 ±0.60 달러(+15.4% q-q, 컨센서스 5.75 달러)

■ 웨스턴 디지털, FY 3Q24 실적 발표
- 매출액: 34.6억 달러 (+14% q-q, 컨센서스 33.6억 달러)
- Non-GAAP 매출총이익률: 29.3%
- Non-GAAP EPS: 0.63 달러 (흑전 q-q, 컨센서스 0.21 달러)

■ 웨스턴 디지털, FY 4Q24 가이던스
- 매출액: 36~38억 달러 (+6.9% q-q, 컨센서스 36.9억 달러)
- Non-GAAP 매출총이익률: 32.0~34.0%
- Non-GAAP EPS: 0.90-1.20 달러 (+66.7% q-q, 컨센서스 0.84 달러)

■ 엔비디아 CEO 젠슨 황, 세계 최초의 DGX H200 AI 스테이션을 오픈AI에 손수 배송

■ 퀄컴이 공개한 스냅드래곤 X Elite의 벤치마크 값이 거짓이라는 의견. 두 주요 파트너가 퀄컴이 주장하는 값의 50% 이하 수준 밖에 도달하지 못한다고 발표

■ AWS, 인디애나주 데이터센터에 110억 달러 투자 계획

■ 엔비디아 CEO 젠슨 황, 6월 2일 타이베이에서 Computex 2024 키노트 예정

감사합니다.

1 month, 1 week ago

안녕하세요 키움 반도체 박유악입니다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Lam Research (US: LRCX)

: NAND 업황 회복 신호 목격

투자 포인트

1) 1Q24CY 실적, 시장 컨센서스 부합. 중국향 매출 비중 42%로 증가. 2Q24Y 실적 가이던스 역시 시장 컨센서스 부합

2) 2024년 WFE 시장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지만, 중국향 노광 장비 수요 변경에 따른 것으로, 자사 매출액 가이던스 변경은 없었음

3) Lam Research는 지난 분기에 NAND의 가동률 반등을 목격했고, 자사의 spare 매출액 증가가 NAND 가동률 반등의 초기 신호라는 점을 강조

또한 AI의 영향이 초기에는 HBM과 파운드리, 로직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최근 들어 NAND를 포함한 스토리지 시장의 장기 성장 요소로 부각되기 시작했다는 의견도 공유했음

'NAND 서플라이 체인에 대한 비중 확대에 나서야 한다'는 당사의 기존 의견을 유지함.

리포트: https://bit.ly/3wkrBVI

[박유악, 키움 반도체]
*컴플라이언스 검필

1 month, 1 week ago

안녕하세요 키움 반도체 박유악입니다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SK하이닉스

: HBM 시장 점유율 하락 전환 예상

투자 포인트

1) 1Q24 영업이익 2.2조원 예상

메모리 재고평가 손실 환입 영향 반영

2) 2Q24 영업이익 4.1조원으로, 시장 컨센서스(3.2조원) 상회할 전망

또한 최근 발생된 대만의 지진 영향으로 인해, 메모리 부문의 실적 전망치가 더욱 상향 조정될 가능성도 존재

다만 시장 참여자들의 잠재된 눈높이가 높은 것이 부담

3) 당사는 올 하반기를 기점으로 HBM의 경쟁 심화 가중, 판매 가격 하락, SK하이닉스의 점유율 하락 등이 나타날 것으로 판단 중

현재 SK하이닉스의 주가에 '메모리 업황 회복'과 'HBM3/3e 독과점에 따른 Premium'이 상당수 반영되어 있지만, 하반기로 갈수록 관련 우려들이 부각되며 추가적인 주가 상승 여력을 제한할 것으로 판단함.

