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y Pay for Entertainment? Access Thousands of Free Downloads Now!

옹꾸 생각정리 일기장

Description
옹쿠입니다
Advertising
We recommend to visit

❈ owner :: @jTEJO
❈ admin :: t.me/KIMREKBER/5137
✎ selain itu fake akun.

❈ proof kim :: @PROOF_KIM {108kt+}
❈ rate kim :: @RATEKIM {30kr+}
❈ paid promote :: @PPKIMREKBER

INFO :: @KlMREKBER
PENIPUAN :: @INFOSCAMR
‼️Tidak menerima format melalui rc‼️

Last updated 5 days ago

볼만한 뉴스와 증권사리포트, 글로벌경제뉴스. 와신 등을 공유합니다. 내용은 매도/매수의 의견이 아닙니다.매매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있습니다

●/ ●/
《 | 《 |
/〉 제보.문의 /〉


제보/각종 문의 받습니다.

@yeouidooppa

Last updated 3 weeks, 5 days ago

비트코인 & 경제 & 재테크정보를 공유드리는 방입니다

채팅방 - @enjoymyhobbychat

모든 글은 투자의 참고 자료일 뿐이며,
투자 판단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홍보, 후원, 광고 : @KimYoungTaek 문의

Last updated 6 days, 8 hours ago

1 month ago

할 일 하면서 현업 IT 개발자의 인터넷 방송 틀어놓고 시청 중인데 인상적인 것은

1) 코로나 시기와 같은 IT 투자 붐은 당분간 나오기 힘듦. 네카라쿠배와 동일선 상에 올라올 수 있는 기업들 많이 안보이고, 당근과 토스도 BM 함정에 빠짐. 기존 SW 회사들은 무조건 MAU를 높이면 어떻게든 돈이 되지 않을까? 논리로 접근. 부족한 자본은? 투자금으로 채움. 토스와 당근이 대표적. 그러나 투자 심리가 얼어붙으면서 SW 회사들은 점점 힘들어지고 있음.

2) 앞으로는 SW 회사들이 점점 점조직화/일회성 프로젝트화 될 것이라고 생각함. 이미 스타트업 국룰 조합은 백엔드 1명(CTO 겸임)/디자이너 1명(마케터 겸임)/CEO 1명/웹 혹은 앱 개발자 1명(신입)임. 여기에서 더 늘어나 봤자 5-6명. 패스트파이브 가서 아무데나 문을 열어봐도 10개 중 8-9개는 이 조합임. SW 회사들은 이미 코로나 시기 개발자 너무 많이 뽑아서 구조조정 계속 해야 하는 입장. 개발자들은 나가봤자 갈 데 없으니 어떻게든 엉덩이 붙이고 앉아서 버티겠다는 입장. 취준생들과 신규들만 죽어나는 구조.

3) 생성형 AI로 코딩하는 것에 대한 시장의 기대가 많은데 아직까지 힘듦. GPT 4.0 써도 없는 문법 멋대로 만들어서 추천해주거나(브레인포그 현상), 옛날 문법, 낡은 문법 추천해줘서 사실상 개발자들에게는 아직까지 별 의미 없음. 실무에 적용되려면 아직 나아가야할 과정이 많다.

4) 과거에는 개발자들의 개발자인 슈퍼 개발자들이 어디서든 꼭 필요했음. 이들은 세상에 없던걸 새로 만들어내는 괴물 개발자들. 그러나 이제는 없던걸 만들어내는게 중요하지 않음. 이미 개발자들은 직장인화 됨. 기계적으로 코드 찍고 노가다 뛰는 업종이 되어버림. 업계에서도 탑급 개발자 1명보다 싼 값에 일반 직장인 개발자 여럿 쓰는 분위기가 되어 있음. 이것도 국내에서 SW 관련 투자 심리가 얼어붙으면서 새로운걸 시도하기 보다는 일단 살아남는게 우선이 되어버렸기 때문.