리포트: https://bit.ly/49Hk6pE

[박유악, 키움 반도체]
*컴플라이언스 검필

1 month, 2 weeks ago

2024.04.19 11:32:41
기업명: 티씨케이(시가총액: 1조 4,851억)
보고서명: 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590억(예상치 : 601억)
영업익 : 174억(예상치 : 181억)
순이익 : 156억(예상치 : 150억)

최근 실적 추이
2024.1Q 590억/ 174억/ 156억
2023.4Q 619억/ 167억/ 122억
2023.3Q 537억/ 149억/ 172억
2023.2Q 474억/ 130억/ 149억
2023.1Q 636억/ 221억/ 170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419900191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64760

1 month, 2 weeks ago

[Web발신]
[NH/손세훈] 스몰캡 - 케이엔제이

[NH/스몰캡(손세훈)]

[케이엔제이]

★메모리 가동률이 올라간다면 케이엔제이

■고객사 생산량 확대가 SiC포커스링 주문 증가로 이어지는 중

2023년 동사 SiC포커스링 매출액은 1분기 136억원(+109.9% y-y), 2분기 148억원(+72.2% y-y)으로 분기 최대 실적을 기록하였으나, 고객사의 메모리 반도체 가동률 하락으로 3분기에는 102억원(+14.3% y-y), 4분기에는 77억원(-1.6% y-y)을 기록하는 등 부진한 흐름을 보임

최근 반도체 가격 상승과 함께, 삼성전자의 평택캠퍼스와 중국 시안 NAND 라인의웨이퍼 투입량이 ’23년 4분기 대비 30% 증가한 것으로 파악되는 등 반도체 제조사들의 가동률이 점진적으로 상승 중

이에 따라 그동안 부진했던 동사 SiC포커스링 사업부의 고객사발 주문이 3월부터 증가하는 등 실적 저점을 지나는 모습을 보이고 있음

■선제적인 CAPA 증설을 통한 높아지는 수요 대비

2023년부터 증설 진행 중인 3개 라인 중 2개 라인 7월 정도부터 가동 예정. 양산 라인 테스트를 거쳐 4분기부터 매출에 반영될 것

나머지 1개 라인은 연말 완공 예정에 있음. 모든 라인이 완공되는 2024년 말에는 SiC포커스링 연 매출 기준 CAPA가 약 680억원에 달할 것

2023년 5월에 2차전지 장비를 첫 수주했으며, 규모는 약 126억원

매출 인식 시점은 인도되는 2분기가 될 것이며, 부진한 디스플레이 장비 사업을 상쇄할 해줄 것으로 예상

☞리포트: http://download.nhqv.com/CommFile/cis/rsh/epr/CISPPR20240418131346439.pdf

NH리서치(전체):

https://t.me/joinchat/AAAAAFHbdMrZ7R4DN-MJqw

NH리서치[Mid/Small Cap] 텔레그램 :

https://t.me/joinchat/AAAAAFTqzkXE9DLGV28byw

위 내용은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아 발송되었으며, 당사의 동의 없이 복제, 배포, 전송, 변형, 대여할 수 없습니다.

무료수신거부 080-990-6200

1 month, 2 weeks ago

•중국 반도체 장비 북방화창(나우라 테크) 1/4분기 실적 예상 상회 : 실적 사전 예고에서 1/4분기 순이익 10.4-12억, YoY+75%~+102.8% 증가 예고

北方华创:预计一季度净利润10.4亿元-12亿元,同比增长75.77%-102.81%;公司应用于集成电路领域的刻蚀、薄膜沉积、清洗和炉管等工艺装备市场份额稳步攀升,收入同比稳健增长。

1 month, 3 weeks ago

[현대차증권 반도체 노근창 / 반도체 소부장 박준영 / 디스플레이 김종배]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OVERWEIGHT)
**대만, 일본 기업 탐방 후기

■ 탐방 결론 ① 대만 지진 여파로 메모리 반도체 가격 강세 예상 / TSMC도 3.4%의 Wafer 손실 추정대만, 일본 기업들 방문을 통해 AI Server를 제외한 수요는 미미하지만 AI Data Center의 나비 효과로 인해 SSD가격이 급등하고 있으며, ARM Server CPU와 DDR5 수요가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을 확인하였음. 한편, 4월에 발생한 대만 지진 여파로 TSMC는 전체 Wafer의 3.4%가 손상을 입었지만 5nm 이하 선단 공정의 경우 피해는 미미한 것으로 파악됨. 대만 공장이 전체 DRAM Capa의 67%인 Micron은 DRAM과 SSD 제품을 중심으로 2분기 고정가격을 QoQ로 25% 이상 올릴 계획이라는 점에서 선두권 한국 업체들의 향후 실적도 더욱 탄력적으로 개선 예상. 여기에 중국 CXMT도 Huawei와의 거래 등을 이유로 향후 Black List로 선정될 가능성도 높은 상황이라는 점에서 HBM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한국 메모리 반도체 업체들의 모멘텀은 더욱 부각될 것으로 예상
탐방 결론 ② CoWoS CAPA는 빠른 속도로 증가 중, HBM 산업 성장성 견조 / 글라스기판에 관심도 필요
HBM 산업 내 장비 벤더들에게도 낙수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임. 특히 현재 CoWoS CAPA가 기존 예상 대비 매우 빠른 속도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이로 인해 HBM 장비에 대한 수요는 더욱 강해질 것으로 판단. 특히 최근 들어 중요해지고 있는 테스트 공정 장비의 국산화 벤더들에게 강한 수혜가 있을 것. 이에 더해 실리콘 인터포저를 대체할 글라스 기판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져볼만한 시점이라고 판단
■ 탐방 결론 ③ 중단기적인 관점에서는 OLED 전환에 따른 국내 패널 업체가 우위현재는 LCD에서 OLED로 응용처가 확대되며 OLED의 주요 Player은 한국과 중국. Mobile 내에서 내수를 기반으로 중국이 M/S를 확대하고 있지만 여전히 국내 패널 업체가 기술 격차를 유지. 대만, 일본 업체는 보다 장기적인 패널전략(Micro Display)을 구사하고 있으며 아직까지 그 경쟁력을 확보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수율, 원가 문제). 이를 기반으로 IT OLED 내에서도 경쟁력을 유지하며 중기적인 관점에서 국내 패널업체들의 경쟁우위를 예상
■ Top picks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테크윙, 디아이, 덕산네오룩스**
반도체 업종 Top Picks으로 HBM시장 성장의 수혜가 예상되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제시. 중소형주 Top Picks는 테크윙과 디아이를 추천. 디스플레이 업종 Top Pick으로는 OLED 확대 기대감이 있는 덕산네오룩스를 제시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1 month, 3 weeks ago

<오늘 개장전 꼭 알아야할 5가지_4/12 Bloomberg>

1) 채권 트레이더들, 美 10년물 5% 대비
올해 연준의 금리 인하가 없을 수도 있다는 시나리오가 점점 그럴싸해 보이면서 채권 트레이더들이 10년 만기 미국채 금리가 5%를 넘어설 가능성에 대비하는 분위기. 슈로더는 끈질긴 인플레이션으로 고금리 장기화 리스크가 높아짐에 따라 일부 구간에서 미국 채권을 매도하고 있음. 핌코는 연준이 다른 선진국보다 느린 속도로 정책을 완화할 것이라며, 올해 아예 금리 인하가 나오지 않을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다고 경고. 슈로더의 Kellie Wood는 미국채 10년물 금리가 “5% 또는 그 위로 오르는 게 불가능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연준의 연내 금리 인하 불가 시나리오에 대비해 포지션을 취하고 있다고 밝혔음

2) 콜린스, ‘올해 인하 적게 필요할 수도‘
수잔 콜린스 보스턴 연은 총재는 통화 정책을 완화하기 위한 자신감을 갖는 데 있어 더 많은 시간이 걸릴 수 있다며, 올해 금리 인하 횟수가 생각보다 적을 수도 있다고 진단. 콜린스는 최근 지표가 금리 조정의 “임박한 필요성”에 대한 우려를 완화시켰다면서, 다만 여전히 올해 나중에 금리 인하가 시작될 것이라는 견해는 유지.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는 2% 물가안정 목표까지 아직 한참 남아있다며, “단기간에(very near term)에 정책을 조정해야 할 분명한 필요가 없다”고 주장

3) ECB, 6월 첫 인하 시사. 유로화 2월래 최저
유럽중앙은행(ECB)이 성명서에서 처음으로 금리 인하 가능성을 언급. 인플레이션이 지속적으로 2% 목표에 수렴하고 있다는 확신이 높아질 경우 “통화정책 제약의 현 수준을 줄이는 것이 적절할 것”이라고 지적. 다만 향후 정책은 지표에 따라 결정되며 “특정 금리 경로”를 미리 정하진 않았다고 밝혔음. 하지만 라가르드 ECB 총재는 6월 인하 가능성을 다시 한번 시사. “4월에 우리는 몇 가지 정보와 데이터를 얻었다”며, “소수의 몇몇(a few)” 정책위원들이 이미 인플레이션에 대해 충분히 확신하고 있다고 밝힘. “그러나 6월에는 훨씬 더 많은 데이터와 정보를 얻게 될 것”이라고 언급