5) SW 회사들이 월 1억 매출 벌면 겨우 생존이 가능한 정도. 이것도 이미 App이 시장에 안착했다는 가정 하임. 국내 SW 스타트업 회사들의 전망이 밝지 않아 보임. 어떻게든 아이디어와 시장 규모를 부풀려서 투자금 끌어다 쓰고 살아남는거에만 역량이 투입되다보니 혁신은 기대하기 어려움. 제 2의 토스, 제 2의 당근은 나오기 힘들 것.

이미 이 쪽에 조금 관심이 있었다면 다들 알 만한 이야기들이긴 한데, 현업 개발자 입장에서 이야기를 들으니까 더 흥미롭긴 함. 개인적으로 플랫폼 회사들 별로 안좋아하는 이유... 이번 학기에 전공 선택으로 소셜 벤처 수업 들으면서 스타트업 대표님들 특강을 여럿 들었는데, IR 피칭 듣는 것처럼 들어보니 고정비 통제도 안되고 시장 규모 확장도 어려워 보이고 지속 가능한 수익 구조가 아니라는 생각이 너무 많이 들었음. 주변에 스타트업 하는 또래 친구들도 보면 대부분 플랫폼이나 App 창업임. 같은 또래로서 누구를 평가할 계재도 안되지만 너무 이쪽 창업을 만만하게 보는거 아닌가 생각도 들고..

요즘 대학교 스타트업 분위기는, 하려는 사람들이 너무 없어서 오히려 지원금이 남아돈다고 함. 오히려 컨설팅이나 전략 기획 쪽으로 가려는 취준생들의 경우 스펙용으로 한 번 해보기는 나쁘지 않으려나..?

1 month ago

제가 알기로는 저분자 (small molecule) 경구용 GLP-1 길항제가 부작용이 심해서 임상 중단된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대표적인게 화이자에서 개발중이었던 danuglipron입니다.

물론 그게 약물의 문제인지, 저분자 glp-1의 mechanism-of-action 문제인지 더 파악이 필요하고, GLP1 신약분야의 현재 가장 뜨거운 감자 중 하나입니다. 약물문제이면 다른 저분자들은 물성 개선을 개발방향으로 잡을 수 있겠지만, MoA문제이면 아예 제형/modality 레벨에서 생각해봐야겠죠

1 month ago

추가로 의견 드리면 기존 개발 중인 경구제들은 부작용의 한계를 인지하고 이제 저분자 GLP-1으로 글로벌 빅파마들이 연구 방향성을 바꾸고 이제 후보물질 도입과 임상 1상들을 진행 중입니다.

당연히 상용화 되기 위해서 빠르게 진행 중인 회사도 최소 4-5년이란 시간이 더 필요한 상황이구요.

현재 비만치료제 숏티지로 트루리시티는 생산을 중단하여 우리나라에서도 구할수도 없는 상황입니다.

장기지속형 주사제가 개발된다면 월 4개가 필요한 생산을 1개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숏티지 상황에서 생산 측면에서도 반드시 필요한 옵션이기도 합니다.

1 month ago

공시상으로 1Q (3월) 까지 수주잔고는 3,278억원.
이번 BOE 수주가 2천억 후반대라고 하는데
그것까지 반영하면 누적수주잔고 6천억원 가량!

1 month ago

(코스닥)아바코 - 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40429900116
2024-04-29