4) 아시아 금리 인하 기대도 평균 연내 1차례로 후퇴
예상보다 강한 미국의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후퇴함에 따라 한국은행을 비롯해 아시아 중앙은행들 역시 통화정책 경로를 다시 검토해 올해 금리 인하 횟수를 줄이거나 아예 포기해야 할 수도 있음. 투자자들은 미국의 근원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3개월 연속 시장 예상을 상회하자 1~2차례로 금리 인하 기대를 낮췄고 이에 달러가 급등. 아시아 역시 그 파장을 피하지 못해 올해 평균 2차례에서 1차례 인하로 기대가 낮아졌음. 노무라 홀딩스의 Sonal Varma는 “아시아 중앙은행들이 금리 격차와 달러 강세 장기화의 리스크를 인식해야만 한다”며, “연준 리프라이싱과 강달러에 유가마저 올라 아시아에서 금리 인하를 실시하기 위한 장벽이 높아졌다”고 진단

5) 러시아, 우크라이나 발전소 공습. 기로에 선 우크라이나戰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주요 에너지 시설에 대해 대규모 공습을 단행해 키이우 지역에서 가장 큰 화력발전소가 파괴. 이에 유럽의 천연가스 선물 가격이 한때 7% 넘게 치솟기도 했음. 러시아가 전선을 따라 계속 압박하면서 우크라이나의 방어 능력이 한계점에 이르고 있다는 우려가 불거지는 상황. 우크라이나 방어가 무너질 경우 러시아는 이를 기회로 본격적 영토 장악을 재시도할 수 있어, 향후 몇 개월이 우크라이나에게 가장 힘든 시험대가 될 것으로 보임
(자료: Bloomberg News)

1 month, 3 weeks ago

삼성전자
호실적의 명과 암. 추세 전환 접근은 여전히 유효
(2024.4.5) 메리츠 김선우

이번 실적을 기점으로 올해/내년 동사의 연간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상승 사이클로 반전됩니다. 삼성전자의 매수 주체는 이제 Long-only 장기투자자도 포함됩니다.

게다가 대만 지진 이후 메모리 업체들은 사실상 '담합' 구간에 들어갔습니다.
-> 동사 주가의 선행지표인 메모리 고정거래가 눈높이는 지속 상향 조정될 전망

동사의 하반기 영업이익은 상반기 대비 대폭 개선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머지않아 등장할 HBM의 미주 핵심 고객사 공급 개시는 강력한 한방입니다.
-HBM 공급은 드디어 1~2달내로 개시되리라 예상됨.

https://han.gl/HvCw3
텔레그램 채널글 : 링크
#삼성전자 #김선우

We recommend to visit

❈ owner :: @jTEJO
❈ admin :: t.me/KIMREKBER/5137
✎ selain itu fake akun.

❈ proof kim :: @PROOF_KIM {108kt+}
❈ rate kim :: @RATEKIM {30kr+}
❈ paid promote :: @PPKIMREKBER

INFO :: @KlMREKBER
PENIPUAN :: @INFOSCAMR
‼️Tidak menerima format melalui rc‼️

Last updated 5 days ago

볼만한 뉴스와 증권사리포트, 글로벌경제뉴스. 와신 등을 공유합니다. 내용은 매도/매수의 의견이 아닙니다.매매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있습니다

●/ ●/
《 | 《 |
/〉 제보.문의 /〉


제보/각종 문의 받습니다.

@yeouidooppa

Last updated 3 weeks, 5 days ago

비트코인 & 경제 & 재테크정보를 공유드리는 방입니다

채팅방 - @enjoymyhobbychat

모든 글은 투자의 참고 자료일 뿐이며,
투자 판단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홍보, 후원, 광고 : @KimYoungTaek 문의

Last updated 6 days, 8 hours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