1 month, 1 week ago

<이번 선익+아바코 컨소시움 BOE 수주의 추가적 의미와 향후>

  1. 어제 ChinaBidding에 선익시스템/아바코의 증착기/진공물류장비 입찰 성공 소식이 뜨면서 두 회사의 주가 흐름이 좋습니다. 일각에서는 셀온을 우려하였지만, BOE 수주를 시작으로 향후 타 중화권 업체들 및 LGD/SDC의 수주가능성이 더 열려있다고 해석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2. 먼저, LGD의 벤더사와의 협력 기조에 대한 이야기부터 해볼까 합니다. 우리나라 디스플레이 패널 메이저업체로 SDC와 LGD가 있고 그 밸류체인들이 있습니다. 시장에서는 한쪽 업체에 장비를 납품하면 다른 업체에 납품하기 힘들다라는 인식이 있지만, 이러한 기조부터가 변화하고 있는 흐름입니다.
    일례로, 선익시스템부터가 최근 삼성SDI에, 비록 연구용 장비이지만, 증착장비를 납품하였던 사례가 있습니다. 삼성SDI는 유기물 소재를 연구하고, 삼성D가 그 소재를 바탕으로 패널을 제조하니 사실상 삼성D향으로 증착기가 쓰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지요. 아직까지 애플향 레퍼런스가 부족했던 선익시스템이었지만, 애플로부터 작년에 사용승인을 받았고, 그로인해 경쟁사인 캐논도키에 비해 가격/납기면에서 우위를 가지고 있는 점이 패널 업체들에게 더 어필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3. 그러한 선익시스템의 증착장비는 LGD(LG-PRI)와 오랫동안의 협력을 통해 개발되어온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비단 선익시스템 뿐만 아니라 LGD 밸류체인에 속하는 회사들 역시 마찬가지이지요. 또 하나의 예시로, 어제 입찰 성공한 아바코 역시 2000년대 중반 TFT증착장비(스퍼터) 국산화를 LG-PRI와의 협력을 통해 이루어내었고, 경쟁사인 ULVAC대비 더 높은 LGD향 점유율을 가져가고 있습니다.

​4.
이처럼 LGD(LG-PRI) 협력사들은 공동기술 개발을 하였기 때문에 “LGD에만 장비를 납품할 수 있다” 라는 인식이 있지만, 이번 BOE 8.6세대 증설향 입찰성공이 그 인식을 시원하게 깨줄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럼 LGD(LG-PRI)는 죽쒀서 개주는것이냐?”. 그게 아닌, LG같은 경우는 공동개발을 하였기에 기술사용료를 일정부분 수취하고 그 금액을 바탕으로 이익개선 및 Capex투자를 하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가뜩이나 현재 LGD같은 경우는 작년 CEO 교체 이후로 최우선과제가 재무구조 개선이고, 개선된 재무구조를 바탕으로 8.6세대 투자를 속도감 있게 진행해야합니다. 중소형 모바일 디바이스 및 차량 디스플레이의 OLED 채택율은 늘어가고 있고, 역체감으로 인해 LCD 패널로 회귀하기 어려운 흐름으로 가고있으니까요. 디바이스 대장인 애플이 그런 흐름을 보여주고 있고요.

​5.
그렇기에 LGD 밸류체인에 있는 기업들은 앞으로 예정되어있는 중화권 디스플레이 업체들(CSOT, VisionOx, …)와 국내 업체들(LGD/SDC) 향으로의 수주 가능성이 앞으로도 더 열려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마치, 하이닉스에 장비 납품을 성공한 업체가 삼성전자에 납품할 수 있는 기회가 열린만큼요.

​6.
2010년대 중반 전까지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중국의 점유율이 (상대적으로) 작았기 때문에, LGD vs SDC 국내 업체들간의 점유율 확보 싸움이 치열했습니다.
하지만, 이제 중국업체들이 치고올라오면서 국내 업체들간의 경쟁보다는 한국vs중국 경쟁구도로 가고 있습니다. 그 경쟁속에서 더 높은 기술력과 이익률을 확보하기 위해, 협력사들을 배타적 납품을 권장하기보다는, “너네가 잘되어서 다른 곳에도 납품해야 우리 기술력도 좋아지고, 기술사용료까지 수취하면 더 좋다” 라는 기조로 변해가고 있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7. 사족)
여기에 아바코 아조씨로써 아바코 이야기를 한스푼 보태면, 아바코는 이번 입찰에서 “유기물 증착 공정의 진공물류장비”를 입찰 성공하였지만, 향후 TFT, Encapsulation 공정용 물류장비 및 아바코의 십수년간의 레퍼런스를 확보하고 LGD에 납품해왔던 (LTPO) TFT증착장비 등의 수주도 기대됩니다. 유기물 증착용 장비가 가장 장납기이기 때문에 협상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왔고, 타 공정용 장비들의 협상 및 입찰은 아직 개시되지 않은 혹은 현재 진행형인 상황입니다. 이러한 흐름까지 보면, 제가 지난번에 게시했던 것처럼 “올해와 내년은 디스플레이 투자 빅 사이클”의 초입부라고 생각됩니다.

3 months, 1 week ago
21일: 54.5점

21일: 54.5점
22일: 51.6점

3 months, 2 weeks ago

WSJ 닉 티미라오스

'월가는 근원 PCE 물가는 1월 0.4% 상승해 지난 1년중 가장 큰 상승률을 나타낼 것으로 추정한다. 그러면 전년 대비 수치는 12월과 같은 2.9%가 될 것이다. 그리고 헤드라인 물가는 12월 2.6%에서 2.4%로 하락할 것'이라고 전했고.

'근원 PCE 물가가 1월 0.4%상승했을 경우 6개월 연율 환산 수치는 지난 두 달간 2%미만이었지만 1월에는 2.4~2.5%까지 반등할 것'이라고 덧붙임.

0.4% 상승률이 나오면
6개월 연율 환산 수치는
12월 1.8% -> `월 2.4%로 상승.
3개월 수치는 1.6% -> 2.8%까지 상승.

그래서 BofA는 '이런 수치는 FED 관망세가 정당한 것을 의미한다.'

파월은 데이터를 보고 엄중히 시장에 표현을 계속 한 것이네요.

시장이 잠시쉬어가면
3월말 FOMC에선 우울해진 시장에 희망을 줄 수도 있는 코멘트가 나올 수도 있겠습니다.

3 months, 2 weeks ago

가계 및 기업의 소비와 투자를 늘리는 방법 중 하나는 세금을 감면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일본 같은 경우 잃어버린 30년 기간동안 개별소비세를 인하했었고요.

자사주 소각으로 세금 감면을 받아 이익이 늘어나고, 그 이익으로 다시 재투자 및 주주환원이 확대되는 선순환 구조를 그려봅니다.

우리나라 재정건전성이 어느정도인지 아주 상세하게는 모르지만, 감수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세금감면을 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업의 투자와 주주환원, 가계의 소비가 늘어나는 거시적 경제 순환 구조가 이루어지면 좋겠네요.

3 months, 2 weeks ago

⭐️종목 선정에 필요한 소스 3가지*⭐️***

1️⃣ 매일 나오는 증권사 리포트, 특히 인뎁스 리포트나 커버리지 개시하는 리포트

2️⃣증시의 강력한 하락 구간에 나오는 일부 기업 경영진들의 매수 시그널

3️⃣ MTS, HTS 등으로 매일 확인해 볼 수 있는 장후의 기관 수급 현황 및 차트 및 거래량

❗️단, 주의하실 것이 있습니다.
종목 발굴에 테마주는 제외하십시오.
일절 관심을 두지 마십시오.
등락률 순위에 매일같이 랭크돼도 일말의 관심을 두지 마시고 목록에서 안 보이도록 삭제하시기 바랍니다.

흔들리지 않는 투자 철학 | 정원철 저

We recommend to visit

❈ owner :: @jTEJO
❈ admin :: t.me/KIMREKBER/5137
✎ selain itu fake akun.

❈ proof kim :: @PROOF_KIM {108kt+}
❈ rate kim :: @RATEKIM {30kr+}
❈ paid promote :: @PPKIMREKBER

INFO :: @KlMREKBER
PENIPUAN :: @INFOSCAMR
‼️Tidak menerima format melalui rc‼️

Last updated 5 days ago

볼만한 뉴스와 증권사리포트, 글로벌경제뉴스. 와신 등을 공유합니다. 내용은 매도/매수의 의견이 아닙니다.매매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있습니다

●/ ●/
《 | 《 |
/〉 제보.문의 /〉


제보/각종 문의 받습니다.

@yeouidooppa

Last updated 3 weeks, 5 days ago

비트코인 & 경제 & 재테크정보를 공유드리는 방입니다

채팅방 - @enjoymyhobbychat

모든 글은 투자의 참고 자료일 뿐이며,
투자 판단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홍보, 후원, 광고 : @KimYoungTaek 문의

Last updated 6 days, 8 hours ago